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부산의 낮 최고기온이 34도를 기록하는 등 폭염주의보가 내려진 지난해 9월 19일 부산 해운대해수욕장을 찾은 외국인들이 수영복 차림으로 물놀이와 선텐을 하며 가을 폭염을 식히고 있다. 송봉근 기자
올여름 부산 해운대해수욕장의 정식 개장 기간이 9월 중순까지로 연장된다. 최고 기온이 30도를 웃도는 찜통더위가 가을까지 이어지는데다, 일찌감치 안전요원이 철수한 해수욕장에서 인명사고까지 나는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다.



가을폭염ㆍ인명사고에 길게 여는 海
13일 부산 해운대구에 따르면 올해 해운대해수욕장은 6월 21일부터 9월 14일까지 정식 개장한다. 지난해까지 개장 기간은 7월부터 두 달 동안이었지만, 올해 연장 결정에 따라 개장 일수는 24일 늘어난다. 송정해수욕장도 6월 21일~8월 31일 개장돼 작년보다 개장 일수가 10일 늘어난다.

이는 김성수 해운대구청장과 지역 주민, 관광 전문가 등 15명으로 구성된 해운대구 해수욕장 협의회가 내린 결정이다. 협의회가 올해 개장 기간을 늘리기로 한 데는 찜통더위 기간이 길어지며 지난해 인명사고로까지 발생한 게 배경이 됐다.

지난해 9월 16일 해운대 해수욕장에선 관광객 2명이 입수했다가 숨지는 사고가 일어났다. 외국인인 이들은 각각 해수욕장을 방문했으며, 오후 시간대 입수했다가 사고를 당했다. 기상청에 따르면 부산은 지난해 9월 말까지 낮 최고 기온이 33도를 넘기며 폭염 경보 발령되는 등 무더위가 이어졌다.

부산 낮 최고기온이 34도를 기록하는 등 폭염주의보가 내려진 지난해 9월 19일 부산 해운대해수욕장을 찾은 외국인들이 수영복 차림으로 물놀이와 선텐을 하며 가을 폭염을 식히고 있다. 송봉근 기자

이는 해운대 해수욕장의 평균 수온이 27.9도에 달하며 폐장(8월 31일) 이후에도 해수욕장에 몸을 담그는 입욕객이 많던 상황에서 일어난 사고였다. ‘해수욕장 이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전국 해수욕장은 개장 기간과 무관하게 365일 입수가 가능하다. 하지만 망루에 민간 수상구조대원을 집중적으로 배치하는 등 지자체가 해수욕장 안전관리에 집중하는 건 정식 개장 기간이다.

해운대구 관계자는 “올해 여름도 무더위가 길게 이어질 거라는 전망이 많다”며 “정식 개장 기간을 늘려 9월 이후 해수욕장을 찾는 입욕객 안전 등 관리에 더 주의를 기울이겠다는 것”이라고 개장 연장 배경을 설명했다.



예산 늘린 해운대, 구조대원 모시기 안간힘

해운대ㆍ송정해수욕장 기간 연장에 따라 올해 해운대구가 해수욕장 운영에 들이는 예산은 64억8799만원(지난해 50억900만원)으로 늘었다. 두 곳 해수욕장에 배치되는 500여명의 민간 수상구조대원 및 환경관리원 인건비가 증액 예산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부산 해운대해수욕장에서 해운대구청 민간수상구조대원들이 구조훈련을 하고 있다. 올해 해운대해수욕장 개장 기간이 연장되며 해운대구는 구조대원 채용에도 일찌감치 공을 들이고 있다. 송봉근 기자
올해 해운대구는 특히 해운대해수욕장에 배치할 민간 수상구조대원 70명을 모집하는 데 힘쓰고 있다. 이런 구조대원은 구조 자격증을 딴 체육학과 대학생들이 주로 지원하는데, 9월부터는 대학생 개학 기간과 겹쳐 충원이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 해운대구는 체육학과가 있는 대학에 지난달 말 이미 채용 관련 공문을 보냈다. 기존에 구조대원으로 다년간 활동한 구조대원 등과 연락해 9월 개장 기간 인력 공백이 없도록 인원을 추천받고 있다고 한다.

개장 기간이 한 달 가까이 늘어나며 해운대해수욕장을 찾는 방문객이 늘어날지도 관심사다. 해운대구 관계자는 “휴가 기간이 여름 이외 계절로 분산되는 분위기여서 개장 연장으로 눈에 띄는 방문객 증가가 있을지는 불분명하다. 올해 연장에 따른 효과 등을 살펴 내년에도 연장 운영을 할지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해운대구 집계에 따르면 개장 기간 해운대ㆍ송정해수욕장 방문객은 2022년 1078만명, 2023년 1026만명, 지난해엔 1132만명을 기록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021 [속보] 권성동 "韓대행, 경선 출마 안해…출마설 언급, 도움 안돼" 랭크뉴스 2025.04.15
44020 [단독] 제주서 이륙하려던 항공기서 승객이 비상구 열어 회항 랭크뉴스 2025.04.15
44019 “10년 경력 단절이 연기의 힘”… 마약 두목 된 ‘폭싹’ 제니 엄마 랭크뉴스 2025.04.15
44018 트럼프 자동차 관세 일시 유예 시사… "미국서 만들려면 시간 필요" 랭크뉴스 2025.04.15
44017 권성동 “한덕수, 국민의힘 대선 경선 출마 안 한다…출마설 언급 그만” 랭크뉴스 2025.04.15
44016 권성동 “韓대행, 경선 출마 안해" 랭크뉴스 2025.04.15
44015 최상목 "당초 발표보다 2조 늘어난 12조 원 필수추경안 마련" 랭크뉴스 2025.04.15
44014 권성동 "韓대행, 경선 출마 않는다…출마설 언급, 도움 안 돼" 랭크뉴스 2025.04.15
44013 “치킨 55만 원·믹스 만두”…‘바가지’에 외국인도 화났다 [잇슈 키워드] 랭크뉴스 2025.04.15
44012 최상목 “추경 12조 원대…산불·통상·소상공인 집중” 랭크뉴스 2025.04.15
44011 "얼마나 급하다고‥" 톨게이트서 추월 랭크뉴스 2025.04.15
44010 한날 한 손님 태운 부부 택시기사의 직감…보이스피싱범 잡았다 랭크뉴스 2025.04.15
44009 정부 추경안 10조→12조대 증액…최상목 "초당적 처리해달라"(종합) 랭크뉴스 2025.04.15
44008 한화금융 ‘김동원 사업’ 난기류…승계 기반 다지다 부진 키웠나 랭크뉴스 2025.04.15
44007 "이완규 지명, 윤석열 입김 강하게 의심" [모닝콜] 랭크뉴스 2025.04.15
44006 '경선' 발 뺀 한덕수‥'반탄' 일색 국민의힘 랭크뉴스 2025.04.15
44005 트럼프, 자동차 부품 관세 유예 시사…“회사들 시간 필요” 랭크뉴스 2025.04.15
44004 유승민 14→3%…'역선택 방지룰' 적용하니 지지율 요동쳤다 랭크뉴스 2025.04.15
44003 트럼프 또 오락가락…"안 봐준다"더니 하루 만에 "車업계 돕겠다" 랭크뉴스 2025.04.15
44002 국민의힘 해산은 왜 논의하지 않는가 [왜냐면] 랭크뉴스 2025.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