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전 대표, 경선 체제 본격 가동
3김도 존재감 드러내는 행보
李 1강 국면, 흥행 저조할 우려
3김도 존재감 드러내는 행보
李 1강 국면, 흥행 저조할 우려
더불어민주당 소속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13일 세종시청에서 대선 출마 선언을 하고 있다. 이병주 기자
6·3 대선을 위한 더불어민주당 경선이 ‘1강’ 이재명 전 대표와 이에 도전하는 ‘3김’(김경수·김동연·김두관)의 구도로 치러질 것으로 보인다. 이 전 대표를 정점으로 한 현 민주당 주류와 비주류 연합군의 대결이기도 하다. 이 전 대표가 대권 도전 선언과 함께 캠프 진용을 공개하며 발 빠르게 경선 체제로 들어간 가운데 3김도 차례로 출마 선언과 메시지를 내며 경쟁을 벌일 준비를 하고 있다.
민주당은 14일부터 대선 경선 후보 등록을 시작한다. 13일까지 경선 출마를 공식화한 주자는 김두관 전 의원과 이 전 대표, 김동연 경기지사, 김경수 전 경남지사 등 4명이다. 당내에서는 더 이상 출마 선언은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경선 시작도 하기 전에 이 전 대표의 독주체제가 굳어지면서 경선 흥행 실패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이 전 대표 측은 경선 과정에서 당내 통합을 강조하는 동시에 본선을 대비해 ‘비호감 이미지’를 불식시키는 데도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김경수 전 지사는 이날 세종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행정수도를 세종시로 완전히 이전하겠다. 대통령실도 세종시로 옮겨와 새로운 지방시대를 열겠다”며 대선 출마를 선언했다. 친노(친노무현)·친문(친문재인)계 적자로 불리는 김 전 지사가 지방분권과 균형발전이라는 ‘노무현 정신’을 전면에 내세운 것으로 풀이된다.
김 전 지사는 “내란의 상징인 용산을 더 이상 대통령실로 사용할 수 없다”며 “대통령이 반드시 서울에 있어야 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그는 ‘권역별 5대 메가시티 자치정부’도 공약으로 제시했다. 5대 자치정부에 연간 30조원 이상 자율예산을 지원하는 등 ‘연방제 수준의 지방자치’로 가야 한다는 주장이다.
김동연 경기지사가 서울 여의도 캠프 사무실 행사에 참석해 발언하는 모습. 연합뉴스
김동연 경기지사는 이날 서울 여의도에 마련한 ‘유쾌한 캠프’ 사무실 개소식을 열었다. 김 지사는 기자들과의 차담에서 “우리가 새로운 대한민국으로 가느냐 못 가느냐, 과거로 돌아가느냐 미래로 뛰느냐, 제7공화국의 문을 활짝 여느냐의 기로에 서 있다”며 “새 정부는 새로운 대한민국을 만들어가는 폭넓고 정권교체 이상의 교체를 하는 연대가 함께 작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김 지사는 개헌 문제를 두고 이 전 대표와 각을 세웠다. 그는 이 전 대표의 ‘개헌보다 내란 종식이 우선’이라는 입장에 대해 “개헌을 내란 종식과 같은 프레임으로 덮으려는 시도”라며 “결국 개헌에 대한 진정한 의지가 부족하다는 방증일 수 있어 유감스럽다”고 말했다.
부산의 유일한 현역 의원인 전재수 의원(부산 북구갑)은 대선 불출마를 선언했다. 전 의원은 페이스북을 통해 “민주당의 집권을 위해 무엇을 할 것인지 깊이 숙고했다”며 “짧은 대선 국면에서 험지 부산에서부터 정권교체와 국민 통합을 향한 시민의 열망을 하나로 모아내는 데 저의 역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김부겸 전 국무총리, 박용진 전 의원 등도 불출마를 선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