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8일 백악관에서 열린 보건 관련 관료 임명 행사에 참석해 한 곳을 응시하고 있다. AP=연합뉴스
국제사회에 무차별적인 관세 폭탄을 퍼붓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9일(현지시간) 갑작스럽게 90일 유예 방침으로 선회한 배경에는 국채 금리 급등이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그런데 트럼프 대통령의 자산 상당 부분이 채권에 몰려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그가 세계 경제의 충격에는 무관심하다가 정작 자신의 재산 가치가 흔들리자 조치를 취한 것 아니냐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18일, 지난해 기준 트럼프 대통령의 자산 내역을 분석한 결과 채권 투자 규모가 1억2500만달러(약 1780억원)에서4억4300만달러(약 6310억원) 사이에 이른다고 보도했다.

금융 자산 전체가 2억600만달러(약 2934억원)에서6억2000만달러(약 8831억원)에 달하는 점을 감안하면 최소 기준으로만 봐도 채권 비중이 약 60%에 육박한다는 것이다.

반면 주식 비중은 10% 미만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NYT는 채권 자산의 최소값과 주식 자산의 최대값을 비교한 보수적인 추산을 적용해도 트럼프 미디어를 제외하면 그의 보유 채권 규모는 주식의 두 배 이상이라고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마이크로소프트와 애플 등 기업이 발행한 회사채를 1800만달러(약 256억원)에서7500만달러(약 1068억원), 미국 국채는 900만달러(약 128억원)에서4200만달러(약 598억원) 수준으로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지방채의 경우 전체 채권 자산 중 약 80%를 차지했다.

NYT는 트럼프 대통령의 개인 자산이 관세 유예 결정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는 명확하지 않다면서도 그가 주식시장 폭락과 각계 압박에는 반응하지 않다가 채권시장이 흔들리자 행동에 나섰다고 짚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유예 발표 후 "채권 시장은 매우 까다롭다"거나 "(채권 시장을) 지켜보고 있다"고 발언하며 국채 금리가 결정을 이끈 배경이었음을 시사했다.

관세 유예 조치 이후 미국 국채 시장은 단기적으로 다소 안정을 되찾았다.

미국 국채 수익률은 국내 다른 채권 금리의 기준 역할을 한다. 국채 수익률이 오르내릴 때 나머지 채권 금리도 그에 따라 움직이는 경향이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본인의 발표 이후 채권 투매가 멈추고 가격이 오르자 "지금 채권시장은 아름답다"고 반응하기도 했다.

NYT는 트럼프 대통령이 실제로 자기 재산을 고려해 관세 유예를 결정했는지 단정할 수는 없으며 그의 포트폴리오 구성이 단순한 우연일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번 일련의 상황을 통해 정치적 판단과 개인적 이익이 맞물릴 수 있다는 점, 그리고 개인 재산을 위임 없이 통제한다는 점에서 윤리적 문제가 불거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의 측근들도 내부자 거래 의혹에 연루돼 논란이 커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유예 발표 당일 SNS에 "지금은 (주식을) 매수하기 좋은 때"라는 글을 올린 바 있다.

그로부터 3시간 뒤 관세 유예 조치를 발표하면서 일각에서는 측근들이 그 직전에 주식을 사들여 시세 차익을 챙긴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다만 NYT는 트럼프 대통령의 자산 포트폴리오가 지난해 공개된 이후 일부 조정됐을 가능성은 있다고 덧붙였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에 출마하기 위해 수십억달러 규모의 비즈니스 제국에서 물러났고 엄청난 희생을 치렀다"며 자신의 이익을 위해 행동한 것이 아니라고 반박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199 러시아, 30시간 ‘부활절 휴전’ 깜짝 선언…우크라 ‘30일 역제안’ 랭크뉴스 2025.04.20
46198 친구 얼굴에 돌 던진 초등생… “2200만원 배상” 랭크뉴스 2025.04.20
46197 부활 아침 이재명 "고난·절망 이겨내신 예수님… 정치도 마찬가지" 랭크뉴스 2025.04.20
46196 서울 관악구서 연인 살해 시도한 20대 여성 체포 랭크뉴스 2025.04.20
46195 이재명 나오면 '슈퍼챗 1위'… '우리 스피커'에 공들이는 '125만 유튜버' 대선 주자 [정치 도·산·공·원] 랭크뉴스 2025.04.20
46194 '해외에 태극기 꽂는다'…엔비디아·MS가 반한 韓 AI 기업은? [김성태의 딥테크 트렌드] 랭크뉴스 2025.04.20
46193 "비트코인은 한물갔지"...요즘 투자 대세는 '이것' 랭크뉴스 2025.04.20
46192 빌 클린턴 "반대자를 지배하려하면 美에 위험"…트럼프 의식한듯 랭크뉴스 2025.04.20
46191 “너 때문에 성병 걸렸다” 거짓말로 거액 뜯어낸 20대 징역 랭크뉴스 2025.04.20
46190 "나라가 안하면 나라도 하자"…시민들 직접 만든 '싱크홀 지도' 랭크뉴스 2025.04.20
46189 尹 탄핵에 속도 못 내는 ‘투자형 청년도약계좌’ 개발 랭크뉴스 2025.04.20
46188 미국·이란 2차 고위급 핵 협상… 양측 "건설적 대화 나눴다" 평가 랭크뉴스 2025.04.20
46187 국힘, 두 번째 경선토론…나경원·이철우·한동훈·홍준표 대결 랭크뉴스 2025.04.20
46186 최대 실적에도 웃지 못한다···눈치보는 은행들, 왜?[경제뭔데] 랭크뉴스 2025.04.20
46185 “혼인신고 꼭 해야해요?”...젊은 부부들에게 물어보니 랭크뉴스 2025.04.20
46184 민주, 영남권서 2차 경선…변수 없는 '어대명' 흐름 굳힐까 랭크뉴스 2025.04.20
46183 오늘도 전국 곳곳에 비‥서울 낮 최고 24도 랭크뉴스 2025.04.20
46182 ‘지지율 1위’ 이재명 “이제부터 진짜 대한민국” 선언 [박영실의 이미지 브랜딩] 랭크뉴스 2025.04.20
46181 국가 ‘적자성 채무’ 900조 육박… 국민 세금 충당될까 랭크뉴스 2025.04.20
46180 미국 경고 겁났나…러, 30시간 휴전 일방선언 랭크뉴스 2025.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