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율 10%로 한발 물러서
국채 급락세에 금융위기론 고개든 영향
테슬라 22%, 엔비디아 18% 등 급등
일각선 “미국 주식이 개도국 시장같다” 비
국채 급락세에 금융위기론 고개든 영향
테슬라 22%, 엔비디아 18% 등 급등
일각선 “미국 주식이 개도국 시장같다” 비
9일(현지 시간) 미국 뉴욕 뉴욕증권거래소에서 한 트레이더가 업무를 보고 있다. AFP연합뉴스
[서울경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각 국에 부과했던 상호관세를 90일간 10%로 낮춰서 적용한다고 발표하면서 뉴욕증시는 폭등했다.
9일(현지 시간) 뉴욕 증시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2962.86포인트(+7.87%) 오른 4만608.45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은 474.13포인트(+9.52%) 뛴 5456.90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1857.068포인트(+12.16%) 상승한 1만7124.97에 장을 마감했다. CNBC에 따르면 S&P500의 이날 상승폭은 2008년 이후 최대, 2차 세계 대전 이후 세 번째로 컸다. 다우존스는 2020년 3월 이후, 나스닥은 2001년 1월 이후 가장 큰 폭의 상승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트루스소셜 계정에 “90일 간의 관세 유예(Pause) 조치와 함께 그 기간 동안 상당히 낮아진 상호관세 10% 부과를 즉시 시행하도록 승인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한국 25%를 비롯해 EU 20, 일본 24%, 베트남 46% 등 각국에 발효됐던 관세는 앞으로 90일간 10%로 낮아진다.
트럼프 대통령은 동시에 “중국이 세계 시장에 대해 보여준 무례함을 고려해 미국은 중국에 부과되는 관세를 125%로 올려 즉시 발효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주요 국가에 대한 관세가 한시적이지만 낮아지면서 급등주가 속출했다. 테슬라는 22.69% 올랐으며 델타항공은 23.38%, 로빈후드는 23.53% 올랐다. 엔비디아와 AMD는 각각 18.72%, 23.82% 상승했다. 그동안 관세로 인해 아이폰 생산과 판매에 모두 타격을 입을 것이란 전망에 4거래일 연속 학락했던 애플도 이날 15.33%로 반등에 성공했다.
━
국채 발작 가능성에 노선 조정한 듯…트럼프 “국채 시장 보고있다, 매우 까다롭다”
월가는 이날 트럼프 대통령이 글로벌 무역 전쟁의 강도를 낮추고 타겟을 중국으로 돌린 주요 이유가 최근 이어진 국채 시장의 불안감 때문일 것으로 풀이하고 있다. WSJ에 따르면 30년물 수익률은 지난 3 거래일간 약 50bp(1bp=0.01%포인트) 급등했으며 이는 1982년 이후 가장 빠른 증가 속도다. 국채 금리는 가격과 반대로 움직이며 금리 상승폭이 컸다는 것은 국채 매도세가 그만큼 컸다는 의미다. 미국 국채는 관세 하향 조정에도 불구하고 이날 매도세가 계속되면서 30년물은 12bp(1bp=0.01%포인트), 10년물은 5bp 상승하기도 했다.
국채 가격이 급락할 경우 금융 시장에서 국채를 담보로 자금을 유통한 거래의 청산 압력이 커진다. 담보 가치가 하락하기 때문이다. 이에 금융기관들이 빚을 상환할 현금을 마련하기 위해 국채를 내던져야 해 또다시 국채 가격이 떨어지는 악순환이 올 수 있다. 2022년 영국의 리즈 트러스 총리가 사임한 배경에도 이같은 국채 시장 불안이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에 이날 월가에서는 “연준이 긴급 개입을 해야 하는 것아니냐”는 문제제기가 나오기도 했다.
모하메드 엘-에리언 영국 퀸즈칼리지 총장은 관세 유예 발표 직후 “한 시간 전까지만 해도 미국 행정부가 관세 유예를 어떤 식으로든 결정하도록 설득할 방안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며 “오늘 우리는 엄청난 국채 가격 변동이 시장의 기능장애에 얼마나 가까운지에 대한 답을 얻었다”며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조정이 국채 시장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도 이날 관세 조정 후 질의응답에서 “채권 시장을 지켜보고 있다”며 “채권 시장은 정말 까다롭지만 지금은 정말 아름답다, 어젯밤 사람들이 좀 불안해하는 것을 봤다”며 금융시장 불안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는 점을 알렸다
이와 관련해 미국의 국채 시장 불안 해소를 위해 일본이 도와주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이날 10년 만기 국채 경매는 일반 투자자들의 참여가 호조를 보이면서 전날 3년 물 국채 경매 시장의 수요부진 우려를 털었다. 블룸버그 통신은 “중국이 보유한 미국 국채를 무기화할 것이란 소문이 무성했던 점을 고려하면 놀라운 일”이라며 “한 시장 참여자는 관세 협상의 일환으로 일본이 경매를 통해 채권을 매입할 가능성을 제기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관세 감면의 대가로 채권을 매입하는 것은 ‘마러라고 협정의 라이트 버전’과 같은 조치”라고 평가했다.
━
베선트 “10%가 관세 하한선”…지금보다 더 나아질 수 있나 의구심도
이날 관세 하향조정으로 모건스탠리는 침체 가능성을 기존 45%에서 65%로 높인 전망을 철회하기도 했다. 아폴로캐피털은 “경기 침체 걱정은 벗어났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다만 정책에 대한 의구심과 경제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은 여전하다는 목소리가 이어진다.. 이날 래리 서머스 전 재무장관은 조정된 새로운 관세를 기준으로 할 때 미국의 가구 당 비용 2000달러에 이른다고 분석하면서 “위험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했다”고 말했다. 전날 관세에 따른 가구당 소득 감소가 5000 달러로 추산한 것보다 감소했지만 여전히 일반 가계의 소비력이 감소하는 상황은 피할 수 없다는 지적이다. 월스트리트저널은 “한걸음 물러서 보면 트럼프 대통령은 대부분의 관세를 철폐하는 것이 아니라 일시 중단하고 있으며 중국 수입품에 대한 관세는 오히려 인상하고 있다”며 “경제 성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관세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은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정책에 대한 신뢰를 이미 잃었다는 지적도 나온다. 원조 채권왕으로 불리는 빌 그로스는 이날 “내 방어주 중심 포트폴리오는 오늘 플러스라서 시장에 불만은 없다”며 “그렇지만 묻고 싶다. 대통령이 전날 잠을 잘 잤는지 여부에 따라 어제 내린 정책을 뒤집을 수도 있는 그런 고변동성 미국 주식을 정말 갖고 싶겠나”라고 말했다.
블룸버그통신도 아르헨티나 S&P메르발 지수가 지난 4일 7% 하락한 후 이날 8% 상승하는 것과 비교하면서 미국의 주식 시장이 마치 정책 변동에 널뛰기하는 개발도상국 시장하고 닮아간다고 꼬집기도 했다. CFRA 리서치의 최고투자전략가 샘 스토벌은 “이날 조치로 인해 단기적인 반등은 가능하지만, 증시가 바닥을 쳤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며 “한 번 속는 건 속인 사람 탓이지만 다섯 번 속는 건 내 잘못”이라고 주의를 촉구했다.
현재 관세율이 가장 낮을 가능성도 남았다. 베선트 재무장관은 “이제 상한이 20%이며 임시로 설정된 하한선이 10%라는 점을 이해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는 90일 뒤 협상에 성공하더라도 10% 이하로 낮아지기 어려울 가능성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