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러스 유출지로 ‘중국 우한연구소’ 지목
코로나19 기원, 美 정보 당국도 의견 엇갈려
코로나19 기원, 美 정보 당국도 의견 엇갈려
미국 백악관 공식 홈페이지에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실험실에서 인위적으로 만들어졌다는 주장이 실렸다. 백악관 홈페이지 캡처
미국 백악관 공식 홈페이지에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실험실에서 인위적으로 만들어졌다는 주장이 실렸다.
18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백악관은 이날 홈페이지에 ‘실험실 유출’이라는 제목과 함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단어 사이를 걸어가는 듯한 이미지를 게시했다. 아래에는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중국의 실험실에서 만들어졌다는 취지의 내용이 첨부됐다.
백악관은 2020년 팬데믹을 일으킨 바이러스는 야생동물에서 인간으로 전염된 것이 아니라면서 우한 바이러스연구소(WIV)를 바이러스 유출지로 지목했다.
WIV가 사스-코로나 바이러스의 돌연변이를 연구했고, 소속 연구자들이 2019년 가을부터 코로나와 유사한 바이러스에 감염돼 질병을 앓았다는 것이다.
이는 지난해 연방 하원 감독위원회에서 공화당 주도로 발표된 보고서와 동일한 내용이다. 실제로 백악관은 당시 하원 보고서를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링크도 설치했다.
공화당은 백악관의 게시물에 대해 “늦게라도 책임 소재를 묻기 위한 노력”이라며 환영했다. 공화당 소속인 제임스 코머 하원 감독위원회 위원장은 성명을 내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인에게 코로나19의 진실을 제공했다”고 밝혔다.
한편 코로나19의 기원에 대해서는 미국의 정보 당국들도 의견이 엇갈린다. 미연방수사국(FBI)과 중앙정보국(CIA), 에너지부는 바이러스가 중국의 실험실에서 유출됐을 가능성이 높다는 결론을 내렸지만, 국가정보위원회(NIC) 등 다른 정보기관은 자연발생설에 무게를 두고 있다.
백악관은 2020년 팬데믹을 일으킨 바이러스는 야생동물에서 인간으로 전염된 것이 아니라면서 우한 바이러스연구소(WIV)를 바이러스 유출지로 지목했다. 해당 내용이 담긴 페이지. 백악관 홈페이지 캡처
아울러 코로나19 바이러스의 기원은 정치적으로도 첨예하게 입장이 갈리는 사안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팬데믹 발생 후 중국이 인위적으로 바이러스를 만들었다는 주장과 함께 중국 책임론을 제기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바이러스 자연발생설을 주장한 앤서니 파우치 전 미국 국립 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 소장에 대한 경호를 철회하는 등 보복에 나서기도 했다.
이에 대해 민주당은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인위적으로 만들어졌다는 주장은 비과학적이라고 맞서고 있다. 지난해 하원 감독위원회가 보고서를 발표하는 과정에서도 민주당 소속 의원들은 서명을 거부하고 반박을 위한 보고서를 제출한 바 있다.
민주당 소속인 라울 루이즈(캘리포니아) 연방하원의원은 백악관이 바이러스 유출설을 홈페이지에 게재한 데 대해 “팬데믹 당시 초기 대응 실패를 은폐하려는 수치스러운 시도”라며 “또 다른 분열을 초래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한편 미국 내 여론은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유출됐다는 주장으로 기운 상태다. 지난 2023년 이코노미스트와 유고브가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미국인 66%는 코로나 바이러스 실험실 유출설을 신뢰한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