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정부가 오늘(17일) 2025년 추가경정예산안을 발표했습니다. 총 12조 2천억 원인데, 4조 3천억 원이 민생 지원 분야에 쓸 예정입니다.

국회 논의 과정에서 늘거나 줄 수 있습니다만, 일단 정부 추경안 기준으로 쏠쏠한 환급·할인 혜택만 정리했습니다.

(출처: 기획재정부)

■ 카드로 150만 원 더 긁었다면 30만 원 환급

사업 이름은 '상생페이백'. 지난해 신용카드를 '100'을 썼는데, 올해 '120'을 썼다면…더 쓴 '20'만큼의 20%를 온누리상품권으로 돌려줍니다.

연 매출이 30억 원 이하 가게에서 쓴 카드 사용액이
②지난해보다 늘었어야 합니다.
증가액의 20%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지급합니다.

'연 매출 30억 원 이하 사업자'라면 동네에서 볼 수 있는 작은 규모의 식당, 소매점 등입니다. 당연히 대형마트, 백화점은 포함이 되지 않습니다. 또 유흥이나 명품, 자동차 등을 구입하는 데 쓴 것도 제외입니다.

온라인도 마찬가지입니다. 쿠팡이나 네이버쇼핑 같은 대형 플랫폼에서 사용한 카드 금액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지난해보다 더 썼는지 여부는 월 평균 금액 기준으로 따집니다. 지난해 소상공인 가게에서 쓴 카드 금액이 총 1,200만 원이라고 하면 월평균 금액은 100만 원. 이 금액이 기준이 됩니다.

올해 6월 한 달 동안 소상공인 가게에서 쓴 금액이 120만 원이라고 가정해 봅시다. 그럼, 증가액은 20만 원. 20만 원의 20%, 4만 원을 다음 달인 7월에 환급해 줍니다.

어떻게 주냐고요?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앱에서 쿠폰 형태로 줍니다. 환급 효과가 다시 영세 자영업자에게 돌아갈 수 있도록 한 겁니다.

상생페이백 사업의 예산은 1조 4천억 원입니다. 정부가 추산하는 환급 대상은 600만 명 정도. 무한정 환급해 줄 순 없단 말입니다.

상생페이백 사업이 개시되면 환급은 석 달간 진행될 예정입니다. 월 한도는 10만 원 입니다. 최대 30만 원까지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환급 대상이 되는 '연 매출 30억 원 이하 가게'를 어떻게 찾을까요? 쉽게 생각하면, 지역화폐를 쓸 수 있는 곳을 생각하면 됩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소비자들이 환급 대상이 되는 점포를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하는 방법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 공공 배달앱 세 번 주문하면 1만 원 할인

배달 중개 수수료를 대폭 낮춘 공공배달앱. 소상공인의 배달 수수료 부담을 줄이기 위해 여러 자치단체가 도입했습니다. 하지만, 이용자는 그리 많지는 않죠. 할인 등을 고려하면 배달의 민족이나 쿠팡, 요기요에 비해 소비자 입장에선 이점이 없다는 불만이 많았습니다.


이번 추경 예산에는 공공 배달앱 할인을 대폭 지원하는 방안도 담겼습니다.

공공 배달앱을 통해 2만 원 이상 주문이 세 차례 쌓이면, 1만 원 할인 쿠폰을 제공합니다. 할인 쿠폰 발급은 앱 별, 월 1회로 제한돼 있는데요.

다음 달 또 2만 원 이상 주문을 세 번 하면 쿠폰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같은 달이라도 다른 앱에서 2만 원 이상 음식을 세 번을 주문하면 1만 원 할인 쿠폰이 새로 발급됩니다.

배달 음식을 자주 주문한다면, 공공 배달앱 여러 개를 사용해 각각 쿠폰을 받을 수 있습니다.

여기엔 예산 650억 원이 투입되는데, 예산이 소진되면 할인 쿠폰 사업도 종료됩니다.

■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쓰면 10% 환급

전통시장에서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을 쓰면 사용액의 10%를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배정된 예산 1천억 원이 다 떨어지고 나면 환급 행사도 끝납니다.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환급 행사는 지난 설에도 진행됐었는데요. 지난 1월 10일부터 한 달간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사용 금액의 15%를 환급한 결과, 디지털 상품권 사용이 지난해 추석보다 90% 이상 증가했다고 합니다.

카드 사용액 환급도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된다고 하니, 이 기회에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앱 가입하는 게 어떨까요?


그래픽: 반윤미, 조은수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760 ‘헌법 준수’ 메시지 남긴 문형배·이미선···헌재, 열흘 만에 다시 ‘7인 체제’로 랭크뉴스 2025.04.19
45759 저임금·고된 업무... 일할 사람 사라지는 학교 급식실 [영상] 랭크뉴스 2025.04.19
45758 퓨마 등 야생동물 가득한 곳서, 길 잃은 두 살배기 구하고 지킨 목장견 랭크뉴스 2025.04.19
45757 러 "우크라 평화협상 일부 진전…어려운 논의 여전" 랭크뉴스 2025.04.19
45756 ‘오폭 사고’ 한 달여 만에···야간훈련하던 공군 항공기서 연료탱크 등 떨어져 랭크뉴스 2025.04.19
45755 이재명 “당선 땐 집무실 일단 용산” 김경수 “용산 하루도 못 써” 김동연 “바로 세종” 랭크뉴스 2025.04.19
45754 [영상] “윤석열이 대통령 아닌 14일차 아침…홍세화도 함께했다면” 랭크뉴스 2025.04.19
45753 한동훈 ‘막차’로 오세훈 만났지만, 홍·나·안 받은 USB 못 받아 랭크뉴스 2025.04.19
45752 [사설] 관용·자제 강조하며 떠난 문형배, 정치권 깊이 새겨야 랭크뉴스 2025.04.19
45751 백악관, '파월 해임 가능성' 질문에 "그 문제는 계속해서 검토" 랭크뉴스 2025.04.19
45750 “장애 대물림 알았지만 우린 부모가 됐습니다” 랭크뉴스 2025.04.19
45749 이재명 “정부 부담 민간에 떠넘기는 증세 추진, 바람직하지 않아” 랭크뉴스 2025.04.19
45748 민주당 대선경선 첫 TV토론…“증세보다 지출조정” “감세 포퓰리즘” 랭크뉴스 2025.04.19
45747 [사설] 美 압박 카드는 방위비·車·적자…긴 호흡으로 국익 지키는 협상을 랭크뉴스 2025.04.19
45746 검찰, ‘마약 투약 혐의’ 이철규 의원 아들 구속영장 청구 랭크뉴스 2025.04.19
45745 경찰, 이상민 전 장관 피의자 소환…언론사 단전·단수 의혹 조사 랭크뉴스 2025.04.19
45744 강남초교 ‘유괴미수’ 해프닝으로…“범죄 혐의점 없어” 랭크뉴스 2025.04.19
45743 [대선참견시점] "초코민트 안철수·아이언맨 김동연"/"언론과 친한(?) 홍준표" 랭크뉴스 2025.04.19
45742 훈련 중 공군 경공격기 연료탱크·기관총 떨어뜨려..."피해 없어" 랭크뉴스 2025.04.19
45741 '짱X'·'빨갱이'‥중국 음식점 거리서 '혐중' 쏟아낸 '극우' 청년들 랭크뉴스 2025.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