메뉴 건너뛰기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마지막 토론
"이런 검찰 못봐"... 검찰개혁 한목소리
김경수(왼쪽부터) 전 경남지사와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 김동연 경기지사가 25일 서울 중구 TV조선 스튜디오에서 민주당 경선 3차 토론회를 시작하기 전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선출을 이틀 남겨놓고 열린 마지막 경선 토론회도 '구대명(90% 득표율의 대통령 후보 이재명)'을 흔들 변수는 없었다. 나머지 주자들과 크게 격차를 벌린 이재명 전 대표는 연신 "정치보복을 하지 않겠다" "탕평인사에 나서겠다" "대통령이 되면 야당 대표부터 만나겠다"며 협치와 통합을 강조하며 몸을 사렸다. 나머지 양김(김동연 경기지사·김경수 전 경남지사)도 네거티브 없이 정책 토론에 집중하면서 싱겁게 끝났다.

이재명 "정치보복은 尹이 잘 정의해줬다"



민주당은 25일 밤 TV조선 중계로 대선 경선 3차 토론회를 90분 간 진행했다. 오는 27일 수도권·강원·제주 경선을 끝으로 당 대선 후보를 확정하기 때문에, 마지막 방송 토론회였다.

이 전 대표는 토론 내내 통합 의지를 피력하는 데 집중했다. 모두발언에서부터 "국력을 분산시키지 않고 통합해서 힘을 모아야 한다"며 통합을 언급했고, 질문 기회를 갖고 나서 던진 첫 질문도 '통합'이었다. 특히 자신에게 제기된 정치보복 우려를 의식해 "모두들 (제가) 많이 당했으니까 똑같이 하지 않을까 하는데 저는 결코 그래서는 안된다고 생각한다"며 "
할 일이 얼마나 많은데 그런 일로 시간을 낭비할 수 없다. 저는 누굴 괴롭힐 때 별로 행복하지 않다
"고 말했다. 이어
"제가 아무리 (정치보복 않겠다) 약속을 해도 이해를 안 하더라. 의심을 계속 하는데 방법이 없을까"
라고 답답함을 토로하기도 했다.

이에 김 전 지사는 "정치보복은 법적으로 처벌해야 될 대상을 처벌하는 것이 아니라 보복할 거리를 어떻게든 찾아내 만들어서 그 사람들을 괴롭히는 것"이라며 "바로 어제만 해도 문재인 전 대통령을 기소하지 않았나. 야당에 대한 탄압이 대표적 정치보복"이라고 호응했다. 그러자 이 전 대표는 고개를 끄덕인 뒤
"정치보복의 개념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정의를 잘 해준 바가 있다"
고 일침했다. 윤 전 대통령이 집권 기간 자신과 야당에 대한 정치보복을 했다고 에둘러 말한 것이다.

이 전 대표는 '대통령에 당선되면 제일 먼저 누구를 만나겠냐'는 질문에도 "여야 대표들을 가능하면 많이, 빨리 만나겠다"고 꼽으며 협치를 다짐했다. 이 전 대표는 "여야가 대화가 끊어지고 적대화돼있다"면서 "대통령이라도 시간 내고 설득해서 여야 대표, 특히 야당 대표 또 주요 정치인들을 만나야 되겠다"고 말했다. 앞서 민주당 대표로 있던 기간 내내 윤 전 대통령에게 수차례 영수회담을 제안했지만, 지난해 총선 참패 이후 단 한 차례 회담만 성사됐던 점을 겨냥한 것으로 보인다.

이 전 대표는 경제 회복에 대한 의지도 강조했다. 대통령이 되면 제일 먼저 할 일로는 '경제상황점검회의'를 약속하며, 최우선 순위가 경제에 있음을 부각했다. 대통령 취임 후 가장 먼저 방문할 장소로는 전통시장과 식당가 등 '민생현장'을 꼽았다. 김 지사는 세종 집무실을, 김 전 지사는 5·18 광주 묘역 등을 꼽았다.

