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추천!더중플-윤석열의 1060일 정치 입문 9개월 만에 대통령에 당선돼 임기 시작 2년 11개월(1060일) 만에 대통령직에서 물러난 ‘가장 빨리 뜨고, 가장 빨리 진’ 대통령 윤석열. 오늘의 추천!더중플은 ‘윤석열의 1060일’(https://www.joongang.co.kr/plus/series/283) 시리즈입니다. 주요 국면마다 ‘정치인 윤석열’이 어떤 모습을 보여왔는지, '인간 윤석열'의 캐릭터는 그 선택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그동안 알려지지 않은 뒷이야기를 담아 그의 집권기를 기록합니다.

기사 전문은 중앙일보의 프리미엄 서비스 '더중앙플러스(https://www.joongang.co.kr/plus)' 구독 후 보실 수 있습니다.
2024년 6월 3일 오전 10시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룸. 윤석열 전 대통령이 첫 국정브리핑을 연다는 공지를 받고 기자들이 모였다. 문자를 받은 건 9시 52분. 불과 8분을 앞두고 낸 공지였다. 당시는 한∙아프리카 정상회의 일정 중인 때다. 하지만 이와 관련된 소식은 아닐 것이라는 데 무게가 실렸다.

" 포항 영일만 앞바다에서 막대한 양의 석유와 가스가 매장돼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물리 탐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윤 전 대통령의 첫 마디에 브리핑룸은 술렁였다. 시작 전 모인 참모들이 ‘깜짝 놀랄 게 있다’는 언질을 주긴 했지만 기자 중 누구도 ‘유전’이란 키워드를 예상한 사람은 없었다. 윤 전 대통령은 뒤이어 확신에 찬 목소리로 “90년대 후반에 발견된 동해 가스전의 300배가 넘는 규모이고, 우리나라 전체가 천연가스는 최대 29년, 석유는 최대 4년을 넘게 쓸 수 있는 양이라고 판단된다”고 말했다. ‘대왕고래’가 등장하는 순간이었다.

#지지율 21%까지 급락했던 6월 ‘회심의 카드’ 브리핑 며칠 전 대통령실 수석비서관회의에선 ‘윤 대통령이 직접 브리핑을 할 것이냐’를 놓고 참모들 사이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졌다. 대체로 ‘늘공(직업 공무원)’ 사이에선 “리스크가 크다. 어떻게 될지 모르는데 대통령이 언급하시는 건 안 된다”며 말리는 기류가 있었다. 하지만 언론인·정치인 출신 어공 참모들은 “이렇게 큰 건은 직접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통령의 발표에 반응은 엇갈렸다. “한국도 산유국이 된다”며 기대 섞인 목소리가 나왔지만 “난데없는 기름쇼”라는 회의적인 시각도 있었다. 시장은 크게 출렁였다. 당일 가격제한폭까지 오른 10개 종목 중 7개 종목이 석유·가스 관련 종목이었다. 한국석유∙대성에너지∙동양철관∙한국가스공사 등은 상한가로 직행했다. 학계와 언론은 사업성과 성공 가능성을 분석하려 분주했다.

시점이 묘하긴 했다. 당시는 4.10 총선 패배 이후 윤 대통령의 지지율이 급락한 때였다. ‘잘하고 있다’는 긍정 평가가 21%로 취임 이후 가장 낮았고, 부정 평가는 무려 70%에 달했다(갤럽, 5월 31일). 지지율도 문제지만 22대 국회 개원을 앞두고 김건희 특검법 등을 앞세운 야당의 거센 압박을 이겨낼 돌파구가 필요했다. ‘국면 전환용’(더불어민주당)이라는 비판을 예상하면서도 회심의 카드를 꺼낸 이유였다.

윤 대통령이 관련 보고를 받은 건 5월이다. 당시 한 고위관계자는 “(내가) 먼저 대왕고래 보고를 받았는데 가슴이 떨렸었다”며 “윤 대통령에게 곧장 보고했더니, 동공이 움직이는 게 느껴졌다”고 말했다. 이후 윤 전 대통령은 대통령실 A 비서관을 불러 “왜 이걸 총선 전에 보고하지 않았느냐”고 질책했다.

하지만 대통령이 기대한 이 '회심의 카드'는 성공하지 못했다. 발단은 역술인 천공이었다.

