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올해 고3 학생, ‘의대 증원 0명’ 직격탄
고2는 모집인원 자체 알 수 없는 상태
고1은 수능·내신 체계 대폭 개편 앞둬
게티이미지뱅크

의대생 대다수가 휴학 투쟁을 중단하고 학교로 돌아왔지만 의대 교육과정은 여전히 정상 가동되지 못하고 있다. 일부 학생은 ‘등록 후 투쟁’을 고집하며 수업을 거부하고, 수업을 듣는 학생들도 주변 눈치를 살피며 살얼음판 걷듯 조심스럽게 학업을 이어가는 실정이다. 정부는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3058명으로 동결할 방침이다. 3058명 동결 발표가 있어야 수업 참여 학생을 늘릴 수 있다는 판단 때문이었다.

의대 정상화의 첫발을 뗀 점은 다행이나 뒷맛은 개운치 않다는 평가가 많다. 의대 모집인원이 고무줄처럼 늘었다가 줄었고, 2027학년도 이후는 예측 자체가 어려워졌다. 최상위권이 지원하는 의대 입시가 오락가락하면 입시 현장에서는 연쇄반응이 나타난다. n수는 물론이고 대학을 다니며 대입을 재도전하는 반수 시장도 들썩인다. 의대를 정상화하기 위해 현재 고교를 다니는 학생들이 희생됐다는 점은 부인하기 어려워 보인다.

들쑥날쑥 의대 모집인원


2026학년도 대입을 치르는 올해 고3 수험생들은 의대 ‘증원 0’명의 직격탄을 맞게 됐다. 올해 고3은 지난해 5월 2일 발표된 ‘2026학년도 대입전형시행계획’을 토대로 준비하고 있었다. 당초 정부 예고대로 2000명 증원을 통해 39개 의대에서 4978명, 차의과대 80명을 합쳐 5058명을 뽑는다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 정부가 의대 학사 파행이란 급한 불을 끄기 위해 고3 수험생과 학부모 입장은 전혀 고려하지 않은 것이다.

올해 고3 수험생 입장에서 악재는 또 있다. 종로학원이 교육통계서비스 공시자료를 분석한 결과, ‘황금돼지띠’(2007년생) 영향으로 올해 고3은 지난해보다 4만7733명 증가한 45만3812명이다. 의대 모집인원은 크게 감소했는데 고3 수험생은 12%가량 증가했다. 의대 합격 가능 점수와 경쟁률이 뛸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다만 올해 고3이 불리하다고 단정하기 이르다. 입시 전문가들은 의대 합격 기대심리도 중요 변수라고 말한다. 의대 모집인원 축소와 고3 학생수 증가로 의대 진학 확률이 크게 줄었다는 분위기가 형성되면 예년보다 실력 있는 n수생과 반수생(대학 다니며 대입 재도전) 유입이 크게 줄어들 수 있다. 의대 입시는 전체 수험생 규모보다 실질적인 최상위권 규모가 좌우하는 경향이 커 예단은 금물이란 얘기다.

문제는 불확실성이다. 의대 정원이 출렁이면서 대입 전반에서 불확실성이 커졌다는 점은 확실해 보인다. 의대 입시는 서울 상위권 대학, 특히 이공계 입시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친다. 수시 6회, 정시 3회 지원 기회가 주어지기 때문에 합격자들은 연쇄 이동한다. 상위권 대학을 중심으로 이과에서 문과로 교차지원이 활발해지는 추세여서 문과도 영향권에 들어간다. 불확실성 증대는 사교육 시장에는 큰 호재다.

2027학년도 이후 ‘예측 불가’

현재 고2가 치르는 2027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은 더욱 불확실하다. 의사 단체와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의료인력수급추계위’(추계위)가 심의하고, 정부 보건의료정책심의위(보정심)에서 결정하는 방식이 될 가능성이 높다. 추계위에서 과학적·객관적으로 향후 필요한 의사 수를 계산해 의대 정원을 정하면, 보정심이 추인하는 방식이다. 의대 정원이 현 정원인 5058명에서 유지될 수도 줄어들 수도 있다. 의사 단체들은 2024학년도 이전 정원인 3058명을 유지하거나 오히려 축소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노령화와 필수의료 인력 확충, 의과학자 양성, 의료 관광 활성화 등을 고려하면 5058명도 부족하다는 정부와 간극이 상당하다.

게다가 2027·2028학년도 수험생인 현재 고2와 고1은 의대 정원의 불확실성과 대입 제도의 변화를 동시에 겪는 세대다. 2028학년도는 대입 전형요소의 양대 축인 수능과 고교 내신이 크게 바뀐다. 수능은 선택과목이 완전히 사라져 문과와 이과가 똑같은 시험을 치르게 된다. 이과는 이과용 수학, 문과는 문과용 수학을 치르고 이과는 과학탐구, 문과는 사회탐구를 주로 선택하는 기존 방식에서 완전히 달라진다.

