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마지막 토론
"이런 검찰 못봐"... 검찰개혁 한목소리
김경수(왼쪽부터) 전 경남지사와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 김동연 경기지사가 25일 서울 중구 TV조선 스튜디오에서 민주당 경선 3차 토론회를 시작하기 전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선출을 이틀 남겨놓고 열린 마지막 경선 토론회도 '구대명(90% 득표율의 대통령 후보 이재명)'을 흔들 변수는 없었다. 나머지 주자들과 크게 격차를 벌린 이재명 전 대표는 연신 "정치보복을 하지 않겠다" "탕평인사에 나서겠다" "대통령이 되면 야당 대표부터 만나겠다"며 협치와 통합을 강조하며 몸을 사렸다. 나머지 양김(김동연 경기지사·김경수 전 경남지사)도 네거티브 없이 정책 토론에 집중하면서 싱겁게 끝났다.

이재명 "정치보복은 尹이 잘 정의해줬다"



민주당은 25일 밤 TV조선 중계로 대선 경선 3차 토론회를 90분 간 진행했다. 오는 27일 수도권·강원·제주 경선을 끝으로 당 대선 후보를 확정하기 때문에, 마지막 방송 토론회였다.

이 전 대표는 토론 내내 통합 의지를 피력하는 데 집중했다. 모두발언에서부터 "국력을 분산시키지 않고 통합해서 힘을 모아야 한다"며 통합을 언급했고, 질문 기회를 갖고 나서 던진 첫 질문도 '통합'이었다. 특히 자신에게 제기된 정치보복 우려를 의식해 "모두들 (제가) 많이 당했으니까 똑같이 하지 않을까 하는데 저는 결코 그래서는 안된다고 생각한다"며 "
할 일이 얼마나 많은데 그런 일로 시간을 낭비할 수 없다. 저는 누굴 괴롭힐 때 별로 행복하지 않다
"고 말했다. 이어
"제가 아무리 (정치보복 않겠다) 약속을 해도 이해를 안 하더라. 의심을 계속 하는데 방법이 없을까"
라고 답답함을 토로하기도 했다.

이에 김 전 지사는 "정치보복은 법적으로 처벌해야 될 대상을 처벌하는 것이 아니라 보복할 거리를 어떻게든 찾아내 만들어서 그 사람들을 괴롭히는 것"이라며 "바로 어제만 해도 문재인 전 대통령을 기소하지 않았나. 야당에 대한 탄압이 대표적 정치보복"이라고 호응했다. 그러자 이 전 대표는 고개를 끄덕인 뒤
"정치보복의 개념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정의를 잘 해준 바가 있다"
고 일침했다. 윤 전 대통령이 집권 기간 자신과 야당에 대한 정치보복을 했다고 에둘러 말한 것이다.

이 전 대표는 '대통령에 당선되면 제일 먼저 누구를 만나겠냐'는 질문에도 "여야 대표들을 가능하면 많이, 빨리 만나겠다"고 꼽으며 협치를 다짐했다. 이 전 대표는 "여야가 대화가 끊어지고 적대화돼있다"면서 "대통령이라도 시간 내고 설득해서 여야 대표, 특히 야당 대표 또 주요 정치인들을 만나야 되겠다"고 말했다. 앞서 민주당 대표로 있던 기간 내내 윤 전 대통령에게 수차례 영수회담을 제안했지만, 지난해 총선 참패 이후 단 한 차례 회담만 성사됐던 점을 겨냥한 것으로 보인다.

이 전 대표는 경제 회복에 대한 의지도 강조했다. 대통령이 되면 제일 먼저 할 일로는 '경제상황점검회의'를 약속하며, 최우선 순위가 경제에 있음을 부각했다. 대통령 취임 후 가장 먼저 방문할 장소로는 전통시장과 식당가 등 '민생현장'을 꼽았다. 김 지사는 세종 집무실을, 김 전 지사는 5·18 광주 묘역 등을 꼽았다.

