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재명, 외교 안보 방향 자료 보고 받아
강제동원, 남북협력 등 민감 현안 빠져
각 세웠던 2017·2022 대선과 대조적
"주변국 관계 감안해야"... 신중모드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 19일 충북 청주체육관에서 열린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선출을 위한 충청권 합동연설회를 마치고 당원들을 향해 인사하고 있다. 뉴스1


앞서 대선 과정에서 외교안보 현안에 강경 발언을 쏟아냈던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이번에는 '전략적 침묵'을 택했다. 캠프가 마련한 공약에도 현안에 대한 구체적 입장 표명 없이 '국익 중심의 실용외교'라는 방향성만 제시할 것으로 전해졌다.

담백해진 이재명 '외교어록'…국익 중심 실용외교 따라간다



22일 정치권에 따르면 이 전 대표는 최근 외교안보 공약 방향을 정리한 자료를 보고 받았다. '국익 중심의 실용외교'를 내건 보고서는 △한미동맹을 주축으로 한 국익외교 △한미일 협력 기조 유지 △한중 간 전략적 협력 증진 △한러 잠재력 협력사업 점진적 발굴 등을 담은 것으로 알려졌다. 사실상 이 전 대표의 '외교백서'인 셈이다. 구체적 내용은 가급적 피했다. 이 전 대표 측은 "외교 쪽은 아무래도 신중해야 한다"며 "방향성도 본선 진출이 확정돼야 구체적으로 공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2017년과 2022년 대선 때와는 확연히 달라진 모습이다. 이 전 대표는 2017년 경선 과정에서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 철회 △트럼프와 미국에 'No'라고 말할 수 있는 나라 △한일 일본군 위안부 합의 파기 등을 공약으로 내세웠다. 지지층을 결집했다는 평가에도 불구, 격한 발언으로 '반미·반일' 이미지가 남았다.

반면 이번에는 외교 현안에 대해 '전략적 모호성'을 유지하고 있다. 윤석열 정부의 일제 강제동원 해법(제3자 변제안)이 대표적이다. 외교와 인권이 복잡하게 얽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파기' 아님 '유지' 식으로 단순하게 접근했던 과거와는 달라져야 한다는 계산이 깔렸다. 민주당 관계자도 "정당으로서 제3자 변제안에 비판적인 입장이지만, 그렇다고 변제안 수용자들이 있는데 철회한다고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도 아니지 않느냐"면서 "경선·대선 정국에서는 더욱 민감한 문제라 논의가 어렵다"고 말했다.

남북경협, 장기과제로…이재명, 워싱턴 '색안경' 지울 수 있을까



민주당의 전통적 공약인 '남북 경제협력'도 최우선 과제가 아닌 장기 과제로 다뤄질 것으로 보인다. 이 전 대표는 2022년 대선 당시 △종전선언 추진 △개성공단 사업 재개 △남북·남북러 철도사업 추진 등 남북 경제협력에 초점을 맞춘 공약을 적잖게 내놨다.

그와 달리 이번에는 북핵 대응능력을 제고하면서 대화노력을 병행한다는 원론적인 접근이 주로 담길 것으로 전해졌다. 2022년 추진했던 통일부 명칭 변경도 적극 검토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자칫 북한이 주장하는 '두 개의 적대국가'를 수용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 같은 기조 변화에는 중도 보수 표심을 끌어오고 '친중·친북' 이미지를 떨쳐내려는 계산이 깔렸다. 이 전 대표의 과거 '셰셰' 발언은 여전히 회자되면서 대중 굴종외교라는 지적이 나오는 상황이다. 2022년 대선과정에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향해 "정치 초보가 러시아의 침공을 초래했다"는 취지로 발언해 국내는 물론 국제사회에서 꽤 논란이 됐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1차 탄핵소추안에 '한미동맹과 한미일 안보협력'을 탄핵 사유로 넣은 사례는 아직도 미국 조야에서 입길에 오르고 있다.

이와 관련, 패트릭 크로닌 허드슨연구소 아태지역 안보석좌는 앞서 1월 본보와 화상인터뷰에서 "다른 방향으로 가고 싶다는 측에 미국이 '그거 좋은 생각이다' 하고 협조적으로 나올 이유가 없지 않느냐"고 지적했다. 도쿄의 외교 소식통은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종전 80주년 담화 발표를 보류한 것도 한국의 상황을 고려한 전략적 조치인 것으로 안다"며 "대선 정국 동향을 주시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568 트럼프, 中 협상 땐 "관세율 내려갈 것…제로는 아니다" 랭크뉴스 2025.04.23
47567 마트 칼부림 살해범, 범행후 태연히 담배 피우며 통화 랭크뉴스 2025.04.23
47566 방한 땐 '소울' 탔던 프란치스코 교황…100달러만 남기고 떠났다 랭크뉴스 2025.04.23
47565 트럼프 "파월 해고 생각안해" 랭크뉴스 2025.04.23
47564 머스크 “5월부터 경영 집중”…테슬라 주가, 시간외거래서 급등 랭크뉴스 2025.04.23
47563 강남서 테슬라 사이버 트럭 부순 난동범은 중국인 랭크뉴스 2025.04.23
47562 이재명이 ‘한덕수’를 말하지 않는 이유···측근 “그분에 관심없다” 랭크뉴스 2025.04.23
47561 [속보]트럼프 "파월 해고 생각안해" 랭크뉴스 2025.04.23
47560 한국 직장인 재택근무 '일주일에 0.5일'…세계에서 제일 적은 이유는 바로 랭크뉴스 2025.04.23
47559 30세에 '자산 2조'…테일러 스위프트 제친 억만장자 그녀, 누구 랭크뉴스 2025.04.23
47558 트럼프, 협상 시 대중 관세율에 “상당히 내려갈 것...제로는 아냐” 랭크뉴스 2025.04.23
47557 “미국, ‘크름반도 러 영토 인정’ 협상안 마련”···위트코프 특사, 이번주 4차 방러 랭크뉴스 2025.04.23
47556 컷오프된 이철우·유정복·양향자… 일주일 행보, 인지도 끌어올렸다 랭크뉴스 2025.04.23
47555 안철수, 金·韓·洪에 “탄핵 실책, 국민 앞에 사과하고 통합하자” 랭크뉴스 2025.04.23
47554 대법원장이 직접 결정 ‘총대’… 대선前 선고여부에 촉각 랭크뉴스 2025.04.23
47553 수도권·강원 대체로 ‘맑음’…내륙 최대 15도 일교차 랭크뉴스 2025.04.23
47552 트럼프 “중국산 관세 크게 낮아질 것…시진핑에 강력 대응 안 해” 랭크뉴스 2025.04.23
47551 ‘롤스로이스’ 운전자에 마약 처방하고 환자 성폭행한 의사, 징역 16년 확정 랭크뉴스 2025.04.23
47550 트럼프 “파월 해고 생각 없다…對中 관세율 상당히 내려갈 것” 랭크뉴스 2025.04.23
47549 꼬리내린 트럼프 “중국산 관세 크게 낮아질 것…145% 너무 높아” 랭크뉴스 2025.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