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플랫폼 외교'로 외교 채널 다변화해야
"美 방위비와 관세 문제 분리 대응할 것"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에 출마한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21일 서울 영등포구에 위치한 캠프 사무실에서 한국일보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홍인기 기자


6·3 대선에 출마한 김경수 전 경남지사는 21일 통일부를 '평화협력부'로 전환하고 윤석열 정부에서 폐기된 9·19 남북군사합의를 복원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기존의 남북 흡수통일전략이나 북한의 붕괴론을 대체할 평화공존의 해법을 찾아야 한다는 취지다. 북미관계를 두고 ‘한국 패싱’을 우려할 필요가 없다는 의견도 내놨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가 강력한 주도권을 가지고 외교 관계를 재조정하는 상황에서 우리도 현실적인 선택을 해야 한다는 취지다.

김 전 지사는 서울 영등포구 선거사무실에서 한국일보와 인터뷰를 갖고 대선 출마 이유에 대해 "저는 '모두가 이기는 경선'이라고 표현을 하는데, 후보가 누가 되든 '민주당이 다음 정부를 성공적으로 운영할 수 있겠구나'라는 확신을 심어주는 게 중요하다"며 "여기에 역할이 주어진다면 마다하지 않는 것이 정치인의 도리이고 당원의 도리"라고 밝혔다. 또한 "이번 경선을 통해 제 비전과 정책을 알리고 지지를 호소하는 과정 자체로도 제게는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일각에서 제기하는 '착한 2등' 전략과는 선을 그었다. 유력 주자인 이재명 전 대표를 이길 자신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경선은 상황이 불리하더라도 '내가 1위가 되려면 또는 대통령이 되려면 어떻게 하겠습니다'를 가지고 국민들을 설득하는 과정"이라고 답했다. 2등을 전제로 경쟁에 임하지 않다는 뜻이다.

그러면서 외교안보 비전을 제시했다. 북미관계와 관련 "남한 패싱 얘기를 많이 하는데 그건 각자의 역할론으로 생각하면 된다"고 '남북미 역할론'을 꺼냈다. 그는 "미국과는 늘 충분히 협의하되, 남한이 빠졌으니까 하지 마라 하면 안 된다"며 "북미 대화도 어느 단계에서는 반드시 한국의 역할이 필요한데, 한국은 그때 참여하면 된다"고 밝혔다. 미국과 북한 사이에서 '한반도 운전자론'을 내세웠던 문재인 정부가 주도권을 잃어 '패싱' 지적을 받은 것에 대한 반박이다.

윤석열 정부 들어 역대 최악으로 치달은 남북관계에 대해서는 '신뢰 복원'을 최우선 과제로 제시했다. 김 전 지사는 "통일은 헌법적 명령에 의한 중장기적 과제로 두고 평화공존의 해법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통일부를 평화협력부로 전환해 그 역할을 맡겨야 한다고 주장했다.

미중 패권 경쟁이 격화하는 양상에는 "'무조건 중국하고 다시 관계를 풀어야 돼' '미국으로 붙어야 돼' 이런 방식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제는 미국도 그렇게 하지 않고 사안별로 대응하고 있다"며 "대한민국의 외교의 프레임을 미중에 가두지 말고, 국민들에게 그 프레임을 강요하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21일 서울 영등포구에 위치한 캠프 사무실에서 한국일보와 인터뷰를 하면서 미소를 보이고 있다. 홍인기 기자


대신 외교 채널을 다변화하는 '플랫폼 외교'를 비전으로 내세웠다. 그는 "다양한 나라들과의 외교를 통해 우리의 레버리지를 확보해야 된다"고 주장했다. 이어 "미국, 일본, 중국은 자본으로 개발도상국들을 지원한다면, 한국은 우리가 어떻게 발전해왔는지 알려줄 수 있다"면서 "다른 강국들에 비해 지원금은 적지만 실질적으로 그 나라들이 필요로 하는 것들을 도와줄 수 있는 플랫폼을 만들자"고 제안했다. 한국이 일종의 '선진국으로 가는 플랫폼'으로 기능하면서 우호국을 늘려 국제무대에서 힘을 키우자는 구상이다.

차기 정부의 당면한 과제인 방위비분담금 협상에 대해서는 "무역은 무역대로, 안보는 안보대로 분리 대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전 지사는 "트럼프 정부는 의외로 그런 점에 있어서는 합리적인 정부"라며 "합리적인 근거를 들이대면 협상 과정에서 그걸 무시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거래하는 사람이 무조건 윽박을 지르지는 않지 않나"라면서 "얼마나 준비하고 협상을 해나가는가의 문제"라고 덧붙였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115 [속보] 이재명 공직선거법 상고심 배당…주심 박영재 대법관 new 랭크뉴스 2025.04.22
47114 [속보]이재명 ‘공직선거법 사건’ 상고심, 주심 박영재 대법관에 배당 new 랭크뉴스 2025.04.22
47113 첫 아시아 출신 교황 선출될까... '깜짝 후보' 유흥식 추기경 콘클라베 참가 new 랭크뉴스 2025.04.22
47112 [속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상고심' 배당…주심 박영재 대법관 new 랭크뉴스 2025.04.22
47111 "제작진 교체하고 출연자 하차시켜"…방송 거물된 백종원, 이번엔 '갑질 의혹' 터졌다 new 랭크뉴스 2025.04.22
47110 "아이 안 낳는 여자 감옥 보내야"…여고 수업 중 남자 선생님 녹음 파일 들어보니 new 랭크뉴스 2025.04.22
47109 이재명 테마주로 코스피 5000?…포바이포 거래 재개되자 상한가 [이런국장 저런주식] new 랭크뉴스 2025.04.22
47108 [단독] 새마을금고, 앵커 출자 가능해져… 사모펀드에 ‘단비’ new 랭크뉴스 2025.04.22
47107 軍 정찰위성 4호기, 발사체서 분리… 정상궤도 진입 new 랭크뉴스 2025.04.22
47106 "용산은 3년 전 알았다" 삼성 추월 SK하이닉스의 결정적 장면들 new 랭크뉴스 2025.04.22
47105 SKT, 서버 악성코드 감염으로 유심 정보 유출 신고 new 랭크뉴스 2025.04.22
47104 김문수 "청년 위해 대학가 '반값 월세존'·세대공존형 주택 보급" new 랭크뉴스 2025.04.22
47103 [속보]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위반’상고심 배당…주심 박영재 대법관 new 랭크뉴스 2025.04.22
47102 여전한 ‘남녀 차별’...대기업 연봉 보니 ‘이럴 수가’ new 랭크뉴스 2025.04.22
47101 양주병 맞아 숨진 '1타 강사'‥사건의 전말은? new 랭크뉴스 2025.04.22
47100 인천 공원서 사실혼 여성 살해 후 도주…50대 검거 new 랭크뉴스 2025.04.22
47099 [교황 선종] 추모 빈소 명동성당에 마련…오늘 3시부터 조문 가능 new 랭크뉴스 2025.04.22
47098 ‘롤스로이스남’에 마약 준 의사, 징역 16년 확정 new 랭크뉴스 2025.04.22
47097 서울교통공사, 혜화역 시위 전장연 강제 퇴거 new 랭크뉴스 2025.04.22
47096 하버드대, 트럼프 정부 상대 소송…"보조금 동결·지원금 중단은 위법" new 랭크뉴스 2025.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