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中, 올해 생산량 1만대로 세계 절반 이상…2030년 세계 점유율 45%"


중국 휴머노이드로봇 마라톤대회
[신화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이봉석 기자 = 중국이 세계 첫 휴머노이드로봇 하프 마라톤대회를 개최하면서 중국의 '로봇 굴기'에 관심이 쏠린다.

중국은 인간을 닮은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에서 선점에 박차를 가한 결과 양산 초기 단계에서 미국을 따돌림으로써 저비용 고효율 인공지능(AI) 모델로 세계에 충격을 안겼던 '딥시크 모멘트'를 실현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19일 관영 영자지 차이나데일리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중국은 올해 전 세계 휴머노이드 로봇 생산량의 과반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 분석기관 리더봇과 다른 9개 기관은 최근 보고서에서 중국이 올해 총 82억4천만위안(약 1조6천억원) 규모의 휴머노이드 로봇 1만여 대를 생산해 글로벌 생산량의 절반 이상을 점할 것으로 내다봤다.

업계에서는 제작 비용 감소와 생태계 성숙으로 중국의 올해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이 파일럿 프로젝트에서 대규모 상용화로 도약하는 원년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예를 들어 UB테크 로보틱스는 자사의 산업용 휴머노이드 로봇 20대가 올해 상반기 중 자동차 제조업체 둥펑류저우모터 생산라인에 배치될 예정이라고 지난달 밝혔다.

보고서는 "이는 중국의 급속한 전기차 증가를 떠올리게 한다"면서 "중국에 새로운 경제 성장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또한 2030년까지 중국 휴머노이드 시장 규모가 1천38억위안(약 20조2천500억원)으로 커져 세계 점유율의 약 45%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반도체 및 AI 분야 연구 분석 기관인 세미어낼리시스도 최근 보고서에서 미국 기술 기업들이 중국 경쟁사에 밀려 뒤처질 위기에 처해있다고 경고했다.

하프마라톤대회 출전한 중국 휴머노이드로봇
[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중국 기업 BYD가 전기차 시장을 주도했던 테슬라 매출을 추월한 것처럼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에서도 중국이 미국 기업들을 이미 앞서고 있다는 것이다.

중국 휴머노이드 로봇들은 그동안 다양한 기술을 선보여 세계를 깜짝 놀라게 했다.

유니트리의 H1은 지난 설 갈라쇼에서 고난도의 전통 군무를 선보였고 같은 회사의 G1 모델은 전설적인 액션 스타 리샤오룽(李小龍·이소룡, 영어 이름 브루스 리)처럼 720도 돌려차기를 시연해 화제를 모았다.

애지봇(즈위안로보틱스)의 프로토타입 '링시 X2'(이하 X2)는 자전거를 탈 수 있을 정도로 인간에 가까운 운동능력을 구사하면서 사람 감정에도 반응한다.

광둥성 선전시의 엔진AI라는 업체는 지난 2월 휴머노이드 로봇이 점프하면서 공중제비를 도는 장면을 공개하기도 했다.

중국 기업들은 정부의 전폭 지원 속에 가성비를 앞세워 우위를 확대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다른 첨단사업들처럼 보조금과 세금 인센티브, 민관 연구 협력, 산업 클러스터 개발 촉진 등을 통해 휴머노이드 산업을 적극 지원한다.

이런 가운데 딥시크가 오픈AI의 챗GPT 개발비 약 5%에 불과한 비용으로 챗GPT에 맞먹는 AI 모델을 개발한 것처럼 중국산 휴머노이드 로봇들은 경쟁사 제품보다 훨씬 저렴한 가격으로 시장을 파고들고 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중국 내 과잉 투자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fA)는 지난달 보고서에서 2030년까지 전 세계 휴머노이드 로봇 연간 판매량이 100만대에 달하고 2060년에는 30억대가 가동되고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email protected]

720도 돌려차기하는 유니트리 G1
[홍콩 성도일보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063 '연돈' 사장 "이상한 소문 많아져…백종원 대표 덕에 행복하다" 랭크뉴스 2025.04.19
46062 나경원 캠프에 '尹지지' 김흥국 합류…조직총괄본부장 정양석 랭크뉴스 2025.04.19
46061 트럼프 관세 폭탄에 줄줄이 짐 싸는 美 부유층…어디로 갔나 봤더니 랭크뉴스 2025.04.19
46060 “잠옷만 입은 채 쫓겨나”···‘미아리텍사스’ 강제 철거에 갈등 격화 랭크뉴스 2025.04.19
46059 기관총·연료통 낙하사고, 또 "조종사 실수"…민가 오폭 43일만 랭크뉴스 2025.04.19
46058 脫서울에도 교육 목적 서울 전입은 2년 연속 역대 ‘최대’ 랭크뉴스 2025.04.19
46057 “탄핵 후 사과했나?”…“민주당 책임인데 왜?”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19
46056 대세론 굳힌 이재명... 민주당 첫 경선서 88% 득표 "과분한 지지에 감사" 랭크뉴스 2025.04.19
46055 관세 폭탄 퍼붓더니…트럼프, 돌연 '90일 유예' 마음 돌린 까닭 랭크뉴스 2025.04.19
46054 한동훈 캠프, 전략총괄위원장에 배현진…친한계 17명 합류 랭크뉴스 2025.04.19
46053 트럼프, 머스크 대신 재무장관에 손…국세청 수장 사흘만에 교체 랭크뉴스 2025.04.19
46052 안철수 "AI 모르죠?" 김문수 "챗GPT도 쓴다"…국힘 토론 신경전 랭크뉴스 2025.04.19
46051 민주당 첫 경선서 이재명 88.15% 득표…압도적 1위 랭크뉴스 2025.04.19
46050 “또 조종사 실수”…민가 오폭 한달만에 기관총·연료통 낙하사고 랭크뉴스 2025.04.19
46049 '어대명' 확인시킨 첫 경선…이재명, 충청서 88.15% 압승 랭크뉴스 2025.04.19
46048 나경원 캠프 간 ‘호랑나비’ 김흥국···자문단 합류 랭크뉴스 2025.04.19
46047 전광훈 "자유통일당 후보로 대선 출마‥윤 전 대통령 모셔올 것" 랭크뉴스 2025.04.19
46046 '尹파면 보름' 곳곳 빗속 집회…"윤 어게인" vs "내란종식"(종합) 랭크뉴스 2025.04.19
46045 "작업중단, 대피하라!"…지하터널 붕괴 직전 다급했던 무전 랭크뉴스 2025.04.19
46044 '尹지지' 김흥국, 나경원 캠프 합류…조직총괄본부장에 정양석 랭크뉴스 2025.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