대립도 없었던 토론회... 검찰개혁 '공감대'



전반적으로 정책 위주로 토론이 진행됐지만, 그 흔한 의견 대립도 찾아볼 수 없었다. 최근 문 전 대통령 기소를 계기로 더 불거진 '검찰개혁'에 대해서도 세 주자들이 한목소리를 냈다. 친문 적자 김 전 지사가 먼저 관련 질문을 던지자,
이 전 대표는 "저도 법률가로 수십년을 살았는데 이런 검찰은 본 일이 없다"
며 "더이상 기소하기 위해 수사를 할 수 없게 기소권과 수사권을 동시에 갖는 시스템을 끝내야될 때"라고 답했다.

나머지 주자들이 이 전 대표와 각을 세우려는 시도도 '찔끔'에 그쳤다. 김 지사는 주도권 토론이 시작되자 바로 "이 전 대표와 5가지 차이가 있다"며 △개헌 △세종 이전 △증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협상 전략 △비동의 강간죄 등 여성 정책 △4기 신도시 등 부동산 정책에 대한 견해차를 조목조목 언급했다. 그러면서도 이 전 대표를 향해 직접 질문을 던지지는 않으면서 맞대결을 에둘러 피해갔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964 삼성, ‘해킹사고’ SKT 이용 임원들에 “빨리 유심 교체해라” new 랭크뉴스 2025.04.26
48963 “민주당이 뭘 해줬나”…이재명, ‘경선 투표율’ 비상 호남서 총력전 new 랭크뉴스 2025.04.26
48962 프란치스코 교황 장례 미사, 한국시간 오후 5시 … “주여 , 영원한 안식을 내리소서” new 랭크뉴스 2025.04.26
48961 트럼프 좌충우돌에 美 국채 신뢰 '흔들'[양정대의 전쟁(錢爭)외교 시대] new 랭크뉴스 2025.04.26
48960 "친구가 다쳤어요" 거짓말…친구 엄마에 1억 뜯은 30대 실형 new 랭크뉴스 2025.04.26
48959 철통 보안 속 프란치스코 교황 마지막 길…30만명 운집 예상 new 랭크뉴스 2025.04.26
48958 트럼프 “러시아·우크라, 합의에 매우 근접 …최고위 수준에서 만나야” new 랭크뉴스 2025.04.26
48957 집 보여주는 수고비 받겠다?…공인중개사 '임장비' 추진 논란 new 랭크뉴스 2025.04.26
48956 개인에겐 갈 수 없다는 한은 관봉권…어떻게 건진법사 자택에? new 랭크뉴스 2025.04.26
48955 풋고추 한 개·조미김 몇 장…‘1만 2천 원짜리’ 도시락 논란 [잇슈#태그] new 랭크뉴스 2025.04.26
48954 [정책 인사이트] 고교학점제 첫 적용 09년생 고1 “자퇴하고 싶어요” 상담 급증 new 랭크뉴스 2025.04.26
48953 천연 영양제 제철 과일, 건강한 단맛으로 챙기는 봄철 건강 [쿠킹] new 랭크뉴스 2025.04.26
48952 홍준표 "조국 수사, 가족 도륙‥법에도 눈물 있어"‥한동훈 "왜 민주당에만 눈물?" new 랭크뉴스 2025.04.26
48951 “집만 둘러봐도 돈 지불해야”...공인중개사 ‘임장비’ 추진 new 랭크뉴스 2025.04.26
48950 "시장 문 열어라"...중국 압박 수위 높이는 트럼프 new 랭크뉴스 2025.04.26
48949 유시민 4년 전 ‘檢 악마화’ 사과했는데…이번엔 ‘법원 때리기’ new 랭크뉴스 2025.04.26
48948 트럼프 “중국이 시장 개방 안하면 145% 관세도 철회 안 해” new 랭크뉴스 2025.04.26
48947 유심 복제 우려에 고개 숙인 SKT "2,400만 가입자 무상교체" new 랭크뉴스 2025.04.26
48946 '나혼산' 이주승과 반려견 '코코'의 불편한 동거는 왜?  [연예개] new 랭크뉴스 2025.04.26
48945 '재건축 특례법' 논의도 안 하면서… 李 "용적률 높이겠다" new 랭크뉴스 2025.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