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이 해병대 채모 상병 순직사건 외압 의혹의 수사 포렌식 참관을 위해 23일 경기도 과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로 들어서며 입장문을 읽고 있다. 연합뉴스
‘채상병 순직 사건 외압 의혹’ 사건의 핵심 참고인인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이 휴대전화 포렌식 참관을 위해 23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에 출석했다.
임 전 사단장은 이날 오전 경기 과천 공수처 청사에 출석하면서 기자들과 만나 “휴대전화 비밀번호는 지금도 기억하지 못한다. 압수수색 받으면서 경황없이 휴대전화 비밀번호를 설정하다 보니 기억 못 한다”며 “(휴대폰을 풀지 못하는 것에 대해) 저도 안타깝다”고 밝혔다.
채상병 순직 이후 대통령실이나 국방부 윗선이 임 전 사단장을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로 경찰에 이첩되지 않도록 외압을 가했다는 의혹을 수사 중인 공수처는 지난해 1월 임 전 사단장의 휴대전화를 확보했지만, 임 전 사단장이 비밀번호를 기억하지 못한다고 주장해 잠금을 해제하지 못했다. 지난해 8월에 이어 8개월 만에 채상병 사건에 대한 수사를 재개한 공수처는 이날 다시 임 전 사단장의 포렌식 작업에 나섰다.
‘비밀번호를 모르는데 포렌식 절차에 어떻게 협조할 계획이냐’를 묻는 말에는 “휴대전화에 에스디(SD)카드가 있다. 이게 암호가 없어도 풀리는지 기술적으론 모르겠으나, 거기에 많은 정보가 있다”며 “저도 휴대전화가 열려서 저를 둘러싼 의혹이 실체가 없다는 게 소명될 수 있기를 간절히 바란다”고 했다.
임 전 사단장은 이날 포렌식 작업에서 ‘어떤 자료가 나올 것으로 예상하냐’는 물음에는 “지난해 8월에 많은 자료가 나왔다. 이미 공수처는 구명로비가 없었음을 정확히 파악하고 있을 것”이라며 “(이번 포렌식은) 완벽성 높이기 위해 조사하는 것이라 생각한다”고 했다.
임 전 사단장은 “수사가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지연되고 있다. 수사 객체로서 할 수 있는 건 하나도 없다”며 “수사를 통해서 명백하게 의혹이 조속히 밝혀지기를 바라고 저도 적극 협조하겠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순직한 채상병에 대해 “그 누구보다도 모든 책임 통감한다. 유가족분들에게 진심으로 안타까운 마음이고 죄송한 마음 간직하면서 살고 있다”며 “그래서 진실이 반드시 조속히 이뤄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진실규명에 앞장서고 노력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