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추천!더중플-윤석열의 1060일 정치 입문 9개월 만에 대통령에 당선돼 임기 시작 2년 11개월(1060일) 만에 대통령직에서 물러난 ‘가장 빨리 뜨고, 가장 빨리 진’ 대통령 윤석열. 오늘의 추천!더중플은 ‘윤석열의 1060일’(https://www.joongang.co.kr/plus/series/283) 시리즈입니다. 주요 국면마다 ‘정치인 윤석열’이 어떤 모습을 보여왔는지, '인간 윤석열'의 캐릭터는 그 선택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그동안 알려지지 않은 뒷이야기를 담아 그의 집권기를 기록합니다.

기사 전문은 중앙일보의 프리미엄 서비스 '더중앙플러스(https://www.joongang.co.kr/plus)' 구독 후 보실 수 있습니다.
2024년 6월 3일 오전 10시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룸. 윤석열 전 대통령이 첫 국정브리핑을 연다는 공지를 받고 기자들이 모였다. 문자를 받은 건 9시 52분. 불과 8분을 앞두고 낸 공지였다. 당시는 한∙아프리카 정상회의 일정 중인 때다. 하지만 이와 관련된 소식은 아닐 것이라는 데 무게가 실렸다.

" 포항 영일만 앞바다에서 막대한 양의 석유와 가스가 매장돼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물리 탐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윤 전 대통령의 첫 마디에 브리핑룸은 술렁였다. 시작 전 모인 참모들이 ‘깜짝 놀랄 게 있다’는 언질을 주긴 했지만 기자 중 누구도 ‘유전’이란 키워드를 예상한 사람은 없었다. 윤 전 대통령은 뒤이어 확신에 찬 목소리로 “90년대 후반에 발견된 동해 가스전의 300배가 넘는 규모이고, 우리나라 전체가 천연가스는 최대 29년, 석유는 최대 4년을 넘게 쓸 수 있는 양이라고 판단된다”고 말했다. ‘대왕고래’가 등장하는 순간이었다.

#지지율 21%까지 급락했던 6월 ‘회심의 카드’ 브리핑 며칠 전 대통령실 수석비서관회의에선 ‘윤 대통령이 직접 브리핑을 할 것이냐’를 놓고 참모들 사이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졌다. 대체로 ‘늘공(직업 공무원)’ 사이에선 “리스크가 크다. 어떻게 될지 모르는데 대통령이 언급하시는 건 안 된다”며 말리는 기류가 있었다. 하지만 언론인·정치인 출신 어공 참모들은 “이렇게 큰 건은 직접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통령의 발표에 반응은 엇갈렸다. “한국도 산유국이 된다”며 기대 섞인 목소리가 나왔지만 “난데없는 기름쇼”라는 회의적인 시각도 있었다. 시장은 크게 출렁였다. 당일 가격제한폭까지 오른 10개 종목 중 7개 종목이 석유·가스 관련 종목이었다. 한국석유∙대성에너지∙동양철관∙한국가스공사 등은 상한가로 직행했다. 학계와 언론은 사업성과 성공 가능성을 분석하려 분주했다.

시점이 묘하긴 했다. 당시는 4.10 총선 패배 이후 윤 대통령의 지지율이 급락한 때였다. ‘잘하고 있다’는 긍정 평가가 21%로 취임 이후 가장 낮았고, 부정 평가는 무려 70%에 달했다(갤럽, 5월 31일). 지지율도 문제지만 22대 국회 개원을 앞두고 김건희 특검법 등을 앞세운 야당의 거센 압박을 이겨낼 돌파구가 필요했다. ‘국면 전환용’(더불어민주당)이라는 비판을 예상하면서도 회심의 카드를 꺼낸 이유였다.

윤 대통령이 관련 보고를 받은 건 5월이다. 당시 한 고위관계자는 “(내가) 먼저 대왕고래 보고를 받았는데 가슴이 떨렸었다”며 “윤 대통령에게 곧장 보고했더니, 동공이 움직이는 게 느껴졌다”고 말했다. 이후 윤 전 대통령은 대통령실 A 비서관을 불러 “왜 이걸 총선 전에 보고하지 않았느냐”고 질책했다.

