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금 선물 동향/사진=인베스팅닷컴


국제 금값이 3월 18일(현지 시간) 다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날 새벽 가자지구 휴전 두 달 만에 이스라엘의 대규모 공습으로고조된 중동 지역 긴장이 안전자산인 금 수요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된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이날 선물 금 가격이 온스당 3035.10달러로 전장보다 1.2% 급등해 최고치를 기록했다. 금 현물 가격(종가 기준) 역시 3월 14일 온스당 3000달러를 넘어선데 이어 이날 3038.26달러까지 오르며 종전 최고치를 다시 넘어섰다. UBS 자산관리자들은 2024년부터 폭증한 금 매수는 지난 2년 동안 1000톤 이상으로 1960년대 이후 최고 수준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지정학적 위기라는 이유만으로 금값 상승을 설명하긴 어렵다. 연초만 하더라도 이스라엘-하마스 휴전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종전 협상 진행으로 글로벌 지정학 리스크는 감소했지만 그럼에도 당시 금 가격은 추가로 10% 이상 올랐다.

전문가들은 최근의 금 가격 상승은 트럼프발 상호관세, 미국 중앙은행(Fed)의 금리인하 기대가 이끌고 있다고 본다. 현재 세계 각국 중앙은행들이 1976년 이후 가장 빠른 속도로 금을 매입하고 있다. 중앙은행들은 달러 기반 자산에서 벗어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세계금협회(WGC)는 “2022년 3분기에만 각국 중앙은행은 1년 전보다 4배 급증한 약 400톤 규모의 금을 매입했다”며 특히 BRICS(브라질·러시아·인도·중국·남아프리카공화국) 같은 신흥국의 중앙은행들이 주도했음을 강조했다.

각국 중앙은행의 이 같은 움직임은 유럽과 북미의 동맹국들이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해 러시아에 가한 SWIFT(외국환거래의 데이터 통신망을 구축하기 위해 설립된 국제협회) 제재가 원인으로 보인다. 러시아는 외환보유액이 동결되어 이의 상당 부분을 금으로 전환했고 미국이 외환보유액을 동결할 수도 있겠다는 우려로 다른 국가들도 달러 기반 자산을 줄이려고 하기 때문이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협박으로 각국의 금이 미국으로 모이고 있다. 트럼프발 관세가 금에도 적용될 것을 대비한 것이다. 미국 내 실물 기업 또는 주요 펀드 회사들이 해외 보세창고에 보관된 금을 미국으로 조기 이송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런던 LBMA 창고를 기반으로 한 금 펀드들(GLD 등)이 있다. LBMA 금 재고는 이들의 이송 수요로 인해 급감했다. 다른 국가에 보관된 금 역시 마찬가지다. 1월 말 인도 보세창고에 보관된 금도 미국으로 옮겨졌다. 금에 관세를 부과하기 전 미국으로 옮겨 미국계 은행들이 현물 프리미엄 상승과 차익거래 기회를 포착해 가격 상승을 주도한 것이다.

올해 금리를 낮추려는 Fed의 통화정책 완화 기조도 영향을 끼쳤다. 수익률이 없는 자산인 금은 대체 자산의 금리가 하락할 때 가격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 금리가 떨어지면 이자수익이 줄어들고 달러 가치가 하락하면 달러 보유 유인이 줄어든다. 차라리 금리가 떨어지기 전 그만큼의 금을 보유하는 것이 더 이득인 셈이다.

그러나 실제 관세 부과 이후에는 지금의 높은 금값이 유지되지 않을 것이라는 예측이 대부분이다. 단기적으로 차익을 실현하려는 투자자들의 영향이 줄어들 것이라는 예상이다.

프랑스 최대 은행그룹 BNP파리바는 2분기에 금 가격이 3100달러를 돌파한 후 하반기에 하락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프랑스 은행의 수석 상품 전략가인 데이비드 윌슨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위협으로 미국 내 인플레이션이 재발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졌고 성장 기대감도 둔화되어 투자자들이 안전자산으로 몰리고 있다”며 “무역 긴장이 지속적으로 고조되지 않는다면 금 가격은 하반기에 더 이상 상승세를 유지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측했다.

한경비즈니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216 부산 수영장서 비명 터졌다…1명 사망·1명 부상 '감전 추정 사고' 랭크뉴스 2025.04.17
45215 ‘윤어게인 신당’ 창당 4시간만에 취소…변호인단 “국힘 압박 빗발쳐” 랭크뉴스 2025.04.17
45214 윤석열 변호인단, ‘윤 AGAIN’ 신당 창당한다 랭크뉴스 2025.04.17
45213 [단독] 기사 '좌표' 찍고 "댓글 바꿔라" 지령‥극우 유튜버 '여론 왜곡' 랭크뉴스 2025.04.17
45212 '피고인 윤석열' 이제 화면으로‥지하 출입은? 랭크뉴스 2025.04.17
45211 문형배 “비상계엄은 관용과 자제 넘은 것, 통합 메시지 담으려 시간 걸려” 랭크뉴스 2025.04.17
45210 법원 "가세연, '쯔양 사생활' 영상 삭제해야" 가처분 결정(종합) 랭크뉴스 2025.04.17
45209 한화에어로 유상증자 또 퇴짜… 금감원 “설명 불충분” 랭크뉴스 2025.04.17
45208 국회, 민주당 주도 ‘반도체특별법’ 등 3개 법안 신속처리안건 지정 랭크뉴스 2025.04.17
45207 한동훈만 안 만나는 오세훈···왜? 랭크뉴스 2025.04.17
45206 "'충암의 아들' 尹, 학교 역사에 남을 것"... 충암고 총동문회 게시글 논란 랭크뉴스 2025.04.17
45205 “李, AI기본사회는 모르는 소리… 혁신은 시장에 맡겨야” 랭크뉴스 2025.04.17
45204 이재명, 충청 경선 앞두고 “국회 세종의사당·대통령 세종 집무실 건립” 랭크뉴스 2025.04.17
45203 질문하는 기자 ‘폭행’한 권성동…언론단체, 사과·사퇴 촉구 랭크뉴스 2025.04.17
45202 “가려워서 한숨도 못 잤다”… 삼육대 남자 기숙사, ‘옴’ 환자에 발칵 랭크뉴스 2025.04.17
45201 국토부, “‘신안산선 붕괴사고’ 건설사고조사위 활동 시작” 랭크뉴스 2025.04.17
45200 이재명 "세종에 국회·대통령 집무실"‥행정수도 대선 쟁점 급부상 랭크뉴스 2025.04.17
45199 윤석열·김건희, 관저서 7일간 물 228t 썼다…“수도요금 미납” 랭크뉴스 2025.04.17
45198 현대차 임원들 뉴욕 집결… 관세전쟁 속 美 시장 정면 돌파 모색 랭크뉴스 2025.04.17
45197 문형배 "비상계엄은 관용·자제 넘었다‥통합 위해 선고에 시간 걸려" 랭크뉴스 2025.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