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서울시, 올 들어 싱크홀 5건···장마철 확산 우려
전국 40대 중 서울시 15대···추가 제작 필요성
지반침하 예방 예산 매년 감소···추경·국비 필요
매설 하수관로 30% 초고령···교체 역량 역부족
지난 달 25일 강동구 대명초등학교 도로에서 전날 발생한 대형 땅꺼짐 현장의 모습. 연합뉴스

[서울경제]

서울시가 싱크홀(땅 꺼짐)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지표투과레이더(GPR) 장비를 추가로 도입한다. 전국적으로 싱크홀 사고가 확산되는 가운데 장마철에 지반침하가 가속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며 선제 대응에 나선 것이다. 이와 함께 서울시는 지반침하 예방과 공공 안전 확보 등을 위해 GPR 탐사를 한층 강화할 계획이다.

17일 관련 지방자치단체에 따르면 서울시는 GPR 장비 추가 도입 방안을 논의 이다. 현재 서울시가 이용 중인 GPR 장비는 보유 장비 7대와 용역을 맡긴 8대 등 총 15대다.

서울시가 GPR 장비를 추가로 도입하려는 것은 올 들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싱크홀 때문이다. 지난달 강동구 명일동 지반침하 사고에 이어 이달 13일에는 서울 마포구 아현동 애오개역에서 깊이 1.3m가량의 싱크홀이 발생하는 등 전역으로 확대되고 있다. 소방청에 따르면 싱크홀 사고는 땅이 녹으며 지반이 약해지는 2~3월에 집중되고 있지만 폭우로 지반침하가 가속화될 경우 장마철에도 확산될 가능성이 크다.

이에 서울시는 GPR 장비를 활용해 침하가 예상되는 주요 구간을 파악해 복구하겠다는 계획이다. GPR 장비를 활용할 경우 지하 2m 이내의 공동(빈 공간)을 탐지하고 선제적인 복구 작업을 할 수 있다.

문제는 예산이다. 현재 국토안전관리원이 보유 중인 GPR 장비는 10대로 용역 업체가 갖고 있는 장비까지 합산하더라도 40대에 불과하다. 이 중 서울시가 15대를 이용하고 있으며 최근 싱크홀 발생이 급증하고 있는 부산시에서 2대를 사용 중이다.

이 때문에 서울시는 GPR 장비를 별도로 제작하는 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 경우 최소 5개월 이상의 준비 기간이 필요할 뿐 아니라 용역 비용까지 포함해 1대당 최대 6억 원 이상이 필요하다.



이에 비해 지반침하 예방 관련 예산이 매년 감소하는 추세라 비용 마련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가 나왔다. 지난해 54억 원이던 관련 예산은 올해 48억 원으로 줄었다. 또 지난해 10억 원으로 책정됐던 자산 및 물품 취득비는 올해 삭제됐다.

아울러 서울에 매설된 하수 관로의 약 30%가 50년을 넘긴 ‘초고령’ 하수관으로 밝혀져 추가 예산 투입이 불가피하다는 주장 또한 나왔다. 서울시에 따르면 이미 매설된 상수 관로 1만 3201㎞ 중 30년 이상 노후된 관로는 38.5%(5081㎞) 수준이다. 하수 관로(1만 838㎞)의 55.6%(6017㎞)가 30년 이상된 노후 관로다. 지난 10년 상·하수 관로 손상에 따라 지반이 침하된 경우는 64%에 달한다.

이 같은 상황에서 서울시가 연간 2000억 원을 들여 수리할 수 있는 노후 하수 관로는 100㎞ 수준에 불과해 노후도를 따라잡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다. 이에 따라 재난관리기금 등을 활용해 교체 속도를 높이거나 국비 보조가 필요하다는 의견에 힘이 실리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지반침하 예방을 위해 월 1회 집중 탐사를 하고 장기 사용 상수도관을 집중 정비할 계획”이라며 “연평균 최소 150㎞의 하수 관로를 정비해야 노후도에 대응할 수 있어 추가 재원 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한편 서울시가 발표한 ‘2025년 공동 조사(GPR 탐사) 강화 계획’에 따르면 총 3단계에 걸쳐 싱크홀 특별 점검이 진행된다. 1단계로는 다음 달 말까지 도시철도(9호선 4단계, 동북선, 영동대로)와 광역철도 등 49.3㎞ 구간에서 철도 굴착 공사장 특별 점검이 이뤄진다. 이후 이달 말까지는 자치구가 선정한 우선점검지역 특별 점검, 올해 말까지는 굴착 공사장(매월 1회)과 우선정비구역(상시)에서 조사가 진행될 예정이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907 음주운전·불법숙박업 혐의 문다혜씨 오늘 1심 선고 랭크뉴스 2025.04.17
44906 “한화, 삼성 다 막혔는데 여긴 왜?” 이재명 테마株 속전속결 유증심사 통과 논란 랭크뉴스 2025.04.17
44905 파월 "관세로 물가 오르고 성장 둔화…정책목표 달성 힘들 수도" 랭크뉴스 2025.04.17
44904 대전협 박단 “결국 정부가 해결해야···필수의료 동료들 돌아갈 환경 조성이 중요” 랭크뉴스 2025.04.17
44903 불출마 뒤 몸값 뛰는 오세훈… 국힘 경선 주자들 문전성시 랭크뉴스 2025.04.17
44902 국가성평등지수 65.4점…양성평등의식 약화에 첫 '후퇴' 랭크뉴스 2025.04.17
44901 윤석열 11%? 40%? 여론조사 어디까지 믿어야 할까···제대로 보는 법 총정리 랭크뉴스 2025.04.17
44900 "반수 제한" 초강수 전국 로스쿨…'두자릿수 성장' 사교육은 급팽창 랭크뉴스 2025.04.17
44899 [단독] 인구 비슷한 TK와 호남, 경선 반영은 3배 차이... 국민의힘 여론조사 왜곡? 랭크뉴스 2025.04.17
44898 처자식 죽이고도 집유? 살인피해자의 31%인데 가중처벌 없다 랭크뉴스 2025.04.17
44897 홈플러스·발란·JDX 다음은 누구…기업들 돈줄이 말라붙었다 [돈줄 가뭄] 랭크뉴스 2025.04.17
44896 [이슈 In] '11年 담배소송' 항소심 내달 마지막 변론…누구 손 들어줄까 랭크뉴스 2025.04.17
44895 수업 도중 “싱싱할 때 애 낳아라”…서울시교육청, 성희롱 교사 징계 요구 랭크뉴스 2025.04.17
44894 [오늘의 운세] 4월 17일 목요일 랭크뉴스 2025.04.17
44893 이준석 "계엄 옹호세력과 빅텐트? 이재명 막는데 비효율" [대선주자 릴레이 인터뷰②] 랭크뉴스 2025.04.17
44892 '돈세탁 실형' 페루 前대통령 부인 망명…도피 논란 랭크뉴스 2025.04.17
44891 트럼프, 일본과 관세·방위비 패키지딜 시사…내주 한국에도 꺼내나 랭크뉴스 2025.04.17
44890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 오늘 발표…증원 前 '3천58명' 유력 랭크뉴스 2025.04.17
44889 [사설] 헌법재판관 지명 효력 정지… 한 대행, 국정 안정에 힘쓰길 랭크뉴스 2025.04.17
» »»»»» 커져가는 싱크홀 불안에 …서울시, 지하 조사 장비 추가로 들인다 랭크뉴스 2025.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