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주주 증여는 주가 저점 신호
최근 밸류업 공시도 발표
최근 밸류업 공시도 발표
[서울경제]
곽동신 한미반도체(042700) 회장이 다음 달 두 아들에게 각각 363억 원씩 지분을 증여하기로 했다. 주가가 낮은 수준일 때 증여를 해야 세금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지분 증여 공시는 주가가 바닥이라는 신호로 해석된다.
22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곽 회장은 주요 주주의 특정증권 등 거래 계획 보고서를 통해 다음 달 22일 보통주를 자녀 두 명에게 증여한다고 밝혔다. 거래금액의 70~130% 범위 안에서 계획과 다르게 거래할 수 있기 때문에 실제 증여 규모는 달라질 수 있다.
곽 회장은 자녀 곽호성씨와 곽호중씨에게 각각 처분 단가 1주당 7만 5100원 기준으로 48만 3071주씩 362억 7863만 2100원을 증여할 예정이다. 21일 종가 기준으로 수량 및 거래금액을 산출했다. 지분율로는 각각 0.5%씩 전체 1% 규모다. 이로써 곽 회장은 725억 5726만 4200원을 증여하게 됐다.
곽 회장은 올해 3월과 4월에 각각 장내매수를 통해 지분 20억 원, 30억 원 등 전체 50억 원 규모를 확보해 지분이 34.01%로 늘었다. 두 자녀에 대한 증여로 곽 회장 지분은 33.01%로 낮아질 전망이다.
곽 회장은 지난해 7월에도 두 자녀에게 각각 96만 9937주씩 전체 193만 9874만 주를 기부한 바 있다. 당시 종가 기준으로 3063억 원 규모다.
대주주가 지분을 증여한다는 소식이 나오면 주가가 저점을 형성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과세표준 30억 원을 초과하면 최고세율 50%가 적용돼 막대한 증여세를 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가가 낮아졌을 때 지분을 증여하는 경우가 많다. 이날 한미반도체 주가는 하락 출발했다가 지분 증여 공시가 나온 전후로 상승 전환했다.
앞서 한미반도체는 기업가치 제고 계획 공시를 통해 신제품 출시를 통한 매출 목표와 함께 비과세 배당, 지속적인 자사주 매입, 자사주 매입 이후 이익 소각 등을 발표했다. 지난해 한미반도체는 2000억 원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한 데 이어 2005년 상장 이후 19년 동안 꾸준히 배당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최근 6년 동안 평균 주주환원율은 66.39%다. 2018년 이후 소각한 이익 규모는 1699억 원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