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로학원, 수험생 설문조사
53.5% "모집인원 축소 반대"
10명 중 6명 "4월 중순 정원 확정해야"
예과생 수업참여 저조···발표 시점 늦춰질수도
빅4·고려대 의대, 수업 거부 투쟁 지속 방침
서울대 의대는 수업 참여로 내부 의견 통일
53.5% "모집인원 축소 반대"
10명 중 6명 "4월 중순 정원 확정해야"
예과생 수업참여 저조···발표 시점 늦춰질수도
빅4·고려대 의대, 수업 거부 투쟁 지속 방침
서울대 의대는 수업 참여로 내부 의견 통일
6일 서울 시내의 한 의과대학. 연합뉴스
[서울경제]
의대생들이 수업 거부 투쟁을 이어가면서 내년도 의대 모집 인원 발표가 지연되는 가운데 수험생 2명 중 1명 이상은 2026학년도 의대 정원을 증원 이전으로 되돌리는 방안에 대해 반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수험생 다수는 모집 인원 발표 지연에 불안감을 호소하며 이달 중순까지는 동결 여부를 발표해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의대 교육 파행 지속으로 발표 시점이 늦춰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
9일 종로학원이 이달 1일부터 7일까지 고교생·N수생 543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 가운데 53.5%가 의대 모집 인원 축소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다만 적절한 모집 인원을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34.4%만 5038명이라고 답했다. 수능이 얼마 남지 않은 만큼 입시 안정성을 위해 2026학년도 의대 모집 인원은 변경하면 안 된다는 것이 중론이지만 증원 규모와 관련해 다양한 의견을 가진 수험생들이 많기 때문이다. 실제 설문조사 결과 3000명대(29.1%), 4000명대(28.7%)로 늘려야 한다는 의견이 절반을 넘었고 증원 이전보다 줄어든 2000명대가 적절하다고 답한 비율도 7.7%였다.
정원 규모를 놓고 의견이 갈렸지만 의대 모집 인원 발표 지연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수험생들이 부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설문에 참여한 이들 중 77.7%가 모집 인원 미확정으로 불안하다고 답했고, 4월 중순까지는 모집 인원을 확정해야 한다고 답한 응답자는 60.4%를 차지했다. 교육부는 수업 참여율 등을 보고 이달 중으로 내년도 의대 모집 인원을 정할 방침이지만 의대생들의 수업 거부 움직임이 확산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발표 시점을 고심하고 있다. 실제 이날 ‘빅4 의대(연세대·성균관대·가톨릭대·울산대)’와 고려대 의대 학생 대표는 공동성명을 내고 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의대협) 방향성을 존중하고 수업 거부 투쟁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아주대 의대생들 또한 이번 학기 수업을 거부하겠다고 전했다. 빅5 의대 중 수업 참여로 내부 의견을 통일한 의대는 서울대가 유일하다. 당국이 수업 참여를 정원 동결 조건으로 내건 만큼 모집 인원 확정 시점이 4월 중순 이후로 늦춰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다만 수험생들은 확정 시점과 관계없이 모집 인원 재조정이 입시에 큰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고 입을 모았다. 수험생 10명 중 9명 이상(94.8%)이 모집 인원 축소 또는 확대가 의대 합격선·경쟁률 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봤고 응답자 중 77.7%는 의대 지원에 영향을 미치는 중대 변수라고 평가했다. 현재 의대 진학을 고려하지 않고 있는 학생들이 의대 정원 확대 시 의대 지원에 나설 수 있다고 답한 비율도 61.1%에 달했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입시를 앞둔 수험생들이 의대 모집 인원 미확정, 오락가락하는 정책들로 불안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