고교 내신 성적은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라 기존 9단계에서 5단계로 축소된다. 입시 전문가들은 내신 성적의 대입 비중이 줄어들고 수능 비중은 커질 가능성을 크게 본다. 다만 대입 결과는 실제 대학들이 수능과 고교 내신 등 여러 전형 요소를 어떻게 조합할지가 더 중요하기 때문에 단정하기 어렵다는 분석도 있다. 입시 전문가들도 “변화의 폭이 커 현재 시점에서 예상하기 어렵다”는 반응이 많다.

현재 고1은 새 제도에 적응해야 하고 고2는 재수가 어려워진다. 특히 고2는 9등급 내신 체계를 적용받았기 때문에 새로운 5등급 체계로 변환해 재수에 나서야 하고, 새 수능 체계에 적응해야 한다. 대입에서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해도 재수를 하기 상당한 부담이 따를 것으로 보인다.

교육부는 의대 모집인원 변동으로 인한 입시 현장의 혼란에는 입을 닫고 있다. 의대 교육 정상화를 최우선 정책 목표로 두고 수험생 혼란은 차후에 들여다보겠다는 입장이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의대 입시는 상위권뿐 아니라 중상위권 입시에도 영향을 끼치는데 3년 연속으로 모집인원 변동이 크다”며 “2025학년도 입시 결과라도 상세하게 공개해줄 필요가 있다. 2026학년도 경우 지역인재 선발 비율, 수시와 정시 비율 등 필수 정보라도 하루빨리 발표해야 한다”고 말했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842 ‘껌값’도 이제는 만만찮네…편의점 강타한 물가 고공행진 랭크뉴스 2025.04.13
47841 ‘2025판 스무트-홀리법’…트럼프는 왜 관세에 빠졌나 [트럼프 쇼크] 랭크뉴스 2025.04.13
47840 벚꽃 나들이 한창인데… 청계천서 ‘흉기 소지’ 중국인 검거 랭크뉴스 2025.04.13
47839 풀려난 명태균 “어떤 먹잇감 먼저 물고 뜯을까”···윤석열 부부 수사도 영향받나 랭크뉴스 2025.04.13
47838 최태원 “좋던 시절은 끝났다… 보호무역주의 수십년은 갈 것” 랭크뉴스 2025.04.13
47837 "기쁘다 탄핵 오셨네" 현수막 내 건 식당... 보수 커뮤니티 '별점 테러' 랭크뉴스 2025.04.13
47836 돌풍 동반 봄비에 '벚꽃 엔딩'…아침 날씨 '쌀쌀' 랭크뉴스 2025.04.13
47835 광명 ‘신안산선 붕괴 사고’ 현장 인근 초등학교 이틀간 휴교 랭크뉴스 2025.04.13
47834 전광훈 “윤석열 5년 뒤 대선 재출마한다고 했다더라” 랭크뉴스 2025.04.13
47833 부산 YK스틸 야적장 화재‥이틀째 진화 중 랭크뉴스 2025.04.13
47832 머스크, 예산삭감 난리치더니…바이든 때보다 돈 더 썼다 랭크뉴스 2025.04.13
47831 한덕수와 노상원, 닮은꼴의 ‘도착적 헌법파괴범’ [아침햇발] 랭크뉴스 2025.04.13
47830 "기쁘다 탄핵오셨네" 현수막 내 건 식당... 보수 커뮤니티 '별점 테러' 랭크뉴스 2025.04.13
47829 부산 ‘사상-하단선’ 공사현장 또 싱크홀…트럭 2대 빠진 적도 있었는데 재발방지 언제?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13
47828 강풍에 부러진 나뭇가지 전선 건드려…경기 의정부 4800가구 정전 랭크뉴스 2025.04.13
47827 윤상현, 조기대선 출마 결심‥"15일 출마 선언" 랭크뉴스 2025.04.13
47826 “지천에 고사리” 봄나물 꺾다가 길 잃고 숨지기까지 랭크뉴스 2025.04.13
47825 이준석 "단일화 없다... 보수 헤게모니 싸움 이기면 대선 승리" [인터뷰] 랭크뉴스 2025.04.13
47824 그가 없었다면 ‘김장하 열풍’도 없었다... "권력자 비리 파헤친 것보다 더 뿌듯해" 랭크뉴스 2025.04.13
47823 대낮 부산 금정구 빌라서 불…1명 추락사·20명 대피(종합) 랭크뉴스 2025.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