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로이터연합뉴스
미국 백악관이 중국에 최대 245%의 관세율을 적용할 수 있다는 내용의 자료를 게시했다. 중국 관영매체는 ‘국제적 농담’이라 맞받았다.
백악관은 15일(현지시간) 홈페이지에 공개한 팩트시트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일 90여개국을 대상으로 상호관세를 부과한 뒤 75개국 이상이 협상을 위해 연락해왔다며 이같이 밝혔다.
백악관은 자료에서 “중국의 보복 조치로 중국은 이제 미국 수입제품에 최대 245%의 관세를 부과받게 됐다”고 했다.
이는 애초 미국 측이 밝혔던 대중국 관세율 145%에 비해 100%포인트 이상 높은 수치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2월 중국산 수입품에 10% 보편관세를 부과한 이후 3월 10% 관세율을 더했고, 이달 들어 고율의 상호관세를 또 부과했다.
백악관은 이번에 상향된 100%포인트에 대해 자세한 설명은 하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전에 부과했던 기존 관세를 포함한 특정 품목 관세를 반영한 것이라는 해석도 있다. 뉴욕타임스(NYT) 중국산 주사기에는 조 바이든 전 정권 때부터 적용하던 기존 관세 100%에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145%가 더해져 총 245%의 관세가 부과된다고 보도한 바 있다.
미국 백악관이 15일(현지시간) 올린 팩트시트에 ‘중국산 제품에 최대 245%의 관세를 부과한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백악관
오락가락 미국 관세…중국 언론 “웃기는 일”
미국 부과, 중국 보복, 미국 재부과, 중국 재보복이 이어지면서 미국의 대중국 관세 수치는 혼선을 거듭해왔다. 지난 9일 백악관이 공개한 행정명령에는 ‘기존 대중 상호관세율 84%를 삭제하고 이를 125%로 대체한다’는 내용이 명시됐다. 하루 뒤 백악관은 대중 관세 총합이 125%가 아닌 145%라고 정정했다.
한국에 부과되는 상호관세도 지난 2일 발표 당시 25%였다가, 행정명령서에는 26%였다가, 다시 25%로 확정되는 등 혼선을 빚었다.
이뿐만이 아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줄곧 ‘관세 부과에 변동은 없다’며 정책을 고수하겠다는 의사를 밝혀왔지만, 미 국채 시장이 출렁이자 지난 9일 ‘90일 유예’ 조치(중국 제외)를 발표하면서 이를 뒤집었다. 전자제품 관세를 두고도 ‘면제’를 공지했다가, ‘반도체 관세’에 넣기로 하는 등 오락가락하는 메시지로 시장에 혼동을 줬다.
중국에선 황당함이 감지된다. 중국 신화통신 계열의 소셜미디어 계정 뉴탄친은 16일 게시물에서 245% 관세율 표기에 대해 “웃기는 일”이라고 일축했다.
뉴탄친은 “미국이 계속해서 관세를 더 높이고 있는데 이것은 진짜 숫자놀음”이라며 “당연히 중국에도 할 말이 있지만 우리는 무시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 매체는“중국이 발전하는 과정에 맞닥뜨려야 할 재난이라면, 우리는 용감하게 맞서야 한다”고 덧붙였다.
지난 11일 중국 국무원은 11일 미국산 수입품 관세를 84%에서 125%로 높이면서 “앞으로 미국이 관세를 아무리 높게 인상하더라도 경제적 의미는 이제 없고, 세계 경제사에서 웃음거리가 될 것”이라며 “미국이 관세로 숫자놀음을 계속한다 해도 이제 무시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