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한국산 화장지·물티슈 쟁여두기 현상
코로나19 이후 국산 휴지 인기 급증
선크림 등 'K-뷰티' 품목도 사재기 대상
식품 관련해서도 조미김 등 수요 늘어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 진열된 크리넥스.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음. 뉴스1

[서울경제]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한 제조 업체에서 근무하고 있는 40대 김 모 씨는 최근 미국 내 한인 단체 채팅방에서 ‘상호관세로 인해 한국산 휴지 가격이 오를 수 있으니 미리 사둬야 한다’는 글을 발견하고 곧장 한인 마트로 달려갔다. 하지만 평소 매대를 가득 채우고 있던 30개들이 두루마리 휴지는 단 한 세트만이 덩그러니 남아 있었다. 김 씨는 “최근 코스트코에 장을 보러 갔는데 모든 고객들이 카트에 휴지 하나씩은 담고 있을 정도로 미국 전역에 휴지 대란이 벌어지고 있다”며 “한인들 사이에서도 한국산 화장지를 미리 쟁여놓아야 하는 것 아니냐는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 국가를 상대로 상호관세를 부과한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미국 유학생들과 교포들 사이에서 가격 상승을 우려해 한국산 화장지나 물티슈 등을 미리 구매해야 한다는 움직임이 포착되고 있다. 화장지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 제조된 선크림이나 건조 김 등 다양한 품목들에 대한 사재기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 교포들의 전언이다.

국산 화장지에 대한 미국 내 수요가 대폭 늘어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2020년 코로나19 당시 전 세계적으로 면역과 위생 상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휴지 대란’이 한 차례 일어나 우리나라 제품에 대한 수요도 덩달아 늘어난 바 있다. 당시 1년 만에 대미 화장지 수출 금액이 전년 대비 329% 늘어났으며 점유율 역시 이례적으로 40%를 돌파했다.

안 그래도 코로나19 이후 우리나라의 대미 화장지 수출액은 해를 거듭할수록 늘어나는 추세였다. KOTRA의 국산 화장지 대미 수출 금액 통계에 따르면 2021년 134만 7375달러(약 19억 2445만 원)였던 수출 금액은 2022년 163만 3592달러, 2023년 187만 5039달러로 늘었다. 지난해에는 219만 9976달러를 기록하며 3년 만에 200만 달러 고지를 밟았다. 전체 화장지 수출국 중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 또한 2021년 21.4%에서 2024년 31.2%로 10%포인트가량 늘어났다.

화장지 사재기에 나선 것은 우리나라 유학생뿐만이 아니다. 미국인들도 가격 상승을 우려해 화장지와 키친타월을 쟁여두는 분위기다. 미국이 화장지 주요 수출국인 캐나다의 연질 목재에 대해 당초 14%였던 수입세를 52%로 올리겠다 예고했기 때문이다. 미국에서 유통되는 화장지나 키친타월 성분의 대부분은 캐나다산 펄프가 차지하고 있다. 미국이 중국을 제외한 국가에 대해 90일간 상호관세 부과를 유예하겠다고 밝혔지만 가격 상승에 대한 불안감은 이미 팽배해진 상황이다.

가격 상승 우려에 미국에서 사재기 현상이 벌어지는 국산 제품은 화장지뿐만이 아니다. 최근 외국에서 기능을 인정받아 ‘K뷰티’라는 이름이 붙을 정도로 인기를 끌고 있는 국산 화장품 또한 미국 소비자들의 사재기 대상이 되고 있다. 외신에 따르면 각종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나 온라인 커뮤니티 등을 중심으로 미국인들이 상호관세 부과로 사재기에 나선 미국 내 수입품 목록 중 한국산 선크림이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경우 자외선 차단제를 의약용품으로 분류하고 있어 해당 기능이 기본적으로 포함돼 있는 한국산 선크림에 대한 수요가 최근 들어 높아지던 와중에 가격 상승 우려까지 겹치며 사재기 현상이 발생한 것이다.

지난해 미국 수출액만 1398만 달러를 기록한 건조 김도 마찬가지다. 미국이 관세를 부과하면서 가격 상승을 피할 수 없게 되자 유학생들은 물론 자영업자들까지 김 사들이기에 나선 상황이다. 미국 내 일식당에서 근무하고 있는 30대 강 모 씨는 “일식에서 김은 필수인데 건조 김의 경우 손님들에게 인기가 좋은 한국산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며 “김은 유통기한이 길다 보니까 사장님이 가격이 오르기 전에 미리 수개월 치를 미리 구매하자고 의견을 제시해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미국의 상호관세 여파로 가격 조정이 가시권에 들어올 때까지 적어도 6개월가량 이러한 재난 형태의 소비가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835 고개 숙인 더본코리아 “다 바꾸겠다…필사의 각오로 혁신” new 랭크뉴스 2025.04.15
48834 [단독] 배민 B마트, 전주서도 달린다…퀵커머스 전쟁 가열 new 랭크뉴스 2025.04.15
48833 유시민 "대통령 되면 피바람?"…이재명 "인생서 보복한 적 없다" new 랭크뉴스 2025.04.15
48832 대선 경선 스타트... 민주당 27일, 국민의힘 늦어도 내달 3일 후보 확정 new 랭크뉴스 2025.04.15
48831 "100달러 룰루레몬 레깅스, 원가는 5달러" 미국 브랜드 원가 폭로 나선 중국 인플루언서 new 랭크뉴스 2025.04.15
48830 국민의힘 대선 경선에 11명 후보 등록…韓대행 불참 확정 new 랭크뉴스 2025.04.15
48829 S&P, 한국 신용 등급 ‘AA’ 유지…“정치 분열로 경제회복은 우려” new 랭크뉴스 2025.04.15
48828 "전주서 출산하면 쓰레기봉투 100장만 준다?"... 가짜뉴스 퍼져 new 랭크뉴스 2025.04.15
48827 김성훈 경호처 차장 "이달 말 사퇴"‥직원들 "당장 물러나라" new 랭크뉴스 2025.04.15
48826 "한국 어쩌나"...미국서 날아든 '비보' new 랭크뉴스 2025.04.15
48825 이재명 “인생에서 보복한 적 없다... 대통령 돼 보여줄 것” new 랭크뉴스 2025.04.15
48824 '드럼통'에 들어간 나경원‥민주 "우린 영현백 들어갈 뻔" new 랭크뉴스 2025.04.15
48823 “한숨 돌렸다”...韓, 비상계엄 ‘충격’에도 국가신용등급 유지 new 랭크뉴스 2025.04.15
48822 [단독] 홍준표 쪽-명태균 1억원 돈거래 정황…“김영선 선거비용 5천” new 랭크뉴스 2025.04.15
48821 대낮부터 난동 부린 남성…대마초 통 집어던져 [이슈클릭] new 랭크뉴스 2025.04.15
48820 “남직원들은 나가라” 의원님의 공무원 폭행 공방…그날의 진실은? new 랭크뉴스 2025.04.15
48819 건강 챙기는 Z세대, 술 대신 ‘버섯’ 먹는다 new 랭크뉴스 2025.04.15
48818 9호선 출근 열차 바닥서 '인분' 발견 소동…민원 10여건 new 랭크뉴스 2025.04.15
48817 이재명 "내란 사범에 분명히 책임 물어야…공수처는 대폭 강화"(종합) 랭크뉴스 2025.04.15
48816 '신입생 뽑지 마라' 의대생들 "새 정부와 협상"···교육부 "협상 여지 없어" 랭크뉴스 2025.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