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아파트에 사는 최초의 전직 대통령. 윤석열 전 대통령이 11일부터 얻게 된 타이틀이다. 역대 대통령들이 퇴임 후 새로 짓거나 재건축한 단독 주택으로 이사한 것과 달리, 파면돼 예정되지 않은 시기에 대통령 관저를 떠나면서 생긴 일이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서울 용산구 한남동의 대통령 관저를 떠나는 11일 사저인 서울 서초구 아크로비스타의 1층에 ″대통령 내외분 수고하셨습니다″란 동대표 일동 명의의 현수막이 붙어있다.
윤 전 대통령은 지난 4일 파면된 뒤 일주일 만인 11일 오후 5시 서울 한남동 관저에서 나와 서초동 주상복합아파트 아크로비스타로 이사했다. 당초 윤 전 대통령은 퇴임 후 거주할 사저 부지를 수도권에서 물색 중이었다. 2025년도 예산안 설명자료엔 올해부터 3년 간 사저 옆 경호시설 신축에 140억원 상당의 예산이 소요된다고 보고하기도 했다.

그러나 임기 3년 차에 파면되면서 그는 사저를 미처 못 지어 예전에 살던 아파트로 돌아가게 됐다. 윤 전 대통령과 가까운 국민의힘 인사는 “당초 주민 불편과 경호 문제 때문에 다른 곳으로 이사하는 방안을 검토했지만, 장소가 마땅치 않아 아크로비스타에 계속 거주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대통령경호법에 따라 40여명의 경호팀이 사저 인근에서 전담 경호를 할 예정이다. 아크로비스타에 거주 중인 정치권 관계자는 “윤 전 대통령이 취임 후 6개월 간 여기 살 때도 엘리베이터 사용을 제한하는 등 불편이 커서 아예 잠시 이사를 한 주민들도 있었다”며 “앞으로도 집회나 윤 전 대통령 부부 외출 때마다 주민들이 불편을 겪을 텐데, 이젠 그때처럼 불편을 그냥 감수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근혜 전 대통령도 임기 4년 차 파면된 뒤 4년 9개월의 구속수감 기간을 거치며 무주택자가 됐었다. 재임 중 마련한 서울 강남구 삼성동 사저는 변호사비 마련 등을 위해 파면 직후 팔았고, 이후 거처로 정한 서초구 내곡동 사저도 벌금과 추징금을 미납해 2021년 법원 경매에 부쳐져 매각됐다. 박 전 대통령은 2021년 말 사면·복권된 후에야 대구 달성군 유가읍에 있는 한 전원주택을 25억원 상당에 매입했고, 이듬해 3월 이사했다.
문재인 전 대통령이 2022년 8월 29일 오후 경남 양산시 하북면 평산마을 사저 대문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 등 당시 신임 지도부를 맞이하며 미소를 짓고 있다. 뉴시스
두 사람 외에 임기를 마치고 퇴임한 역대 대통령들은 사저를 짓는 과정에서 자주 논란에 휩싸였다. 문재인 전 대통령은 임기 3년 차에 경남 양산 평산마을 사저 부지를 매입한 뒤 이듬해 부지 지목을 ‘전(田)’에서 ‘대(垈)’로 변경해 야당의 공격을 받았다. 당시 야당이던 국민의힘이 “차익을 노린 것”이란 의혹을 제기하자, 문 전 대통령이 직접 페이스북을 통해 “대통령 돈으로 땅을 사서 건축하지만, 경호 시설과 결합되기 때문에 대통령은 살기만 할 뿐 처분할 수도 없는 땅”이라며 “좀스럽고 민망한 일”이라고 반박해 화제가 됐다. 문 전 대통령 퇴임 후엔 평산마을 사저 주변에서 일부 유튜버가 욕설방송을 하기도 했다.

