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헌재 탄핵심판 인정 사실들도 반박
군 지휘관 ‘의원 끌어내라’ 잇단 증언
김형기 “군 일부, 정치 이용에 회의감”
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기소된 윤석열 전 대통령이 14일 경호차량 뒷좌석에 탄 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으로 들어서고 있다. 윤 전 대통령은 지하 통로를 통해 법정으로 들어갔다. 연합뉴스

12·3 비상계엄 선포 당시 국회에 투입된 군 현장 지휘관들이 윤석열 전 대통령 첫 형사재판에서 상부의 ‘의원 끌어내라’ 지시가 있었다는 증언을 잇달아 내놨다. 반면 윤 전 대통령은 “비폭력적으로 국회 해제 요구를 수용한 몇 시간의 사건을 내란으로 구성한 자체가 법리에 맞지 않는다”며 계엄은 평화적 대국민 메시지였다는 기존 입장을 되풀이했다. 헌법재판소가 탄핵심판 과정에서 인정한 주요 사실관계들을 또다시 부인한 것이다.

서울중앙지법 형사25부(재판장 지귀연)는 14일 윤 전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혐의 첫 공판에서 조성현 육군 수도방위사령부 제1경비단장과 김형기 특수전사령부 제1특전대대장의 증인신문을 진행했다.


조 단장은 ‘이진우 전 수방사령관으로부터 국회의원들을 끌어내라는 지시를 받은 것이 맞느냐’는 검찰 질문에 “맞다”고 답했다. 그는 “(이 전 사령관이) 안에 특전사 요원들이 들어갔기 때문에 이들이 인원들을 끌고 나오면 밖에서 길을 터주는 역할을 하라고 말씀하셨다”고 했다. ‘인원’이 국회의원이라는 점도 재확인했다. 윤 전 대통령은 발언 기회를 얻고 “헌재에서 이미 다 신문한 사람을, 자기들 유리하게 굳이 나오게 한 건 (검찰에) 다분히 정치적 의도가 있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김 대대장도 비슷한 취지로 진술했다. 김 대대장은 “이상현 특전사 1공수여단장으로부터 ‘담을 넘어라, 그다음에 본청 가서 의원을 끌어내라’ 지시를 받았다”며 “부하들에게 임무를 부여하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김 대대장은 “이 단장이 ‘대통령님이 문을 부수고서라도 끄집어내 오래’라고 했느냐”는 검찰 질문에도 “네”라고 답했다. 단전 지시를 받았으나 실제 단전을 하지 않은 것에 대해선 “(지시를) 누가 했는지 모르겠으나 영화를 너무 많이 본 것 같다”고 말했고, 방청석에선 웃음이 터지기도 했다. 김 대대장은 “일부 부대원은 군 생활에 회의감을 느끼고 있다. 정치적 수단으로 이용됐다고 생각한다”는 검찰 진술도 맞는다고 확인했다. 그러면서 “병력이 ‘물러서라, 참아라, 때리지 말라’는 지시를 잘 이행했기 때문에 이 자리에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윤 전 대통령은 79분간 모두진술을 하면서 “평화적인 대국민 메시지용 계엄이었다”는 주장을 반복했다. 그는 “계엄은 길어야 반나절, 하루밖에 될 수 없었다”며 야당의 감사원장 등 줄탄핵 시도가 계엄선포 원인이었다고 했다. 또 윤 전 대통령은 “실탄 지급을 절대 하지 말고 민간인과 충돌을 피하라고 지시했다”고도 했다.

하지만 이는 헌재가 지난 4일 윤 전 대통령 파면 결정을 선고하면서 이미 배척한 주장이다. 헌재는 “윤 전 대통령이 병력 투입으로 국회 계엄 해제요구권 행사를 방해해 계엄 효력을 상당 기간 지속시키고자 했던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헌재는 또 실탄 지급을 절대 하지 말라고 했다는 윤 전 대통령 주장에 대해서는 “실탄 지급을 금한 건 군인들의 자체적 결정이라고 판단했다.

윤 전 대통령은 “(헌재에서) 초기 내란몰이 과정에서 겁을 먹은 사람들이 수사기관 유도에 따라 진술한 부분들이 검증 없이 반영됐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또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 등 진술 신빙성도 재차 문제 삼았다. 윤 전 대통령은 “홍 전 차장에게 누굴 체포하라고 얘기했다는 건 새빨간 거짓말”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곽 전 사령관의 진술에 대해서는 “처음부터 민주당 의원들에 의해 조작·왜곡된 것”이라고 했다.

윤 전 대통령이 군 관계자들과 배치되는 주장을 반복하는 태도가 법정에서 불리하게 작용할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임지봉 서강대 로스쿨 교수는 “윤 전 대통령의 주장이 증거나 증언으로 배척되면 법원이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판단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631 [속보] 권성동 “한덕수 경선 안 나와… 출마설 언급 도움 안 된다” 랭크뉴스 2025.04.15
48630 경찰 '근로자 사망' 아워홈 압수수색… 한 달 전 하청직원 끼임 사고 있었다 랭크뉴스 2025.04.15
48629 시신 지문으로 대출 '김천 오피스텔 살인범'에 무기징역 선고 랭크뉴스 2025.04.15
48628 김문수·홍준표도 '반명 빅텐트'…"이재명 이기기 위해 힘 합쳐야" 랭크뉴스 2025.04.15
48627 한동훈 “국민 관심 없는 ‘한덕수 차출론’, 테마주 주가조작 같아” 랭크뉴스 2025.04.15
48626 “이게 여진이 맞나요?”…만달레이 교민들은 지금 [미얀마 강진②/취재후] 랭크뉴스 2025.04.15
48625 최상목 “12조대 필수추경안 마련”…당초 발표보다 2조 증액 랭크뉴스 2025.04.15
48624 권성동 "韓대행, 경선 출마 안해…출마설 언급 도움 안된다" 랭크뉴스 2025.04.15
48623 제주공항 활주로서 승객이 비상문 열어…에어서울 이륙포기(종합) 랭크뉴스 2025.04.15
48622 박찬대 "韓대행, 국회 무시·거부권 남발…안하무인격 전횡" 랭크뉴스 2025.04.15
48621 권성동 “한덕수 대행, 경선 출마 안해…출마설 언급 도움 안돼” 랭크뉴스 2025.04.15
48620 정치인 위 '상왕' 노릇 여론조작 브로커...고발해도 변한 게 없다 랭크뉴스 2025.04.15
48619 정부, 12조원대 ‘필수추경’ 편성…AI 분야에만 1.8조 투입 랭크뉴스 2025.04.15
48618 국힘 경선, 이대로면 국민과 더 멀어지는 길로 [4월15일 뉴스뷰리핑] 랭크뉴스 2025.04.15
48617 김해서 승용차와 킥보드 충돌, 중학생 1명 숨져 랭크뉴스 2025.04.15
48616 "위험해서 안 만듭니다"…졸업앨범 사라지는 씁쓸한 현실, 왜 랭크뉴스 2025.04.15
48615 헌재, '한덕수 재판관 지명 가처분' 논의…오전 재판관 평의 랭크뉴스 2025.04.15
48614 李 “검은돈 유혹받지 않았다”… 후원 계좌 개설 랭크뉴스 2025.04.15
48613 김동연 "남성 징병제, 2035년까지 모병제로 단계적 전환" 랭크뉴스 2025.04.15
48612 “니가 검사면 난 대통령” 욕 먹으며 1500명에게 전화 돌렸다 [김승현 논설위원이 간다] 랭크뉴스 2025.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