하지만 대통령이 기대한 이 '회심의 카드'는 성공하지 못했다. 발단은 역술인 천공이었다.

※자세한 내용은 더중플 구독 후 보실 수 있습니다.
▶동공 흔들린 尹, 부추긴 어공…‘대왕고래’ 날린 그날의 설레발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0096

윤석열의 1060일-더 많은 기사를 보시려면? 尹, 자승 죽음 보고받자마자 “좌파나 간첩이 죽인 것이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9874

총선 출구조사에 격노한 尹… “그럴 리 없어! 방송 막아!”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6454

“내가 있어 지금의 尹 있다고…김건희, 술자리 때마다 말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6699

“비속어 썼으니” 참모들 제안…‘바이든 날리면’ 실상은 이랬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7066

“막내급 기자가 청담동 술자리 질문…尹, 그날 도어스테핑 좌절”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7374

“尹 술친구 자랑하던 그 의원, 한동안 찍혀 죽어 지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7709

의대 증원에 건건이 “아니오”…尹, 40년지기 연락도 끊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8182

尹 한일관계 돌파 아이디어, 검사시절 압수물서 시작됐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8419

“실패 땐 탄핵, 나도 알았다” 폭탄주 돌린 尹 ‘그날의 고백’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8722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892 수원 아파트서 모녀 추정 2명 숨진 채 발견…현장에 유서(종합) 랭크뉴스 2025.04.21
46891 피고인석 앉은 윤석열 전 대통령 첫 공개‥주로 눈 감고 듣기만 랭크뉴스 2025.04.21
46890 무면허 만취 운전자, '시속 180㎞ 도주' 후 쓰레기통 숨었다가 덜미 랭크뉴스 2025.04.21
46889 한국 교회에 각별했던 프란치스코 교황 "한반도 평화 위해 기도" 랭크뉴스 2025.04.21
46888 [영상] 교황은 2014년 가장 아픈 이들을 안아줬다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4.21
46887 “이번 대선은 尹선거 아닌 洪선거… 朴 탄핵 때완 달라” 랭크뉴스 2025.04.21
46886 교황 프란치스코 평화의 여정 마치다 랭크뉴스 2025.04.21
46885 [교황 선종] ‘간소한 장례’ 원했던 교황, 장례 절차 단축될 듯 랭크뉴스 2025.04.21
46884 대선 앞 또 등장한 ‘세종 행정수도’…개헌 걸림돌 여전 랭크뉴스 2025.04.21
46883 "가진 건 집 하나밖에 없어요"…'현금 없는' 부자 노인들, 대안은? 랭크뉴스 2025.04.21
46882 트럼프는 막무가내 협상가…유연 대응하되 '팃포탯' 꺼낼 각오해야 [View & Insight] 랭크뉴스 2025.04.21
46881 교육부 “의대 지역인재전형 권고 비율은 현행 60% 유지” 랭크뉴스 2025.04.21
46880 김형기 특전대대장, 윤석열 앞에서 “나는 사람에 충성 안 해···차라리 항명죄로 처벌하라” 랭크뉴스 2025.04.21
46879 개봉작 45→20편, 韓영화 최악 보릿고개…"영화관 지원 절실" 랭크뉴스 2025.04.21
46878 중국, 서해 PMZ에 개조한 폐시추선 설치…정부 “‘비례 대응 시설’ 논의” 랭크뉴스 2025.04.21
46877 [대선언팩] 국힘 ‘퇴직 후 재고용’ 민주 ‘법정 정년연장’ 초점 랭크뉴스 2025.04.21
46876 “디카페인 마셨는데 불면” 허술한 기준 [박대기의 핫클립] 랭크뉴스 2025.04.21
46875 尹 재판 내내 침묵, 중간에 졸기도…"내란 아니다" 막판 6분 변론 랭크뉴스 2025.04.21
46874 김문수만 빼고…국힘 주자들 여전히 너도나도 ‘핵무장론’ 랭크뉴스 2025.04.21
46873 일본, EEZ서 '명령불복 도주' 韓어선 나포…선장도 체포 랭크뉴스 2025.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