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코너 몰리던 이재명 계엄이 살리고
尹 지키기로 천금의 시간 다 보내고
무반성 저질 경선으로 바닥 보이고


17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에서 제21대 대통령선거 '1차 경선 토론회 미디어데이' 행사가 열렸다. 대선 경선 후보 8명(안철수 의원,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 유정복 인천시장, 이철우 경북도지사, 나경원 의원, 양향자 전 의원, 한동훈 전 대표, 홍준표 전 대구시장)이 기념 촬영하고 있다. 연합뉴스


결국 이런 선거가 됐다. 보수진영에선 그래도 희망을 놓지 못하는 모양이다. ‘선거는 51대 49다. 막판 단일화면 뒤집을 수도 있다. 이재명의 제한적 확장성이 결국 발목을 잡을 것이다…’ 다 애처로운 자기위안이다. ‘대통령 이재명’ 외의 길이 더는 보이지 않는다. 접전은커녕 과거 더블스코어였던 이명박·정동영의 득표율만큼이나 격차 날 가능성이 더 커 보인다.

단일화 효과의 근거가 있긴 하다. 19대 대선에서 문재인 후보가 41% 득표로 압승했으나 범보수 후보를 다 합치면 52%로 보수진영 지지도가 더 높았다. 지금은 국민의힘 후보 다 합쳐도 이재명 지지율 50%의 절반도 안 된다. 정당지지도, 정권교체 여론도 현격히 기울어있다. 보수정치에 대한 신뢰 자체가 붕괴했다는 뜻이다. 게다가 남은 기간이 겨우 한 달 남짓이면 끝났다고 보는 게 솔직한 전망이다.

자업자득이니 이재명을 원망할 것도 없다. 그의 대권가도를 꽃길로 만들어준 게 국민의힘과 강성보수진영이니까. 결정적으로 윤석열의 계엄 망동이 코너로 몰리던 그를 평원으로 끌어냈다. 그래도 반전의 기회는 있었다. 시간이 없으니 빨리 윤을 버리고 진짜 보수가치 복구에 나서도록 줄곧 주문했던 까닭이다. 하도 답답해 지난달 초엔 ‘정신 차리라. 문제는 대선이다’라고까지 쏘아붙였다.

그런데도 천금 같은 시간 다 날려먹은 국힘은 여전한 윤 그림자 속에서 애들 장난 같은 외모놀림, 빈정거림 따위를 경선토론이랍시고 내보였다. 화급한 국가현안들인 트럼프의 막무가내식 자국지상주의, 중국의 무서운 기술굴기, 사면초가에 갇힌 경제와 민생, 상존하는 안보 위기 등은 거론되지도 않았다. 이따위 질 낮은 경선은 외면할 이유나 더 쌓았다. 결국 구호만 반(反)이재명이되 실제로는 그의 조력자 역할을 한 게 국힘이다.

열성지지자들에 기반한 지지율 30% 남짓의 박스권에 갇혀있던 이재명이다. 그런 그가 최근 맹렬한 기세로 판세를 굳힌 이유를 달리 찾기는 어렵다. 지난 대선 이후 그 역시 국가지도자로서의 합당한 자질을 보여준 적이 없다. 다만 필사적인 생존능력만 보였다. 그 생존도 상대가 하도 지리멸렬한데다 윤석열이 적시마다 회생의 환경을 만들어 준 덕분이다.

국힘이 안타까워서가 아니다. 위기상황 속 국가전략도 민주적 정치과정에 기반해야 힘과 정당성을 얻는 법이다. 그래서 계엄 탄핵의 국가환란이 새로운 정치개혁의 계기가 될 수도 있겠다는 기대를 품었다. 환란 주범인 국힘부터 대오각성하고, 그렇게 민주당의 변화도 이끌어낼 수 있었을 터였다. 국힘에서 그나마 합리보수정치의 기대를 걸 만했던 유승민에다 오세훈마저 당에 넌더리를 내고 등 돌리면서 일말의 희망도 사라졌다. 이 판국에 완전히 결이 다른 한덕수까지 넣어 억지 단일화를 이룬들 무슨 시너지가 있겠는가.

