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우 7.87%, SP 500 9.52% 동반 상승
테슬라 22.69% 폭등... 애플 15.33%↑
테슬라 22.69% 폭등... 애플 15.33%↑
9일 미국 뉴욕 증권거래소에서 트레이더들이 웃으며 시황을 지켜보고 있다. 뉴욕=A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9일(현지시간) 중국을 제외한 국가에 상호관세를 유예한다는 방침을 전격 발표하면서 미국 뉴욕증시 3대 지수가 폭등 마감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12.16% 급등해 2001년 1월 이후 13년 여만의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 테슬라 주가가 약 22% 급등하는 등 빅테크들도 지난 며칠간의 하락분을 하루 만에 거의 회복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7.87% 올랐다. 2020년 3월 이후 가장 큰 폭의 상승이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9.52% 상승했고, 나스닥도 12.16% 급등해 장을 마쳤다. SP 500 지수의 상승폭은 2008년 이후 17년 만에 최대치였다.
전날까지 4거래일 내리 하락했던 뉴욕증시가 이날 반등 드라마를 쓴 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유예 발표 때문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0시 한국 등에 발효된 상호관세를 90일 간 유예하고 10%의 기본 관세만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단 미국에 보복관세를 매긴 중국에 대해서는 관세율을 125%로 더 높였다. 결과적으로 대부분 국가가 당분간 상호관세 부담을 피하게 되면서, 상호관세가 불러올 물가 상승과 경기 침체 등을 우려해 온 투자자들은 안도했고 매수세로 돌아섰다.
이에 따라 주요 빅테크 주가도 모두 폭등했다. 전날까지 4거래일 연속 도합 23% 폭락했던 애플 주가는 15.33% 치솟았다. 1998년 1월 이후 최대 상승폭이라고 미국 경제매체 CNBC는 전했다. 주가 급등에 힘입어 애플은 전날 마이크로소프트(MS)에 내줬던 시가총액 1위 자리도 되찾았다.
전기차 업체 테슬라는 22.69% 상승해 주요 대형 기술주 가운데 상승폭이 가장 컸다. 엔비디아 주가는 18.72% 급등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