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24일 서울 영등포구 금융감독원에서 열린 자본시장 현안 브리핑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삼부토건 주가조작 사건에 윤석열 전 대통령 부인 김건희씨와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먼트 대표가 연루됐다는 의혹에 대해 “현 금융당국 조사 단계에선 특정인들의 부정거래 연관성을 확인해 고발할 만한 내용이 확인되지 않았다”며 “이제는 검찰의 시간”이라고 말했다.
이 원장은 24일 서울 여의도 금감원에서 열린 자본시장 현안 브리핑에서 이같이 밝혔다.
지난 22일 금융위원회 산하 증권심의위원회는 삼부토건 전·현 실질사주와 대표이사 등이 주가를 의도적으로 띄운 뒤 주식을 매도해 부당이익을 본 혐의가 있다고 보고 이들을 검찰에 고발했다. 다만 삼부토건 주가조작에 개입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김건희 씨 등은 고발 대상에 포함되지 않아 논란이 일었다.
이 원장은 “의혹이 제기된 인물들과 관련해 저희가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자금 확인, 주식거래 내역, 피고발인 측과의 연관성에 대해선 분석을 진행했다”며 “금감원 자체의 조사 객관성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기 때문에 제3자이자 수사전문기관인 검찰이 (조사내용을) 다 보실 수 있도록 일체의 자료를 빼지 않고 검찰에 보내는 것”이라고 말했다.
금감원은 김건희 씨 등에 대한 의혹에 대해 고발 혐의는 찾지 못했지만, 관련 자료와 웰바이오텍 CB(전환사채) 취득 자료 등 관련 자료를 검찰에 넘기고 검찰수사에 협력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MBK파트너스와 홈플러스의 사기적 부정거래 혐의와 관련해 이 원장은 “광대한 자료 분석 등을 통해 조사한 결과 MBK·홈플러스가 사전에 신용등급 하락을 인지한 점과 상당 기간 전부터 기업 회사 신청을 계획한 점에 대한 구체적인 증거를 확보하여 검찰에 이첩했다”고 말했다.
이어 “MBK 측에선 당국에 다수의 거래 업체들의 유지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채권자 중 하나인 금융기관의 협조를 도와달라는 식의 요청까지 하는 상황”이라며 “절차에 어울리지 않는 형태의 요청을 하는 것들에 대해서는 매우 부적절하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최근 금감원이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유상증자에 정정신고서를 요청한 것에 대해선 이 원장은 “증자 규모 축소 및 제3자 배정 추진 등 증자 구조 변경이 주주 및 회사에 미치는 영향 등을 추가하고 일부 자금 사용 계획의 구체성 등을 보완하도록 재차 정정요구했다”며 “투자 판단 주요 사항 등 기재 사항에 특별한 문제가 없을 경우 증권신고서 상 일정대로 자금 조달이 진행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최근 금융당국이 기업 자금 조달 수단인 유상증자를 옥죄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에 대해 해명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