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전두환· 노태우·이명박· 박근혜도 첫 재판 촬영
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지난 11일 서울 용산구 한남동 관저에서 나와 서초동 집으로 향하고 있다.공동취재사진

윤석열 전 대통령의 형사 재판이 14일 본격 시작하지만 과거 대통령과 달리 윤 전 대통령이 피고인석에 앉은 모습은 볼 수 없게 됐다. 재판부가 소극적인 판단으로 촬영을 불허했기 때문이다.

13일 한겨레 취재 결과, 법조 영상기자단은 지난 11일 오후 윤 전 대통령 재판에 대한 법정 촬영 허가 신청서를 재판부에 제출했다. 해당 재판을 맡은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재판장 지귀연)는 당시 다른 재판을 진행하고 있었고, 신청서를 일과 시간이 지난 저녁 7시께 확인한 뒤 ‘불허’ 결정을 내렸다. 피고인인 윤 전 대통령 쪽 의견을 묻는 절차가 필요한데, 시간상 어렵다고 판단해 불허 결정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 이 재판부는 지난달 구속 일수를 날짜가 아닌 ‘시간’으로 계산해야 한다며 윤 전 대통령의 구속 취소를 결정하기도 했다.

하지만 피고인의 의견 수렴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상황에서 재판부가 소극적으로 판단했다는 비판이 나온다. 대법원 ‘법정 방청 및 촬영 등에 관한 규칙’을 보면 재판장은 피고인 동의가 있는 때에 법정 내부 촬영 신청을 허가할 수 있다. 다만 피고인 동의가 없더라도, 촬영 허가가 공공의 이익을 위해 상당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허가할 수 있다. 피고인의 의견과 상관없이 재판부가 판단해 촬영을 허가할 수 있다는 얘기다.

한 고법부장 출신 변호사는 “규칙에 의하더라도 반드시 동의 여부를 물어봐야 하는 것은 아니고, 서면 동의를 받아야만 하는 것도 아니다”라며 “동의 여부와 무관하게, 공공의 이익에 따라 결정할 수 있는 영역”이라고 말했다. 한 고법판사 출신 변호사는 “사안의 중대성을 볼 때 재판부가 선제적으로 필요성을 판단할 수 있는 부분으로 보인다”며 “과거 촬영 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대통령도 공개를 했었는데, 재판부가 신청을 불허한 것은 이해가 가지 않는다”고 말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이 지난 2017년 5월23일 오전 서초동 서울중앙지법 417호 대법정에서 열린 592억여원의 뇌물혐의에 대한 첫 번째 공판에 최순실씨,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과 함께 출석, 피고인석에 앉아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이전에 형사 재판을 받은 다른 대통령들의 첫 재판은 예외 없이 촬영이 가능했다. 1996년 전두환·노태우 내란죄 재판 때 재판부는 국민적 관심과 역사적 중요성을 감안해 1분30초간 촬영을 허용했다. 2017년 5월 박근혜 전 대통령의 국정농단 사건 첫 정식 재판도 개정 전 취재진의 법정 촬영이 허용됐다. 2018년 5월 이명박 전 대통령의 뇌물수수·횡령 등 사건의 첫 정식 재판도 이 전 대통령 쪽이 국가적 위신이 떨어질 수 있다며 촬영에 반대 의사를 표했지만, 재판부는 국민적 관심과 사안의 중요성, 공공의 이익, 박 전 대통령 전례 등을 고려해 촬영을 허가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118 尹 형사재판 D-day…혐의 인정할까 랭크뉴스 2025.04.14
» »»»»» 지귀연 재판부 윤석열 봐주기…이명박·박근혜도 섰던 법정 촬영 불허 랭크뉴스 2025.04.14
48116 자신감 붙은 美 마이크론, HBM 장비 대거 반입… “물량 경쟁 신호탄” 랭크뉴스 2025.04.14
48115 中 희토류 수출 중단…첨단산업 ‘비상’ 랭크뉴스 2025.04.14
48114 ‘탄핵소추안 작성’ 김용민 “사법부도 국민 감시·통제 받아야” [인터뷰] 랭크뉴스 2025.04.14
48113 김경수 “용산 대통령실, 단 하루도 사용해선 안 돼” 랭크뉴스 2025.04.14
48112 낮 최고 9~16도 흐리고 쌀쌀…일부 지역 ‘싸락우박’ 주의 랭크뉴스 2025.04.14
48111 ‘팔레스타인 승인 추진’ 마크롱에 “엿 먹어”…네타냐후 아들, 또 막말 랭크뉴스 2025.04.14
48110 중국서 '폭싹 속았수다' 박보검·아이유 초상권 무단 사용 논란 랭크뉴스 2025.04.14
48109 트럼프 “어떤 예외도 발표하지 않아”…스마트폰·컴퓨터 관세 면제 부인 랭크뉴스 2025.04.14
48108 "애플·테슬라·월마트"도 인질…트럼프 변덕에 롤러스코터 타는 시장[트럼프 쇼크] 랭크뉴스 2025.04.14
48107 “회장님은 주인 의식 많은 분” 누구의 말일까요? 랭크뉴스 2025.04.14
48106 이재명 48.8%…김문수 10.9%, 한덕수 8.6%, 한동훈 6.2%[리얼미터] 랭크뉴스 2025.04.14
48105 비난보다 극복 집중…임기 첫 100일의 성공, 바이든 사례서 배워라 랭크뉴스 2025.04.14
48104 전광훈 "尹, 5년 후 대선 반드시 나온다고 했다…탄핵은 북한의 공작" 랭크뉴스 2025.04.14
48103 아내 명의로 저녁에 족발집 운영한 공무원…법원 "징계 정당" 랭크뉴스 2025.04.14
48102 제주서 "4·3 유전자" 교사 발언 논란 랭크뉴스 2025.04.14
48101 트럼프·가계부채 변수에…전문가 90% "이달 금리 동결"[Pick코노미] 랭크뉴스 2025.04.14
48100 서울 유명 빵집 ‘위생’ 논란…그런데 예상 밖 반응 속출? [잇슈#태그] 랭크뉴스 2025.04.14
48099 "잘못된 수학에 경제 무너져" 월가도 분노한 관세폭탄[트럼프 쇼크] 랭크뉴스 2025.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