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전자제품 후퇴’ 논란 다시 뒤집어
품목·상호·표적 중구난방 정책에
계속되는 트럼프 변덕 경제 혼란
플로리다에서 주말을 보내고 13일(현지시간) 전용기 편으로 워싱턴DC 인근 앤드루스 합동기지에 도착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14일 베트남 하노이 노이바이 국제공항에 도착해 손을 흔드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트럼프 대통령은 기내에서 취재진에게 반도체 관세율을 다음 주 중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시 주석은 미국의 관세 폭탄에 맞서 공동 대응을 모색하기 위해 베트남을 국빈방문했다. AP, 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스마트폰 등 전자제품을 둘러싼 ‘관세 후퇴’ 논란을 직접 뒤집으며 관세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을 다시 키웠다. 품목·상호·표적 등 얽히고설킨 미국의 관세 정책과 이를 번복하는 트럼프 행정부의 변덕이 전 세계 경제를 혼란에 빠뜨린다는 비판이 커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13일(현지시간) 자신의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에 “(반도체·스마트폰 등 전자제품은) 관세 예외가 아니다. 이들 제품에는 기존의 펜타닐 관세 20%가 적용되고 단지 다른 관세 범주로 옮기는 것”이라고 밝혔다. 대신 트럼프 대통령은 이들 제품에도 추후 철강·자동차 등과 마찬가지로 별도의 품목별 관세를 매기겠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가짜뉴스’는 이 같은 사실을 알고도 보도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이는 11일 미국 세관국경보호국(CBP)이 스마트폰 등 일부 전자제품에 대중국 상호·보복 관세 125%를 적용하지 않기로 한 결정에 대한 해명이었다. 현지 언론은 대부분 이를 미국 내 소비자물가 상승을 우려한 ‘일보 후퇴’로 해석했는데, 트럼프 대통령은 언론들이 사실을 왜곡했다고 비판한 것이다.

하지만 이 같은 혼선은 트럼프 행정부의 책임이 크다. 트럼프 행정부는 현재 품목별 관세, 국가별 상호관세, 일부 국가를 향한 표적 관세와 보복 관세를 복잡하게 뒤섞고 있다. 여기에 관세 정책 유예도 반복되면서 혼란을 부추겼다.


우선 미국은 철강·자동차 등 일부 품목에 대해 25%의 품목별 관세율을 적용 중이다. 상호관세 적용 대상에서 제외된 의약품·구리·반도체 등 품목도 조만간 품목별 관세율을 확정해 적용할 전망이다.

여타 품목은 국가별 상호관세 적용을 받는다. 지난 5일 발효된 상호관세에는 멕시코·캐나다를 제외한 모든 국가에 기본 관세율 10%를 매긴다는 내용이 담겼다. 추가로 ‘문제 교역국’에는 최대 49%(캄보디아)에 이르는 별도 관세율을 적용한다고 예고했다. 이는 9일 발효를 앞두고 90일간 부과가 유예됐다.

일부 국가를 겨냥한 ‘표적 관세’도 혼란을 더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2월과 3월 두 차례에 걸쳐 중국의 펜타닐 대응 미흡을 질타하고 10%씩 20%의 관세율을 부과했다. 아울러 중국에 대한 국가별 관세율도 중국의 ‘맞불 관세’에 대응해 34%에서 125%까지 치솟았다. 캐나다·멕시코에 대한 25%의 표적 관세도 취임 직후 발표됐다가 두 번의 유예를 거쳐 지난 2일 발효됐다.

관세 정책에 대한 시장의 우려도 커지고 있다. 토비아스 마이어 DHL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기업들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표 및 철회 반복에 피로감을 느끼는 상태”라고 말했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163 티아라 전 멤버 이아름씨, 사기 혐의로 징역형 집행유예 new 랭크뉴스 2025.04.16
49162 “별다른 대응 전략 無” 트럼프 관세 대책에 제조업체 42%의 답, 이유는? new 랭크뉴스 2025.04.16
49161 “지하철 가방 조심!”…사라진 줄 알았던 지하철 소매치기, 2년간 587건 발생 new 랭크뉴스 2025.04.16
49160 “불덩이 내려놓자” 국힘서 커지는 ‘尹 결별’ 목소리 new 랭크뉴스 2025.04.16
49159 [속보] 서경호 침몰 67일 만에 여섯 번째 실종자 발견 new 랭크뉴스 2025.04.16
49158 '5억 안 주면 사생활 유포'... 유명가수 협박범 결국 구속기소 new 랭크뉴스 2025.04.16
49157 김재섭 "윤석열 전 대통령과 결별 않고 승리할 방법 없어" new 랭크뉴스 2025.04.16
49156 용인 일가족 5명 살해 50대 “과다 채무·소송 괴로웠다” 진술 new 랭크뉴스 2025.04.16
49155 유정복 “이제 윤석열 잊자” 국힘 주자 중 유일하게 탈당·출당 거론 new 랭크뉴스 2025.04.16
49154 "국힘, '탄핵의 강' 건너지 않고는 '드럼통' '反이재명 빅텐트' 안 먹힐 것" new 랭크뉴스 2025.04.16
49153 경찰, 대통령실‧공관촌 압수수색 착수…비화폰 서버 확보 시도 new 랭크뉴스 2025.04.16
49152 이재명 후원금 모금 하루만에 마감…29억4000만원 채워 new 랭크뉴스 2025.04.16
49151 일가족 살해 50대 “아파트 분양 사업 실패로 거액 빚져 고통” new 랭크뉴스 2025.04.16
49150 트럼프, 부산 영사관 없애나…27곳 해외공관 폐쇄 저울질 랭크뉴스 2025.04.16
49149 국민의힘 경선 김·홍·한·나·안 '5강' 포함 8명… 22일 4명 '컷오프' 랭크뉴스 2025.04.16
49148 화장실서 숨진 채 발견된 태아, 부모는 ‘혐의 없음’ 랭크뉴스 2025.04.16
49147 경찰, 대통령실 경호처 압수수색…비화폰 서버 겨냥 랭크뉴스 2025.04.16
49146 경찰, 대통령실·한남동 공관촌 압수수색… 체포영장 저지 관련 랭크뉴스 2025.04.16
49145 국민의힘, 1차 경선 진출자 8명 확정…3명 컷오프 랭크뉴스 2025.04.16
49144 국민의힘 대선 1차 경선 김문수·홍준표·한동훈·나경원·안철수 등 8명 진출 랭크뉴스 2025.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