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값이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조기 대선에 따라 기대감이 반영된 세종 지역은 상승폭이 확대됐습니다.
한국부동산원은 '2025년 4월 3주 주간(21일 기준) 아파트가격 동향'을 오늘(24일) 발표했습니다.
서울 아파트값은 0.08% 상승해 3주째 같은 상승률을 보였습니다.
서울 강남4구를 포함한 동남권은 0.15% 상승해 지난주(0.12%)보다 상승했습니다.
구별로 보면 서초구(0.16%→0.18%)와 강동구(0.09%→0.11%)의 아파트값은 소폭 상승했고, 강남구(0.16%→0.13%) 아파트값 상승폭이 감소했습니다.
송파구는 0.18% 올라 지난주(0.08%)보다 0.1%p 상승했습니다.
용산구는 0.13% 올랐고, 마포구와 성동구는 각각 0.14%, 0.17% 상승했습니다.
경기 과천 지역은 0.28% 올라 지난주(0.35%)보다 상승 폭은 줄었습니다.
한국부동산원은 서울 아파트값에 대해 "재건축과 역세권 등 선호단지에서는 매수 문의가 있고, 상승 거래가 체결되고 있다"면서도 "그 외 단지에서는 관망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지난주 1년 반 만에 하락세를 멈추고 상승세로 돌아선 세종 아파트값은 0.23% 상승했습니다.
이는 지난 2023년 7월 넷째 주(24일 기준) 0.25%를 기록한 이후 90주 만에 가장 높은 상승 폭입니다.
특히 고운·다정동 등 정부세종청사 인근 지역 위주로 가격이 올랐는데, 조기 대선에 따른 대통령 집무실 이전 등 기대감이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전국 아파트값은 0.01% 하락해 지난주와 같은 하락 폭을 유지했습니다.
5대 광역시, 8개도도 지난주와 같은 각각 0.06%, 0.03% 하락했습니다.
지난주 전국 아파트 전셋값은 보합으로 유지됐으며, 서울(0.02%→0.03%)은 상승 폭이 소폭 늘었습니다.
시도별로는 울산(0.04%), 부산(0.02%), 경기(0.01%) 등은 상승했고, 전남(-0.07%), 대전(-0.07%) 등은 하락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한국부동산원 보도자료 갈무리]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한국부동산원은 '2025년 4월 3주 주간(21일 기준) 아파트가격 동향'을 오늘(24일) 발표했습니다.
서울 아파트값은 0.08% 상승해 3주째 같은 상승률을 보였습니다.
서울 강남4구를 포함한 동남권은 0.15% 상승해 지난주(0.12%)보다 상승했습니다.
구별로 보면 서초구(0.16%→0.18%)와 강동구(0.09%→0.11%)의 아파트값은 소폭 상승했고, 강남구(0.16%→0.13%) 아파트값 상승폭이 감소했습니다.
송파구는 0.18% 올라 지난주(0.08%)보다 0.1%p 상승했습니다.
용산구는 0.13% 올랐고, 마포구와 성동구는 각각 0.14%, 0.17% 상승했습니다.
경기 과천 지역은 0.28% 올라 지난주(0.35%)보다 상승 폭은 줄었습니다.
한국부동산원은 서울 아파트값에 대해 "재건축과 역세권 등 선호단지에서는 매수 문의가 있고, 상승 거래가 체결되고 있다"면서도 "그 외 단지에서는 관망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지난주 1년 반 만에 하락세를 멈추고 상승세로 돌아선 세종 아파트값은 0.23% 상승했습니다.
이는 지난 2023년 7월 넷째 주(24일 기준) 0.25%를 기록한 이후 90주 만에 가장 높은 상승 폭입니다.
특히 고운·다정동 등 정부세종청사 인근 지역 위주로 가격이 올랐는데, 조기 대선에 따른 대통령 집무실 이전 등 기대감이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전국 아파트값은 0.01% 하락해 지난주와 같은 하락 폭을 유지했습니다.
5대 광역시, 8개도도 지난주와 같은 각각 0.06%, 0.03% 하락했습니다.
지난주 전국 아파트 전셋값은 보합으로 유지됐으며, 서울(0.02%→0.03%)은 상승 폭이 소폭 늘었습니다.
시도별로는 울산(0.04%), 부산(0.02%), 경기(0.01%) 등은 상승했고, 전남(-0.07%), 대전(-0.07%) 등은 하락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한국부동산원 보도자료 갈무리]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