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연합뉴스TV 제공
올해 추가경정예산안(추경) 편성에 따라 국민 세금으로 갚아야 할 ‘적자성 채무’가 900조원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가채무에서 적자성 채무가 차지하는 비중도 70%에 근접했다.

20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정부는 12조2000억원 규모의 추경을 편성하면서 국가채무가 6조원 증가한다고 밝혔다.

늘어나는 채무는 모두 적자성 채무다. 적자성 채무는 대응하는 자산이 없거나 부족해 국민에게 거둬들이는 조세 등을 재원으로 해 상환해야 하는 채무다.

외국환평형기금채권(외평채)·국민주택채권처럼 대응 자산이 있어 자체 상환이 가능한 금융성 채무와 대비되는 개념이다.

이번 추경으로 올해 적자성 채무는 885조4000억원이 된다. 792조3000억원이었던 지난해와 비교하면 1년 새 11.8%가 늘었다.

적자성 채무는 2015년 330조8000억원으로 300조원을 넘어선 뒤 2019년 407조6000억원 등으로 꾸준히 증가해왔다.

코로나19 시기인 2020년부터 2022년까지는 매해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하면서 가파르게 늘었다.

이후 재정건전성을 강조하는 윤석열 정부가 들어서며 적자성 채무 증가율은 한 자릿수로 떨어졌지만, 누적된 세수 결손에 추경까지 더해지면서 올해 다시 10%대로 회귀했다.

전체 국가채무(1279조4000억원)에서 적자성 채무가 차지하는 비중도 69.2%로 작년(66.3%)보다 늘어난다. 올해 전체 나랏빚 중 70%가량이 국민 혈세로 갚아야 하는 몫이라는 의미다.

문제는 올해 추경이 이번 한 번으로 끝날 가능성이 작다는 점이다. 내수 부진 장기화와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로 1분기 역성장 경고등까지 켜진 만큼, 대선 이후 새 정부가 출범하게 되면 경기 부양을 위한 ‘2차 추경’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

현재 상황에서는 다음 추경 편성 역시 적자국채 발행을 주 재원으로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이는 고스란히 적자성 채무로 편입돼 재정에 직접적인 부담이 된다.

경기 부진이 장기화하면서 ‘3년 연속 세수 결손’ 우려가 커지는 점도 우려스러운 부분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추경 브리핑에서 “세수 측면에서 불확실성, 하방 요인이 커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올해 세수 결손 가능성을 시사했다.

재정 지출이 당초 계획보다 커지는 상황에서 수입마저 줄어든다면 재정건전성은 빠른 속도로 악화한다. 이 같은 상황이 계속된다면 국가 신용등급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254 토허제 확대 지정 한 달···“가격상승폭 둔화·거래량 감소” 랭크뉴스 2025.04.20
46253 “문과 수험생 이례적 증가…사탐 응시율 통합수능 이래 최고” 랭크뉴스 2025.04.20
46252 친구 얼굴에 돌 던진 9살 초등생…法 "학생과 부모, 2200만 원 배상하라" 랭크뉴스 2025.04.20
46251 수도권 지하철 요금 6월 150원 인상…‘왕복 3000원’ 넘어 랭크뉴스 2025.04.20
46250 ‘외출 때 뽑아야’…中서 충전기 과열 화재 잇달아 랭크뉴스 2025.04.20
46249 이재명 “발달·정신장애인 돌봄 국가책임제 실시할 것” 랭크뉴스 2025.04.20
46248 "왕은 없다, 파시즘 안돼"…美 700여곳 50만명, 반트럼프 시위 랭크뉴스 2025.04.20
46247 숨진 아버지 장애인 주차표지 부정 사용…아들부부 ‘집행유예’ 랭크뉴스 2025.04.20
46246 “돈 좀 빌려줘”···여성 7명 상대 4억6000만원 뜯어낸 30대 랭크뉴스 2025.04.20
46245 그래서 트럼프는 제조업을 살릴 수 있을까? 랭크뉴스 2025.04.20
46244 이재명 부활절 메시지…“정치도 어려움 인내하고 도전 포기말아야” 랭크뉴스 2025.04.20
46243 산업장관 “韓美 통상협상, 섣부른 타결보단 신중한 접근" 랭크뉴스 2025.04.20
46242 29억짜리 집 사는데 28억 '아빠 찬스'…서울시, 불법·편법 거래 59건 포착[집슐랭] 랭크뉴스 2025.04.20
46241 한국증시 밸류업 발목잡는 중복상장…대기업 논란에 파열음 계속 랭크뉴스 2025.04.20
46240 '백종원 착취설'에 '연돈' 사장 "지금도 큰 도움 받고 있어" 직접 부인 랭크뉴스 2025.04.20
46239 김문수 "65세 이상, 오전 9시~오후 5시 버스도 무료탑승" 공약 랭크뉴스 2025.04.20
46238 한미 관세협상, 재무·통상 '2+2' 형식 진행 추진…"곧 발표" 랭크뉴스 2025.04.20
46237 윤석열, '윤어게인 신당' 시도했던 변호사들과 식사 랭크뉴스 2025.04.20
46236 1만원 욕심으로 1억2000만원 날렸다…29년 경력 버스기사 최후 랭크뉴스 2025.04.20
46235 "난 아직 안들었는데"…가입자 ‘깜짝 증가’ 청약통장, 무용지물 오명 벗을까[집슐랭] 랭크뉴스 2025.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