역대 대통령 중 최초로 서울이 아닌 지방에 사저를 마련한 노무현 전 대통령은 재임 중 경남 김해 봉하마을 사저부지 매입 과정에서 이른바 ‘아방궁’ 논란에 휩싸였다. 당시 야당이던 한나라당(국민의힘의 전신)은 노 전 대통령의 사저부지 매입 등에 든 12억원 상당의 비용을 꼬집어 “지하에 골프연습장까지 만든 아방궁”이라고 공격했다.
퇴임 6개월을 맞은 노무현 전 대통령이 26일 김해시 진영읍 봉하마을에서 자전거를 타고 볼일을 본 뒤 사저로 돌아오고 있다.
이후 이명박 전 대통령이 재임 중 내곡동에 사저 부지를 매입했다가 홍역을 치르면서 여야 입장이 뒤바뀌었다. 당시 이 전 대통령 아들 이시형씨와 대통령경호처가 함께 부지 매입 대금을 치렀는데, 필지 가격 차이 등을 놓고 야당은 “세금으로 개인의 비용을 대신 부담한 것”이라고 공격했다. 당시 야당이 발의한 특검법으로 관련 의혹에 대한 수사가 시작되면서 사저 건립 계획은 백지화했다. 이후 이 전 대통령은 기존 논현동 자택을 재건축해 사저로 삼았고, 현재까지 거주 중이다.

김대중 전 대통령의 동교동 사저는 지난해 김 전 대통령의 3남인 김홍걸 전 의원이 상속세 부담으로 민간사업가에 판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며 논란이 됐다. 이후 김 전 의원이 매입인과 합의해 사저를 ‘김대중ㆍ이희호 기념관’으로 재단장할 방침을 밝히면서 논란이 일단락됐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323 김경수, 13일 세종서 대선 출마 선언···“지방분권 상징적 장소” 랭크뉴스 2025.04.12
47322 광명 신안산선 공사장 붕괴현장 밤샘 수색… 1명 구조·1명 실종 랭크뉴스 2025.04.12
47321 신안산선 붕괴 사고 고립자 1명 발견…“외상없고 의식 명료한 상태” 랭크뉴스 2025.04.12
47320 해외까지 접수한 '신라면' 어떻게 만들어질까…농심 구미공장 가보니[르포] 랭크뉴스 2025.04.12
47319 [르포] ‘셧다운’ 현대제철 인천 공장… 협력사 “계약 안될까 걱정” 랭크뉴스 2025.04.12
47318 광명 신안산선 붕괴 현장 밤샘 수색‥1명 구조 랭크뉴스 2025.04.12
47317 신안산선 붕괴 사고, 고립자 1명 발견…“의식 명료한 상태” 랭크뉴스 2025.04.12
47316 금값 랠리 지속…달러화 약세에 온스당 첫 3천200달러대로 랭크뉴스 2025.04.12
47315 지금이야! 통통 살오른 키조개, 아삭아삭 밥도둑 죽순 맛볼 시간 랭크뉴스 2025.04.12
47314 '애·테·월' 3대 인질 잡았다, 트럼프 뭘해도 안 굽히는 中 랭크뉴스 2025.04.12
47313 “백종원의 ‘농약 분무기 소스 살포’도 재조사해야” 요구 빗발 랭크뉴스 2025.04.12
47312 [속보]신안산선 붕괴 고립 노동자 1명 13시간만에 구조…1명은 실종 상태 랭크뉴스 2025.04.12
47311 "여행이 곧 기부입니다"…'괴물산불' 할퀴고 간 안동의 호소 랭크뉴스 2025.04.12
47310 90일내 70개국 협상하는 美, FTA보다 간소한 무역합의 추진할듯 랭크뉴스 2025.04.12
47309 광명 신안산선 공사장 붕괴 현장서 고립된 1명 구조…의식 명료 랭크뉴스 2025.04.12
47308 어머니 유품서 나온 '99년' 연체된 책…도서관에 반납했더니 생긴 일 랭크뉴스 2025.04.12
47307 4월 중순 장봉도의 늦벚꽃길…한 박자 느리니, 더 끌린다 랭크뉴스 2025.04.12
47306 “개는 안 돼요” 산불 나도 ‘노랑이’는 갈 곳이 없었다 [개st하우스] 랭크뉴스 2025.04.12
47305 광명 신안산선 공사장 붕괴로 고립된 작업자 1명 구조 랭크뉴스 2025.04.12
47304 전국 흐리고 강풍 동반한 비…낮 최고 16∼24도 랭크뉴스 2025.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