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명실상부 '대세 주자' 이재명
30%대 '지지율 벽' 넘어야
입법권+사법·행정권 장악?
'친중 프레임' 공세 넘어야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0일 영상 메시지를 통해 대선 출마의 각오와 의지를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지금은 이재명."


10일 세 번째 대권 도전에 나선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내세운 슬로건이다. '어대명(어차피 대통령은 이재명)'이라는 말이 나올 만큼, 굳건하게 지지율 1위를 달리고 있는 이 전 대표의 '대세론'을 한마디로 상징하는 표현이다. 그러나 '1등 주자'일수록 공격도, 검증도, 기대치도 강해질 수밖에 없다. 당장 이 전 대표에겐 ①여전히 30% 박스권을 벗어나지 못하는 지지율 한계 ②삼권 독주에 대한 견제심리 극복 ③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케미' 등 수권 능력을 입증해야 하는 과제가 주어졌다.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대표 직무대행이 10일 국회에서 이재명 전 대표의 대선 출마선언 영상을 지켜보고 있다. 고영권 기자


① 이 대표 '박스권 지지율' 뚫어낼까



이 전 대표에게 '지지층 외연 확대'는 오랜 숙제다. 이날 발표된 전국지표조사(NBS) 여론조사 결과 이 전 대표 지지율은 32%다.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직전 조사(33%)보다 1%포인트 하락했다. 윤 전 대통령 파면으로 인한 '반사 효과'를 누릴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지만, 반등은 없었다. '정권 교체' 여론이 48%에 달한 점을 감안하면 "이 대표가 정권교체 민심을 온전히 흡수하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 전 대표 측은 검찰의 표적 수사, 보수 진영의 집요한 네거티브 공세로 인해 '비호감 프레임' '사법 리스크 굴레'가 덧씌워졌다고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다만 지난해 총선 당시 비이재명계(비명계)가 줄줄이 공천에서 고배를 마시며 불거진 '비명횡사' 논란 등은 다양성을 포용하지 못하는 일극체제 리더십의 한계를 드러냈다는 평가도 나온다. 이 전 대표가 대선 과정에서 계파를 가리지 않는 인선 등 통합의 리더십을 발휘해 이 같은 반이재명 비토 여론을 극복할 수 있을지 관건이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한동훈 전 대표를 접견하며 발언하고 있다. 뉴시스


②'절대 권력 독주' 우려도 넘어야



'절대 권력' 독주에 대한 우려도 이 전 대표가 넘어서야 할 산이다. 민주당을 포함한 야권 의석수는 190석이다. 압도적 다수당으로 각종 법안, 예산안, 인사 동의안 처리권은 물론 신속처리안건(패스트트랙) 단독 처리권도 가졌다. 개헌(200석)만 빼면 모든 입법이 가능하다. 여기에 행정권까지 거머쥐면 대통령 재의요구권(거부권)을 무력화할 수 있다. '단독 국정운영'이 가능해지는 셈이다. 감사원장, 검찰총장, 경찰청장, 국정원장, 대법관, 헌법재판관 임명권 확보로 사법권에도 입김을 발휘할 수 있다.

이에 국민의힘은 '삼권 분립을 지켜달라'는 공세를 편다. "이 전 대표가 의회 권력을 넘어 국가권력을 모두 장악하면 대한민국은 어찌 되겠나"(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라며 '이재명 포비아'를 부추기는 식이다. 실제 국민의힘에선 이 전 대표가 집권하면 내란종식이라는 명분을 내세워 보수진영 대숙청에 나설 것이란 위기감이 상당하다. 문재인 정부 적폐청산 시즌2가 도래할 것이란 공포다. 이에 맞서 보수 진영에선 이 전 대표의 사법리스크를 임기 내내 물고 늘어지면서 국론 분열이 극대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때문에 이 전 대표가 '정치보복은 없다'고 선포하고 연합정부 구상 등을 선제적으로 밝혀 중도 보수층을 품고 갈 필요가 있다는 조언이 나온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8일(현지 시간) 백악관 이스트룸에서 석탄 산업 활성화 행정명령에 서명한 후 이를 들어 보이고 있다. AP 뉴시스