대선 끝난 뒤 국힘의 모습은 뻔하다. 현 주류가 그 행태 그대로 신진 비주류의 부상을 견제하면서 기득권 지키기에나 매달릴 것이다. 전례 없이 당정을 완벽하게 장악한 이재명 정권하에서는 마땅히 역할도 없을 것이다. 되도 않는 막말이나 거리투쟁 따위로 짐짓 야당 흉내나 내는 정도가 할 수 있는 정치행위의 전부일 것이다. 목표라야 총선 공천을 따내 비루한 정치생명을 이어가는 것뿐이다.

국힘에 더는 조언할 의욕도 없지만 굳이 한마디 얹자면 계엄 이후 자신들이 무슨 일을 벌여왔는지를 찬찬히 돌이켜볼 일이다. 익히 보아온 이재명 일극체제의 전횡을 견뎌낼 각오와 함께 그동안의 윤 지키기 선동 따위를 반성하란 얘기다. 지금은 허망하지만 훗날 실패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서라도.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304 손목밴드 재활용하는 콜드플레이… K팝도 친환경 고민할 때 랭크뉴스 2025.04.24
48303 쌀통에서 건진 '5천만원 돈뭉치'‥한국은행 "개인에게 안 주는데‥" 랭크뉴스 2025.04.24
48302 "해체" 두시간뒤 "아니다"…이재명 싱크탱크 벌써 알력다툼? 랭크뉴스 2025.04.24
48301 임금 이중구조 심화, 타격 더 받는 소규모 업체 종사자 랭크뉴스 2025.04.24
48300 서해 구조물 철거 거절한 中…"양식 시설 직접 보라" 현장 방문 제안 랭크뉴스 2025.04.24
48299 선관위, '韓대행, 심판이 선수로 뛴다'에 "선거관리는 저희가" 랭크뉴스 2025.04.24
48298 윤희숙 "권력에 줄 서는 정치가 계엄 낳아... 진심으로 사죄" 랭크뉴스 2025.04.24
48297 검찰 눈엔 [그림판] 랭크뉴스 2025.04.24
48296 우크라군 "키이우 공습에 북한 탄도미사일 사용" 랭크뉴스 2025.04.24
48295 '아수라장'된 46년 만의 권한대행 시정연설…우원식 "할 일과 하지 말아야 할 일 구별" 한덕수 직격 랭크뉴스 2025.04.24
48294 영화 '오펜하이머' 비밀도시처럼…中고비사막서 우주선 솟구쳤다 [르포] 랭크뉴스 2025.04.24
48293 “스트레스 풀려고” 새끼 고양이 21마리 죽였다…“징역 1년6개월” 랭크뉴스 2025.04.24
48292 [단독] 광장서 과도 든 노숙인… “흉기소지죄 맞나” 경찰 갈팡질팡 랭크뉴스 2025.04.24
48291 이재명 싱크탱크 ‘성장과 통합’ 일주일 만에 좌초 랭크뉴스 2025.04.24
48290 계엄군 이진우의 거수경례‥계엄 몰랐다던 박안수는 '헬기 승인' 랭크뉴스 2025.04.24
48289 “68억원 사라졌다”는데 ‘훔친 건 40억원’···28억원은 어디에? 랭크뉴스 2025.04.24
48288 “엄마가 전화를 안 받아요” 영남 산불에 일어난 기적 [아살세] 랭크뉴스 2025.04.24
48287 檢 “사위 급여는 文의 뇌물”… 다혜씨 부부 태국이주 靑 동원 랭크뉴스 2025.04.24
48286 "하루 꼬박 기다려도 괜찮아" 끝없이 이어진 교황 조문 행렬 랭크뉴스 2025.04.24
48285 ‘경북 산불’ 실화 혐의 2명, 구속영장 심사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