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넘어 남성·청소년·어린이에게도 나타나는 ‘수족냉증’ 극복법
춥지 않은데 손발이 지나치게 찬 증상
수면장애·두통 동반 ‘가볍게 볼 수 없어’
‘자율신경·혈액순환 장애’ 신호일 수도
규칙 운동, 따뜻한 음식이 증상 완화 도움
춥지 않은데 손발이 지나치게 찬 증상
수면장애·두통 동반 ‘가볍게 볼 수 없어’
‘자율신경·혈액순환 장애’ 신호일 수도
규칙 운동, 따뜻한 음식이 증상 완화 도움
추위를 느끼지 않을 만한 상황에서도 손과 발이 지나치게 차가운 증상을 느끼는 사람은 냉기 접촉을 최소화하고 따뜻한 음식을 먹고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수족냉증 증상을 완화할 필요가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봄이 왔지만, 손발은 여전히 겨울인 사람들이 있다. 수족냉증 때문이다. 수족냉증은 추위를 느끼지 않을 만한 상황에서도 손과 발이 지나치게 차가운 증상을 말한다. 때로는 얼음에 닿은 듯한 냉기를 느끼기도 하고, 손끝이나 발끝이 저리거나 감각이 둔해지는 경우도 있다. 여름철에 에어컨 바람이 힘들다고 하거나 두꺼운 양말을 신는가 하면 무릎이 시리거나 아랫배, 허리 등 다양한 신체 부위로 냉기가 퍼지기도 한다.
수족냉증은 여성에게 많지만, 최근에는 남성이나 청소년, 심지어 어린이에게도 나타난다. 수족냉증은 수면장애, 생리불순, 소화불량, 피로감, 집중력 저하, 두통 등을 동반하기도 한다는 점에서 가볍게 여길 수 없는 증상이다.
일반적으로 수족냉증은 추위와 같은 외부 자극에 교감신경이 예민하게 반응해 혈관이 수축하면서 생기는 증상으로 알려져 있다. 출산이나 폐경과 같은 호르몬 변화나 스트레스 등이 원인으로 지목된다. 혈액순환 장애, 자율신경계 불균형, 저체온증이나 기초대사량 저하, 운동 부족, 잘못된 식습관 등도 수족냉증을 불러오는 것으로 여겨진다.
의료계에서는 수족냉증이 다양한 질환에 따른 결과라고 보고 주의를 당부한다. 질병의 ‘결과물’일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자율신경계의 이상, 혈액순환 장애, 혹은 특정 질환의 신호일 수 있기 때문에 단순히 ‘몸이 찬 체질’로 치부해서는 안 된다고 경고한다.
수족냉증을 초래하는 원인 질환은 추위 등으로 손가락이나 발가락 피부 색조가 변하는 레이노증후군, 류머티즘성 질환, 추간판 탈출증이나 말초 신경염, 손목터널증후군, 갑상샘 기능 저하증, 혈관 질환, 약물 부작용 등 다양하다.
그렇다면 수족냉증은 어떻게 하면 고칠 수 있을까? 아래 방법은 의료계에서 제시하는, 수족냉증 증상 완화에 도움되는 방법들이다.
규칙적인 운동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효과적인 방법이다. 가벼운 유산소 운동, 스트레칭, 요가, 걷기, 계단 오르기 등은 혈액순환을 돕고 체온을 올리는 데 큰 도움이 된다.
따뜻한 음식
찬 음식을 삼가라. 냉장고에서 막 꺼낸 음식은 가능하면 피하는 게 좋다. 따뜻하고 혈액순환을 돕는 음식을 많이 먹어야 한다. 커피를 줄여라. 차를 마셔야 한다면 생강대추차가 좋다. 마늘, 양파, 부추, 호박 등도 몸을 따뜻하게 해주는 식품이다.
수분 보충
몸이 건조하면 혈액순환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따뜻한 물을 자주 마시도록 하라.
스트레스 관리
스트레스는 자율신경계의 균형을 무너뜨려 냉증을 악화시킨다. 명상, 심호흡, 가벼운 산책 등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되는 습관을 지녀라.
냉기 접촉 최소화
빨래나 설거지를 할 때 차가운 물을 최대한 만지지 않도록 한다. 냉장고에 든 찬 음식을 꺼낼 때도 가급적 장갑을 끼고 만지는 게 좋다. 외출할 때 조금 덥다는 느낌이 들 정도로 입고 집 안에 있을 때도 슬리퍼나 무릎 담요를 적극 활용하라.
손발 마사지
손발에 관심을 가져라. 지압이나 마사지를 하면 손발을 지나는 혈류 흐름이 좋아지고 말초신경도 자극해 수족냉증을 완화할 수 있다.
권복기 건강한겨레 기획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