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탄핵 선고 이후 혼란한 정국에 다시 회자되는 한 어른이 있습니다.
'평균의 삶'을 다짐한 문형배 헌법재판관에게 가르침을 준 사람, 김장하 선생인데요.
조건 없이 형편 어려운 학생과 지역시민을 돕고, "줬으면 그만"이라며 자신을 숨기는 모습은 진정한 '어른'이 귀한 요즘, 큰 울림이 되고 있습니다.
문다영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 리포트 ▶
쉴 새 없이 인쇄기가 돌아갑니다.
경남 지역 한 어른을 다룬 책 '줬으면 그만이지'.
[이용범/인쇄소 부장]
"탄핵 결정 이후에 추가 주문이 급증한 상태입니다."
출간 2년 반 만에 9쇄를 찍게 됐습니다.
넷플릭스에선 2년 전 나온 다큐멘터리가 역주행하고, 극장가엔 그를 다룬 영화가 다시 걸렸습니다.
[김재식/영화 <어른 김장하> 관객]
"많이 울었던 것 같습니다. 선생님이 작은 덩치에 걸어가시는 모습 자체가 살아왔던 모습에 그게 반영이 되다 보니까."
어른 김장하.
경남 진주에서 한약방을 운영하며 번 돈 수백억 원을, 60년 동안 도움이 필요한 이들에게 지원했습니다.
간결한 법의 언어로 대통령 파면 이유를 설명한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대행이 바로 김장하 장학생이었다는 사실이 알려져, 그의 이야기가 새삼 회자되고 있습니다.
[문형배/헌법재판소 재판관 (2019년 인사청문회)]
"독지가인 김장하 선생을 만나 대학교 4학년까지 장학금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캐면 캘수록 미담만 쏟아진 기이한 인물.
"진주가을문예는 김장하 이사장님께서 기금 1억 5천만 원을 마련해서…"
"김장하 이사장님 아니었으면 이 집(여성 쉼터)이 탄생 안 했을 겁니다."
고등학교를 잘 지어 국가에 헌납하고, 여기저기 후원해 놓곤 자신을 감추기만 해 김장하 키즈들은 발을 동동 굴렀습니다.
[김종명/명신고 7기·김장하 장학생 - 민태기/명신고 4기]
"굉장히 좀 유명해졌으면 좋겠다는 조바심이 있었어요. 왜 이 분을 몰라주지. <친구들한테 이야기하니까 '아이고 거짓말 마라' 그런 이야기 많이 듣잖아.> 판타지 속 사람이라고… <아이고 너 시골에서 왔으니까…>"
가난 때문에 공부 못 한 설움을 남들은 안 겪게 하겠다며 베풀어온 삶.
갚으려거든 자신이 아닌 '사회'에 갚으라는 그의 가르침은, 수많은 김장하 장학생들을 움직였습니다.
어떤 이는 일상에서 작은 나눔을 실천하고,
[민태기/명신고 4기]
"라떼 장학금이라고 있습니다. 한 달에 5천 원씩 내는 모임."
어떤 이는 혼란한 시국에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이준호/서울대 교수·김장하 장학생 (2024년 12월)]
"내란수괴 윤석열의 즉각 탄핵 이외에 다른 길이 없다고 믿으며…"
좋은 어른이 귀한 혐오의 시대.
내세우지 않고 베풀었던 사람의 향기가 아직 희망을 찾게 합니다.
MBC뉴스 문다영입니다.
영상취재 : 윤병순, 임지환, 우성훈, 김창인 / 영상편집 : 안윤선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