※자세한 내용은 더중플 구독 후 보실 수 있습니다.
▶동공 흔들린 尹, 부추긴 어공…‘대왕고래’ 날린 그날의 설레발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0096

윤석열의 1060일-더 많은 기사를 보시려면? 尹, 자승 죽음 보고받자마자 “좌파나 간첩이 죽인 것이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9874

총선 출구조사에 격노한 尹… “그럴 리 없어! 방송 막아!”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6454

“내가 있어 지금의 尹 있다고…김건희, 술자리 때마다 말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6699

“비속어 썼으니” 참모들 제안…‘바이든 날리면’ 실상은 이랬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7066

“막내급 기자가 청담동 술자리 질문…尹, 그날 도어스테핑 좌절”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7374

“尹 술친구 자랑하던 그 의원, 한동안 찍혀 죽어 지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7709

의대 증원에 건건이 “아니오”…尹, 40년지기 연락도 끊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8182

尹 한일관계 돌파 아이디어, 검사시절 압수물서 시작됐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8419

“실패 땐 탄핵, 나도 알았다” 폭탄주 돌린 尹 ‘그날의 고백’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8722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 »»»»» “이건 尹대통령이 발표해야”…‘대왕고래’ 날린 어공의 속삭임 [尹의 1060일 ⑫] new 랭크뉴스 2025.04.21
46797 윤 측 “의원 끌어내기가 가능?”…경비단장 “불가능 알면서 왜 지시?”​ new 랭크뉴스 2025.04.21
46796 콜드플레이 추천 韓대통령이 나경원?…패러디 영상 뭇매 new 랭크뉴스 2025.04.21
46795 홍준표 "키높이 왜" 공격 다음날…한동훈 "탈당∙구태∙특활비" 반격 new 랭크뉴스 2025.04.21
46794 '불닭 어머니' 김정수 삼양식품 부회장은 왜 지주사 대표를 관뒀나 [지구촌 식탁 파고드는 K푸드] new 랭크뉴스 2025.04.21
46793 홍준표 “노인연령 65→70세 상향…정년연장·임금피크제 도입” new 랭크뉴스 2025.04.21
46792 "우리에게 앞이 있긴 할까요"... 눈물 쏟았던 르세라핌, 화려하게 부활하다 new 랭크뉴스 2025.04.21
46791 "의료진 갈아넣었는데…" 빅5도 못받는 환자 살려낸 병원 비명 왜 new 랭크뉴스 2025.04.21
46790 [속보]봉천동 농약살포기 방화, 범행 15분 전 인근 주택가 ‘연습 장면’ 포착 new 랭크뉴스 2025.04.21
46789 한덕수 "24일 저녁 9시"... 정치 운명의 시간 스스로 밝혔다 new 랭크뉴스 2025.04.21
46788 첫 공개된 ‘피고인 윤석열’, 오늘은 말없이 꾸벅꾸벅 졸기만 했다 new 랭크뉴스 2025.04.21
46787 "中 반격 빈말 아냐"…도색 마친 800억 보잉기, 美로 돌려보냈다 new 랭크뉴스 2025.04.21
46786 홍준표 ‘키높이 구두’ 공격에 ‘눈썹 문신’ 꺼내든 한동훈 캠프 랭크뉴스 2025.04.21
46785 김상욱 탈당도 시사 “국힘, 윤석열 제명해야…안 되면 거취 고민” 랭크뉴스 2025.04.21
46784 한동훈 "'계엄 헤프닝?' 코로나 때보다 자영업자 힘들어" 랭크뉴스 2025.04.21
46783 “아이 안 낳는 여성 감옥 보내야”발언한 남교사···교육청 등 조사착수 랭크뉴스 2025.04.21
46782 40년전 사고로 9살 아들 보낸 어머니, 치료 병원에 1억 기부 랭크뉴스 2025.04.21
46781 인순이, 김종민 결혼식 인증샷 올렸다가 사과 "마음 무거워" 랭크뉴스 2025.04.21
46780 만취운전 30대, 경찰 피해 아파트 쓰레기통에 숨어있다 덜미 랭크뉴스 2025.04.21
46779 [단독] 홍준표 쪽, 국힘 당원 2만9천명 개인정보 흘려 ‘불법 여론조사’ 랭크뉴스 2025.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