대립도 없었던 토론회... 검찰개혁 '공감대'



전반적으로 정책 위주로 토론이 진행됐지만, 그 흔한 의견 대립도 찾아볼 수 없었다. 최근 문 전 대통령 기소를 계기로 더 불거진 '검찰개혁'에 대해서도 세 주자들이 한목소리를 냈다. 친문 적자 김 전 지사가 먼저 관련 질문을 던지자,
이 전 대표는 "저도 법률가로 수십년을 살았는데 이런 검찰은 본 일이 없다"
며 "더이상 기소하기 위해 수사를 할 수 없게 기소권과 수사권을 동시에 갖는 시스템을 끝내야될 때"라고 답했다.

나머지 주자들이 이 전 대표와 각을 세우려는 시도도 '찔끔'에 그쳤다. 김 지사는 주도권 토론이 시작되자 바로 "이 전 대표와 5가지 차이가 있다"며 △개헌 △세종 이전 △증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협상 전략 △비동의 강간죄 등 여성 정책 △4기 신도시 등 부동산 정책에 대한 견해차를 조목조목 언급했다. 그러면서도 이 전 대표를 향해 직접 질문을 던지지는 않으면서 맞대결을 에둘러 피해갔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865 ‘명태균 여론조사비 대납 의혹’…홍준표 측근 2명 출국금지 랭크뉴스 2025.04.26
48864 민주 후보들 “검 수사·기소권 분리”…이재명 “정치보복 안 한 대도 안 믿어” 랭크뉴스 2025.04.26
48863 김건희 혼자 빠져나간 도이치 사건, 검찰 재수사 나섰지만··· 랭크뉴스 2025.04.26
48862 “중국, 미 반도체 125% 관세 철회···에탄·의료장비도 면제 검토” 랭크뉴스 2025.04.26
48861 숫자로 보는 트럼프 2기 100일…행정명령 137개·평균지지율 45% 랭크뉴스 2025.04.26
48860 [사설] 文 “9·19 합의 복원”…대북 정책 과오부터 반성해야 랭크뉴스 2025.04.26
48859 [사설] 한미 “7월 패키지”…새 정부가 촘촘한 대응으로 국익 지켜야 랭크뉴스 2025.04.26
» »»»»» "정치 보복 없다" 협치·통합 어필한 이재명... 마지막까지 대립각 없이 싱거운 토론 랭크뉴스 2025.04.26
48857 트럼프 "3, 4주 내 관세 협상 끝낸다…방위비 분담 별개로 다룰 것" 랭크뉴스 2025.04.26
48856 한동훈과의 토론인데 홍준표 “김문수, 김문수, 김문수”···자꾸 소환한 이유는 랭크뉴스 2025.04.26
48855 교육부, 의대생에 수업 복귀 의향 ‘익명 설문조사’ 중···‘전환점’ 마련될까 랭크뉴스 2025.04.26
48854 李 “가급적 보편복지, 불필요한 사람은 세금으로 환수” 랭크뉴스 2025.04.26
48853 “우리집 강아지·고양이 데리고 식당 갈 수 있다”···음식점 준수 기준은? 랭크뉴스 2025.04.26
48852 [대선팩트체크] 김문수·안철수, 서로 "지지율 팩트체크해봐라"‥해봤더니‥ 랭크뉴스 2025.04.26
48851 “기밀 넘기면 돈준다”…검찰, 현역군인 접근한 중국인 구속기소 랭크뉴스 2025.04.26
48850 국힘 후보들 일제히 "韓대행 출마시 단일화"…'경쟁자신' 계산도(종합) 랭크뉴스 2025.04.26
48849 윤희숙 "경제 살리려면 귀족노조와의 망국적 결탁 끊어내야" 랭크뉴스 2025.04.26
48848 李 "정치보복 않을 텐데 의심 많아…누굴 괴롭히면 행복하지 않아" 랭크뉴스 2025.04.26
48847 병상의 교황, 윤석열 계엄 때 “걱정…한국서 어떻게 그런 일이” [영상] 랭크뉴스 2025.04.25
48846 “교황, 관습 깨고 둥근 탁자에 주교-평신도 나란히 앉혀…감탄” 랭크뉴스 2025.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