③ '트럼프 시대' 케미 형성도 관건



수권 능력도 검증 대상이다. 당장 보수 진영에선 '반미·친중' 프레임을 거세게 몰아붙일 수 있다. 이 전 대표가 윤석열 정부의 대중외교를 비판하며 "왜 중국에 집적거리냐. 그냥 셰셰(고맙습니다) 하면 된다"고 발언한 대목 등이 빌미가 됐다. 다만 이 전 대표는 이 같은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한미일 3국 협력"에 방점을 찍는 메시지를 거듭 발신하고 있다. 당장 이날 대선출마 영상에서도 한미동맹과 한미일 협력관계 중요성을 강조하며 "외교의 최우선 원칙은 대한민국 국익"이라고 역설했다. 중국 관련 메시지는 없었고, 남북관계도 거론하지 않았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479 젤렌스키 "우크라 참전 중국인 최소 수백 명"…연일 中참전설 제기 랭크뉴스 2025.04.12
47478 쉬지 않고 관세 때린 ‘최고령’ 트럼프, 건강 검진 결과는…13일 공개 랭크뉴스 2025.04.12
47477 강원 고성 DMZ 산불 재발화에 헬기 2대 투입…진화율 50% 랭크뉴스 2025.04.12
47476 지역주택조합원 자격 취득 못한 자에게 반환하는 부당이득 범위[조주영의 법으로 읽는 부동산] 랭크뉴스 2025.04.12
47475 이재명 후원회장에 김송희씨…계엄에 저항한 5·18 유가족 랭크뉴스 2025.04.12
47474 피고인석 앉은 尹 모습 촬영 안 돼…박근혜·이명박 땐 허가 랭크뉴스 2025.04.12
47473 美외교지 "이재명, '실질적 해결책' 제시해 중도층 설득해야" 랭크뉴스 2025.04.12
47472 '내란죄 피고인 윤석열' 촬영 안 된다...재판부 불허 랭크뉴스 2025.04.12
47471 오세훈 불출마 누가 반사이익? ..."탄핵 찬성 후보" vs "이재명 이길 후보" 랭크뉴스 2025.04.12
47470 이정현, 출마 철회…"능력 부족 느껴, 기꺼이 캐디백 메겠다" 랭크뉴스 2025.04.12
47469 테슬라는 트럼프 관세 '무풍지대'?…중국·유럽서 불똥튀나 [김기혁의 테슬라월드] 랭크뉴스 2025.04.12
47468 고작 연필 사러 7배 웃돈 줬다, 어른이들의 은밀한 취미 [비크닉] 랭크뉴스 2025.04.12
47467 오세훈 불출마에 국힘 경선구도 출렁…김문수·나경원은 '동행' 랭크뉴스 2025.04.12
47466 제주 교사 “4·3 유전자 흘러” 발언…학교 측 “깊이 사과” 랭크뉴스 2025.04.12
47465 애슐리도 뉴발란스도 ‘대박’...이랜드, 구조조정 10년 만에 재비상 랭크뉴스 2025.04.12
47464 “진동벨 생길 때 알아봄”…한국 스타벅스, 키오스크 도입 [잇슈#태그] 랭크뉴스 2025.04.12
47463 이정현 전 새누리당 대표, 대선 출마 철회 랭크뉴스 2025.04.12
47462 명태균 “박형준 만난 적도 본적도 없어”… 강혜경 주장 반박 랭크뉴스 2025.04.12
47461 오세훈 시장, 대선 불출마‥"보수 바뀌어야" 랭크뉴스 2025.04.12
47460 오세훈, 대선 불출마 선언…"백의종군으로 마중물 역할" 랭크뉴스 2025.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