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올들어 생애 첫 부동산 구입 20~30대 18% 늘어
과거 ‘학습 경험’ 영향, 집값 오를까 초조해진 심리
전문가 “청약 개선 등 불안감 덜어주는 정책 필요”
서울 중구 남산서울타워에서 바라본 서울 도심의 아파트 단지 모습. 문재원 기자


서울시 서대문구의 아파트에 전세로 살고 있는 이모씨(35)는 지날 2월 말 예비 배우자와 함께 이른바 ‘갭투자’로 아파트를 샀다. ‘신생아 특례 대출’ 등 정부의 주택 구매 지원 정책이 나올 때마다 서울 아파트값이 들썩이는 현상을 보며 ‘오르기 전에 미리 사두자’는 생각이 확고해졌기 때문이다. 서울·수도권에 신축 아파트 공급이 줄어드는 소식도 매수 결정을 하는 데 기름을 부었다.

경기도 분당의 부모님 집에서 강남으로 출퇴근하는 30대 직장인 우모씨도 최근 예비 배우자와 ‘영끌’ 해서 아파트를 살 생각을 하고 있다. 서울시가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구역)을 해제했다 재지정·확대하는 과정에서 강남 집값 상승을 보면서 불안감이 커졌다. 우씨는 “집값이 안정적이라면 몇 년간 현금을 모아 대출받을 계획을 세우겠지만, 지금 보면 2021년 같은 ‘불장’이 안 온다는 보장이 없는 것 같다”고 불안해했다.

정부와 서울시의 토허구역 확대 재지정 이후 한달간 서울 아파트 시장은 일단 진정되는 모양새이나 젊은 무주택자들 사이에선 ‘정권이 바뀌고 집값이 오르면 어떡하냐’는 초조함도 커지고 있다. 올들어 생애 첫 부동산을 구입한 20~30대가 전년보다 약 18% 가량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법원 등기정보광장의 22일 자료를 보면, 올해 1월부터 4월 21일까지 서울에서 생애 첫 집합건물(빌라·아파트 등)을 산 사람은 1만3464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만2753명)보다 711명(5.6%) 늘어났다.

주목할 점은 20대와 30대의 매수자가 지난해에 비해 유독 늘었다는 점이다. 올해 서울에 생애 최초 집합건물을 사들인 30대는 6414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5344명)과 비교할 때 20% 증가했다. 20대도 1540명으로 1년전(1422명)보다 8.3% 많았다. 20~30대를 합치면 전년보다 17.5% 늘었다. 반면 40대 이상은 지난해와 비교할 때 매수자가 줄었다. 40대는 -5.9%, 50대 -16.4%, 60대 -1.4% 등이다.

토허구역 확대 재지정 후인 4월 한달간 매수자 수만 살펴보면 연령별 차이가 더 뚜렷하다. 4월 1일부터 21일까지 생애 첫 집합건물을 매수한 20대는 336명으로, 전년 같은 기간(252명)보다 33.3% 늘었다. 30대는 996명으로 전년(852명)보다 16.9% 늘었다. 반면 40대 매수자는 423명으로 전년(478명)보다 11.5% 줄었고, 50대는 213명으로 전년(279명)보다 23.7%, 60대는 106명으로 전년(138명)보다 23.2%나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0~30대에서 주택 구매가 다른 세대보다 급증한 건 과거의 ‘학습 경험’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들의 부모세대에서 아파트 소유 여부로 자산의 양극화를 경험하면서 대출을 받아서라도 ‘서울’에서 집을 사야 한다는 경험이 작용했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특히 지난해 1월 신생아 특례대출 등 정책적 금융지원이 늘어난 것도 큰 이유로 작용한다. 여기에 6·3 대선 이후 정책 변화에 따라 집값이 오를 수 있다는 심리적 요인도 일부 영향을 미쳤다고 풀이된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빚내기가 자산 마련의 기본이라고 여기는 젊은 세대의 특성에 신생아 특례대출, 생애최초 주택담보대출 등 정부의 정책자금이 더해진 결과”라고 분석했다.

송인호 KDI경제정보센터 소장은 “20~30대의 자산 포트폴리오 비중이 부동산에만 집중되면 중장년에 들어섰을 때 자산 관리에 불리함이 클 수 있다”며 “청년에게 불리한 기존 주택청약 제도를 획기적으로 바꾸는 등 자산 격차 확대에 대한 청년의 불안감을 덜어주는 정책이 나와야 한다”고 말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580 [속보] 대법원 전원합의체, 이재명 선거법 재판 24일 속행 new 랭크뉴스 2025.04.23
47579 대법원, 오는 24일 이재명 선거법 위반 상고심 두 번째 회의 new 랭크뉴스 2025.04.23
47578 “황금연휴? 남 얘기” 무휴 운영 가맹점 62.7% new 랭크뉴스 2025.04.23
47577 월드옥타 무역인 양성 국고지원 사업, '공짜 관광' 기회로 전락 new 랭크뉴스 2025.04.23
47576 [속보] 대법 전원합의체, 이재명 선거법 재판 24일 속행 new 랭크뉴스 2025.04.23
47575 검찰, '오세훈 여론조사 대납' 전광삼 대통령실 시민사회수석 조사 new 랭크뉴스 2025.04.23
47574 인도 카슈미르 관광지서 총기 난사… 관광객 등 26명 사망 new 랭크뉴스 2025.04.23
47573 [단독] 미아역 마트 흉기 난동 남성, "의사가 해치려 해 겁이 나 흉기 휘둘러" 진술 new 랭크뉴스 2025.04.23
47572 [단독]기재부 예비비 증액에 “적정성 검토해야” 제동 건 기재위 전문위원 new 랭크뉴스 2025.04.23
47571 아시아나항공, 에어인천行 직원들 업무 공간 분리 new 랭크뉴스 2025.04.23
47570 이국종 국군대전병원장 근황 “제한된다는 얘기 하지 마라” [이런뉴스] new 랭크뉴스 2025.04.23
47569 프란치스코 교황 장례식, 외교무대 되나... 젤렌스키 "트럼프 만나길 기대" new 랭크뉴스 2025.04.23
47568 트럼프, 中 협상 땐 "관세율 내려갈 것…제로는 아니다" new 랭크뉴스 2025.04.23
47567 마트 칼부림 살해범, 범행후 태연히 담배 피우며 통화 new 랭크뉴스 2025.04.23
47566 방한 땐 '소울' 탔던 프란치스코 교황…100달러만 남기고 떠났다 new 랭크뉴스 2025.04.23
47565 트럼프 "파월 해고 생각안해" new 랭크뉴스 2025.04.23
47564 머스크 “5월부터 경영 집중”…테슬라 주가, 시간외거래서 급등 new 랭크뉴스 2025.04.23
47563 강남서 테슬라 사이버 트럭 부순 난동범은 중국인 랭크뉴스 2025.04.23
47562 이재명이 ‘한덕수’를 말하지 않는 이유···측근 “그분에 관심없다” 랭크뉴스 2025.04.23
47561 [속보]트럼프 "파월 해고 생각안해" 랭크뉴스 2025.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