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재명, 외교 안보 방향 자료 보고 받아
강제동원, 남북협력 등 민감 현안 빠져
각 세웠던 2017·2022 대선과 대조적
"주변국 관계 감안해야"... 신중모드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 19일 충북 청주체육관에서 열린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선출을 위한 충청권 합동연설회를 마치고 당원들을 향해 인사하고 있다. 뉴스1


앞서 대선 과정에서 외교안보 현안에 강경 발언을 쏟아냈던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이번에는 '전략적 침묵'을 택했다. 캠프가 마련한 공약에도 현안에 대한 구체적 입장 표명 없이 '국익 중심의 실용외교'라는 방향성만 제시할 것으로 전해졌다.

담백해진 이재명 '외교어록'…국익 중심 실용외교 따라간다



22일 정치권에 따르면 이 전 대표는 최근 외교안보 공약 방향을 정리한 자료를 보고 받았다. '국익 중심의 실용외교'를 내건 보고서는 △한미동맹을 주축으로 한 국익외교 △한미일 협력 기조 유지 △한중 간 전략적 협력 증진 △한러 잠재력 협력사업 점진적 발굴 등을 담은 것으로 알려졌다. 사실상 이 전 대표의 '외교백서'인 셈이다. 구체적 내용은 가급적 피했다. 이 전 대표 측은 "외교 쪽은 아무래도 신중해야 한다"며 "방향성도 본선 진출이 확정돼야 구체적으로 공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2017년과 2022년 대선 때와는 확연히 달라진 모습이다. 이 전 대표는 2017년 경선 과정에서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 철회 △트럼프와 미국에 'No'라고 말할 수 있는 나라 △한일 일본군 위안부 합의 파기 등을 공약으로 내세웠다. 지지층을 결집했다는 평가에도 불구, 격한 발언으로 '반미·반일' 이미지가 남았다.

반면 이번에는 외교 현안에 대해 '전략적 모호성'을 유지하고 있다. 윤석열 정부의 일제 강제동원 해법(제3자 변제안)이 대표적이다. 외교와 인권이 복잡하게 얽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파기' 아님 '유지' 식으로 단순하게 접근했던 과거와는 달라져야 한다는 계산이 깔렸다. 민주당 관계자도 "정당으로서 제3자 변제안에 비판적인 입장이지만, 그렇다고 변제안 수용자들이 있는데 철회한다고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도 아니지 않느냐"면서 "경선·대선 정국에서는 더욱 민감한 문제라 논의가 어렵다"고 말했다.

남북경협, 장기과제로…이재명, 워싱턴 '색안경' 지울 수 있을까



민주당의 전통적 공약인 '남북 경제협력'도 최우선 과제가 아닌 장기 과제로 다뤄질 것으로 보인다. 이 전 대표는 2022년 대선 당시 △종전선언 추진 △개성공단 사업 재개 △남북·남북러 철도사업 추진 등 남북 경제협력에 초점을 맞춘 공약을 적잖게 내놨다.

그와 달리 이번에는 북핵 대응능력을 제고하면서 대화노력을 병행한다는 원론적인 접근이 주로 담길 것으로 전해졌다. 2022년 추진했던 통일부 명칭 변경도 적극 검토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자칫 북한이 주장하는 '두 개의 적대국가'를 수용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 같은 기조 변화에는 중도 보수 표심을 끌어오고 '친중·친북' 이미지를 떨쳐내려는 계산이 깔렸다. 이 전 대표의 과거 '셰셰' 발언은 여전히 회자되면서 대중 굴종외교라는 지적이 나오는 상황이다. 2022년 대선과정에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향해 "정치 초보가 러시아의 침공을 초래했다"는 취지로 발언해 국내는 물론 국제사회에서 꽤 논란이 됐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1차 탄핵소추안에 '한미동맹과 한미일 안보협력'을 탄핵 사유로 넣은 사례는 아직도 미국 조야에서 입길에 오르고 있다.

이와 관련, 패트릭 크로닌 허드슨연구소 아태지역 안보석좌는 앞서 1월 본보와 화상인터뷰에서 "다른 방향으로 가고 싶다는 측에 미국이 '그거 좋은 생각이다' 하고 협조적으로 나올 이유가 없지 않느냐"고 지적했다. 도쿄의 외교 소식통은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종전 80주년 담화 발표를 보류한 것도 한국의 상황을 고려한 전략적 조치인 것으로 안다"며 "대선 정국 동향을 주시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615 [속보]대법 전원합의체, ‘이재명 공직선거법’ 재판 24일 또 심리 new 랭크뉴스 2025.04.23
47614 ‘김건희 선물용’ 다이아몬드 목걸이, 건진법사·통일교 의혹 수사 new 랭크뉴스 2025.04.23
47613 요양원 반대하던 셋째 아들, 생활고에 좌절…‘일산 간병살인’ 전모 new 랭크뉴스 2025.04.23
47612 손학규 "한덕수, 누구보다 경쟁력 있어‥중요한 건 본인 의지" new 랭크뉴스 2025.04.23
47611 부정 여론 의식?…머스크 "정부 업무 줄이고, 테슬라에 집중" new 랭크뉴스 2025.04.23
47610 "소풍 안 가요" 사고 나면 책임 물을까 현장학습 줄취소 new 랭크뉴스 2025.04.23
47609 30년 만에 피자가 만두 꺾었다…CU, 냉동 간편식 지각 변동 new 랭크뉴스 2025.04.23
47608 [속보] 전세사기특별법 일몰 2년 연장안, 국토위 전체회의 통과 new 랭크뉴스 2025.04.23
47607 [속보] 이재명 재판 속도…대법 전원합의체, 내일 두 번째 합의기일 new 랭크뉴스 2025.04.23
47606 김문수 "한덕수 출마하면 당연히 단일화 제안‥'빅텐트' 대동단결" new 랭크뉴스 2025.04.23
47605 같은 '롯데', 다른 '온도'…지알에스와 지에프알 new 랭크뉴스 2025.04.23
47604 '남자가 여자화장실 들어가면 알람'…안양시 성별인식 CCTV 확대 new 랭크뉴스 2025.04.23
47603 사람 손길 그리워…인형에 머리 들이민 유기견, 감동 근황 [잇슈 SNS] new 랭크뉴스 2025.04.23
47602 [속보] ‘전세사기특별법 2년 연장안’ 국토위 전체회의 통과 new 랭크뉴스 2025.04.23
47601 [속보] 이재명 재판 속도…대법 전원합의체, 내일 두 번째 회의 new 랭크뉴스 2025.04.23
47600 여학생들에 접근해…남양주 호평·평내 '175㎝ 남성 주의보' new 랭크뉴스 2025.04.23
47599 ‘폰 포렌식’ 공수처 출석 임성근 “비밀번호 지금도 기억 안나” new 랭크뉴스 2025.04.23
47598 “숙제 안해서” 야구방망이로 아들 때려 숨지게 한 아빠, 징역 10년 구형 new 랭크뉴스 2025.04.23
47597 손으로 카레 먹고 벽 침대에서 자고... 이 예능 '기며든다' new 랭크뉴스 2025.04.23
47596 교황 월급도 마다한 프란치스코…재산 고작 ‘100달러’ new 랭크뉴스 2025.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