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22일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대장동 배임 및 성남FC 뇌물’ 1심 속행 공판에 출석하고 있다. [뉴스1]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22일 사회적 합의를 통해 의대 증원 규모를 결정하고, 공공의대를 설립해 공공·필수·지역 의료를 강화하는 내용의 의료 정책 공약을 공개했다.

이 후보는 이날 SNS에 공개한 의료 정책 발표문에서 “의대 정원을 합리화하겠다”며 “모든 이해당사자가 참여하는 사회적 합의에서 다시 출발해 인공지능(AI)과 첨단 과학기술 발달에 따른 시대 변화까지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다만 의대 정원과 관련해 구체적인 규모나 방안을 언급하지 않았다. 증원 가능성은 열어두었으나, 의료인력 수급추계위원회에 맡겨 타협안을 끌어낼 것으로 관측된다. 이와 관련, 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400명을 증원해 서서히 늘려간다는 2020년 정책 방향에 당내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고 말했다.

이 후보는 “지난 의료 대란은 모두에게 고통을 남겼다”며 “정부의 일방적 결정에 의료계는 대화의 문을 닫았고, 결국 국민이 가장 큰 피해를 보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진료를 제대로 받지 못한 환자들은 생사를 넘나들어야 했고, 전공의와 의대생들은 병동과 학교를 떠났다”며 “이제 갈등과 대립, 정쟁을 끝내고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중심으로 모두가 머리를 맞대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석열 정부의 대표적인 실책으로 꼽히는 의료갈등 장기화를 비판하며 정책 차별성을 강조하려는 메시지로 풀이된다.

이 후보는 또 “공공의료를 강화하겠다”며 “공공의대를 설립해 공공·필수·지역 의료인력을 양성하고 디지털 인프라를 기반으로 한 차세대 공공의료시스템을 갖춘 공공병원을 확충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지역 간 의료 격차를 줄이고 응급, 분만, 외상치료 등 필수 의료는 국가가 책임지겠다”며 “건보 재정의 안정과 효율적 사용을 위해 건보 제도를 개혁하고 환자의 권리와 안전을 최우선으로 보장하도록 의료 시스템을 강화하겠다”고 약속했다.

이 후보가 언급한 공공의대는 2018년 문재인 정부가 내놨다가 의료계의 거센 반발에 밀려 접었던 정책이다. 문 정부는 2022년 개교 목표로 전북 남원에 공공의대를 설립하려고 했다. 공공의대 졸업자는 일본처럼 각 지역 공공의료기관 등에서 일정 기간 의무 근무시킨다는 계획이었다. 문 닫은 서남대 의대 정원(49명)을 활용하기 때문에 의대 정원은 더 늘리지 않는다고 했으나 끝내 무산됐다.

이날 이 후보가 제시한 공공의대는 ‘공공의료 사관학교’ 형태가 될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 관계자는 “공공의료 인력 양성 전문기관이라는 목표는 같지만, 양성 트랙 자체를 다르게 하는 완전히 새로운 개념”이라고 설명했다. 국방부가 추진 중인 국방의대 역할을 포괄하고, 기존 의사들과 면허 제도를 달리하는 방안 등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 후보는 24~25일 전북·광주·전남을 잇따라 방문한다. 26일 순회경선 행사가 열리는 호남권엔 민주당 전국 권리당원 112만 명 중 33%인 37만 명이 몰려 있다. 충청권·영남권 투표에서 누적 득표율 89.56%를 기록한 이 후보가 호남에서도 ‘구대명’(90% 득표율의 대통령 후보 이재명)을 달성하며 판세를 굳히는지가 관심이다. 이 후보는 20대 대선 경선에서 5연승을 달리던 도중 광주·전남 경선에서 이낙연 후보에게 0.17%포인트 차로 패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456 유흥식 추기경도 교황 후보에 올랐다…伊 일간지가 꼽은 12인 랭크뉴스 2025.04.23
47455 군 정찰위성 4호기 발사 성공…‘킬체인’ 역량 강화 랭크뉴스 2025.04.23
47454 미래차·로봇·철강… 현대차, 경쟁사와 전방위 합종연횡 랭크뉴스 2025.04.23
47453 뉴욕증시, 기업 호실적·저가 매수세에 상승 출발 랭크뉴스 2025.04.23
47452 IMF, 올해 韓 경제성장률 2.0%→1.0% '반토막'…"관세 타격 영향" 랭크뉴스 2025.04.23
47451 팔짝 뛴 고등어·명태 가격… 밥상 물가 ‘비상’ 랭크뉴스 2025.04.23
» »»»»» 문 정부가 접었던 공공의대 설립, 이재명 다시 꺼냈다 랭크뉴스 2025.04.23
47449 푸틴, 오만 술탄과 회담…미·이란 핵협상 논의 랭크뉴스 2025.04.23
47448 11년전 北무인기에 뚫린 靑…그때 김용현 살린 게 노상원 [尹의 1060일⑬] 랭크뉴스 2025.04.23
47447 비트코인, 46일만에 9만달러선 회복…美 기술주와 디커플링 조짐 랭크뉴스 2025.04.23
47446 "유리천장 여전하네"…대기업 여성 연봉, 근속연수 비슷한 남성보다 낮아 랭크뉴스 2025.04.23
47445 테슬라 사이버트럭·BMW 발로 박살…강남 뒤집은 30대 男 알고보니 랭크뉴스 2025.04.23
47444 인도 카슈미르서 총격 테러… "관광객 포함 24명 사망" 랭크뉴스 2025.04.23
47443 최상목, 통상협의 위해 방미…"美 관심 경청하고 韓 입장 설명" 랭크뉴스 2025.04.23
47442 한국에 유독 가혹한 트럼프 ‘관세 충격’…미·중 수출 비중 커 직격탄 랭크뉴스 2025.04.23
47441 ‘이재명 선거법 사건’ 대법 전원합의체 회부…선고 시점 촉각 랭크뉴스 2025.04.23
47440 “해코지 걱정에 이사 가려 했는데…” 봉천동 방화 피해자 가족의 한탄 랭크뉴스 2025.04.23
47439 교황, 마지막으로 광장 서기 전 "내가 해낼 수 있을까" 물었다 랭크뉴스 2025.04.23
47438 [대선언팩] “용산보다 안전”… 보안 큰 문제없다 랭크뉴스 2025.04.23
47437 [대선참견시점] 신발열사의 지지 선언 / 사라진 콜드플레이 랭크뉴스 2025.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