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 관세에 더해 50% 관세 추가하기로
게티이미지코리아
중국이 미국의 84% 상호관세에 대응해, 미국산 수입품에 부과하기로 했던 34% 관세에 50%의 관세를 추가하기로 했다. 제재 기업 추가 등 비관세 조처도 함께 내놓았다. 미국의 고율 관세 부과에 중국이 정면 대응을 선택하면서 미-중 무역전쟁은 확전 양상을 띠고 있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9일 중국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가 국무원 승인을 받아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추가 관세율을 34%에서 84%로 변경한다고 보도했다. 변경된 추가 관세율은 10일 낮 12시1분(한국시각 오후 1시1분)부터 적용된다. 중국은 미국의 34% 상호관세 부과에 반발하며 지난 4일 34%의 보복 관세를 매기겠다고 맞섰다. 이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보복 관세를 철회하지 않으면 중국산 제품에 50%의 관세를 더하겠다고 했고, 9일 84% 상호관세가 발효됐다. 이에 중국은 “끝까지 싸우겠다”며 추가적인 대응을 예고했었다. 국무원 관세세칙위는 관세율 변경 공고문에서 미국의 50% 관세 추가를 두고 “미국의 관세 인상은 잘못을 더 한 것으로, 중국의 정당한 권리를 심각하게 침해하고 규칙을 기반으로 하는 다자무역체제를 해치고 있다”고 밝혔다.
이날 중국 상무부는 제재 기업 명단도 추가했다. 실드에이아이(AI), 시에라네바다 등 미국 인공지능 기업 6곳을 신뢰할 수 없는 기업 목록에 추가했다. 이 기업들은 중국과 관련된 수출입이 금지되고, 중국 내에서 새로운 투자를 할 수 없게 된다.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이들 기업은 중국의 강력한 반대에도 대만 무기 판매에 참여하거나, 대만과 군사기술 협력을 진행해 중국의 주권, 안전, 발전 이익을 심각하게 손상시켰다”고 밝혔다. 또 12개 미국 기업에 군수용 및 민간용 등으로 쓰이는 이중용도 물품의 수출을 금지하는 조처를 내렸다.
트럼프 대통령 취임 뒤 추가된 20% 관세에 더해 모두 104%의 관세 폭탄을 맞게 된 중국은 주변국과의 결속에 나섰다. 9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2년 만에 열린 중앙주변공작(업무)회의 연설에서 “주변국과의 운명공동체를 구축하는 데 주력하자”고 강조했다고 보도했다. 회의에선 ‘전략적 상호 신뢰 강화’를 통한 산업·공급망 협력이 강조됐다. 미국이 동맹국, 적성국을 가리지 않고 관세를 부과해 신뢰 위기를 자초하고, 경제적 불확실성을 증대시키고 있는 것과 정반대의 행보다. 시진핑 주석은 당장 이달 중순부터 주변국 순방에 나선다. 이날 말레이시아 정부는 시진핑 주석이 오는 15~17일 말레이시아를 찾을 예정이라고 밝혔다고 아에프페(AFP) 통신이 보도했다.
경제 규모 1, 2위인 미국과 중국의 ‘강 대 강’ 대결은 세계 경제에 먹구름을 드리우고 있다. 두 나라가 세계 경제성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40% 이상인 만큼 전면적인 무역전쟁으로 치달으면 다른 나라의 성장에도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영국 비비시(BBC)는 짚었다.
베이징/이정연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