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호진, 횡령·배임 혐의로 검찰 수사 중
금융계열사 대주주 적격성 문제될 수도
대기업집단 지정 시 지배구조 ‘흔들’


이호진 전 태광그룹 회장이 지난해 5월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리는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심사)을 받기 위해 법정으로 들어서고 있다. /연합뉴스

이호진 전 태광그룹 회장이 지난해 광복절 특사로 사면됐지만 곧바로 계열사를 이용한 비자금 조성 혐의로 검찰 수사를 받게 되면서, 흥국생명 등 금융계열사의 ‘오너 리스크’가 지속되고 있다.

태광그룹 금융계열사의 지배구조는 이 전 회장이 각 금융사의 최대주주에 오른 병렬적 구조다. 이 전 회장은 흥국생명 지분 56.3%를 보유해 산하 흥국화재를, 흥국증권 지분 68.75%를 보유해 산하 흥국자산운용을, 고려저축은행 지분 30.5%를 보유해 산하 예가람저축은행을 각각 지배하고 있다. 하나의 금융사만 지배하면 산하 금융계열사 다수를 간접지배하는 수직 구조와는 정반대인 것이다.

이 전 회장은 직접지배 외에도 태광그룹의 지주사 역할을 하는 티알엔을 통해서도 지배력을 행사하고 있다. 티알엔은 이 전 회장과 그의 자녀 이현준씨 지분이 90%가 넘는 가족회사다. 티알엔이 대한화섬과 태광산업을 지배하고, 두 회사가 다시 금융계열사 지분을 일부 보유하고 있다. 이 전 회장의 보유지분을 통한 직접지배와 티알엔을 이용한 간접지배가 동시에 이뤄지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이 전 회장에 대한 사법리스크가 또다시 변수로 떠올랐다. 서울경찰청은 지난해 9월 이 전 회장을 특정경제범죄 처벌 등에 관한 법률상 횡령·배임 혐의로 검찰에 송치했다. 경찰은 이 전 회장이 수십억원에 달하는 비자금을 조성했다고 판단했다.

이 전 회장에게 유죄가 선고되면 문제가 되는 것은 저축은행계열사다. 상호저축은행법에 따르면, 대주주 적격성 유지요건 중 하나가 사회적 신용이기 때문이다. 대주주인 이 전 회장이 적격성을 충족하지 못하면 의결권은 지분 10%로 제한된다. 금융 당국은 10% 초과 지분을 매각하라고 명령할 수도 있다.

의결권이 제한되면 고려저축은행의 실질적인 최대주주는 지분 23.2%를 보유한 이 전 회장의 조카 이원준씨가 된다. 이원준씨는 이임용 창업주의 장남 이식진 전 태광그룹 부회장의 첫째 아들로, 태광그룹 장자다. 이 전 회장의 아들 이현준씨는 흥국증권 우선주 43만주를 제외하면 금융계열사 지분이 하나도 없다.

그래픽=손민균

흥국생명과 흥국화재 등 보험계열사에 대한 지배력은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보험계열사의 대주주 적격성 유지요건은 저축은행과 달리 조세범처벌법·공정거래법·금융 관련 법령 위반에 한정돼 있다. 이 전 회장의 특경법상 횡령·배임 혐의가 유죄로 판단돼도 적격성 유지에는 문제가 없다는 뜻이다.

태광그룹이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대기업집단)으로 지정되는 것도 이 전 회장의 지배력에는 악영향을 미친다.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태광그룹의 공정자산 규모는 9조6630억원으로, 대기업집단 지정요건인 10조4000억원과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 태광그룹 자산총액은 2020년 8조1460억원에서 시작해 2023년을 제외하고는 매년 5000억원 이상 증가했다. 이 추세라면 앞으로 5년 내 대기업집단으로 지정될 수 있다.

대기업집단으로 지정되면 태광그룹 지배구조의 핵심인 티알엔을 지주사로 전환하는 방안이 거론된다. 하지만 지주사 체제로 전환되면, 금산분리 원칙에 따라 비금융계열사는 금융계열사 지분을 보유할 수 없게 된다. 티알엔과 티알엔 자회사인 대한화섬·태광산업이 보유한 지분을 매각해야 하는 것이다. 이 전 회장이 티알엔을 통해 행사했던 간접지배가 흔들릴 수밖에 없다.

대한화섬은 흥국생명 지분 10.43%와 고려저축은행 지분 20.2%, 예가람저축은행 지분 22.16%를 보유하고 있다. 태광산업도 흥국화재 지분 39.13%와 고려저축은행 지분 20.2%를 보유하고 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762 이재명 싱크탱크 출범‥김경수 AI 맞불·김동연 충청권으로 랭크뉴스 2025.04.16
44761 [사설]‘이완규·함상훈 지명’ 헌재 철퇴, 한덕수 사과하고 물러나라 랭크뉴스 2025.04.16
44760 "전시 차량이 갑자기 급발진 하더니 '쾅쾅쾅'"…아수라장 된 中 모터쇼 랭크뉴스 2025.04.16
44759 경찰, 대통령실·한남동 공관촌 압수수색 시도‥대치 끝에 또 불발 랭크뉴스 2025.04.16
44758 [속보] 경찰, 경호처와 10시간 대치 끝 대통령실 압수수색 철수 랭크뉴스 2025.04.16
44757 [속보] 소방당국 “광명 붕괴현장서 실종자 1명 발견” 랭크뉴스 2025.04.16
44756 "한덕수, 재판관 임명 멈추라"‥헌재 '전원일치' 랭크뉴스 2025.04.16
44755 국힘 ‘반이재명 빅텐트론’ 펴보기도 전에 ‘삐걱’ 랭크뉴스 2025.04.16
44754 조국혁신당 “한덕수, 경거망동 말고 대선 관리 주력하라” 랭크뉴스 2025.04.16
44753 “임명권 없다면 혼란”…헌재, ‘한덕수 재판관 지명’ 효력 정지 랭크뉴스 2025.04.16
44752 [3보] 소방당국 "붕괴된 광명 신안산선 공사현장서 실종자 1명 발견" 랭크뉴스 2025.04.16
44751 [속보] “신안산선 붕괴사고 실종자 1명 숨진 채 발견” 랭크뉴스 2025.04.16
44750 ‘재판관 알박기’ 한덕수의 난, 헌재가 8일 만에 진압 랭크뉴스 2025.04.16
44749 트럼프 "미∙일 관세협상에 직접 참석…위대한 무언가가 나오길" 랭크뉴스 2025.04.16
44748 소방당국 "광명 붕괴현장서 실종자 1명 발견…사망 추정" 랭크뉴스 2025.04.16
44747 "인사 쿠데타 사죄하라", "마은혁의 사법 보복"... '한덕수 지명 제동'에 엇갈린 희비 랭크뉴스 2025.04.16
44746 [속보] 소방 "붕괴현장 수색중 실종자 신체일부 확인…구조 2시간 예상" 랭크뉴스 2025.04.16
44745 [속보]소방당국 "광명 붕괴현장서 실종자 1명 발견"…124시간 만 랭크뉴스 2025.04.16
44744 “그날 이후, 봄은 멈췄습니다” 세월호 생존 학생이 전한 편지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16
44743 소방당국, 광명 신안산선 공사현장서 실종자 1명 발견...사건 124시간만 랭크뉴스 2025.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