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카운터포인트리서치 2025년 1분기 메모리 트래커
SK하이닉스가 글로벌 D램 시장에서 삼성전자를 제치고 처음으로 1위에 올랐다는 분석이 나왔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분기 SK하이닉스가 매출액 기준 점유율 36%를 차지했으며, 삼성전자가 34%, 마이크론이 25%로 뒤를 이었다.
SK하이닉스는 인공지능(AI) 열풍을 타고 수요가 폭증한 고대역폭메모리(HBM) 분야에서 70%의 시장 점유율로 압도적 우위를 점한 것으로 나타났다.
SK하이닉스가 삼성전자를 제치고 D램 점유율 1위를 달성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양사의 점유율은 지난해 1분기 삼성전자 41%, SK하이닉스 30%로 10% 이상 격차가 있었으나, 4분기에는 삼성전자 37%, SK하이닉스 35%로 좁혀졌다.
HBM 호황에 더해 삼성전자의 주력인 범용(레거시) 메모리 반도체가 수요 침체와 중국발 저가 물량 공세로 부진했던 영향으로 추정된다.
최정구 카운터포인트리서치 수석연구원은 “이번 성과는 SK하이닉스가 D램 분야, 특히 HBM에 대한 강력한 수요에 성공적으로 대응한 결과”라며 “회사에 큰 이정표가 되는 사건”이라고 말했다.
HBM 수요가 유지되는 한 SK하이닉스가 선두를 달리는 점유율 구도는 2분기에도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HBM 시장은 미국발 관세 충격의 영향도 상대적으로 덜할 것으로 전망됐다.
황민석 카운터포인트리서치 디렉터는 “단기적으로는 AI 수요가 강세를 보이기 때문에 HBM 시장은 무역 충격에 영향을 덜 받을 것”이라며 “HBM의 주요 적용처인 AI 서버는 ‘국경 없는’ 제품군이기 때문에 무역 장벽의 영향을 덜 받는다”고 분석했다. 다만 장기적으로는 미국발 무역 충격으로 인한 경기침체 가능성이 HBM 시장 성장에 리스크로 작용할 여지가 있다고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내다봤다.
HBM 시장을 주도하는 SK하이닉스는 현재 주력인 HBM3E(5세대) 12단 제품을 엔비디아 등 주요 고객사에 공급 중이며, 후속 제품인 HBM4(6세대) 12단 제품도 당초 계획보다 앞당겨 샘플을 공급한 상태다.
삼성전자는 AI 반도체 생태계를 주도하는 엔비디아에 HBM3E 납품을 시도하고 있으나, 1년 넘게 구체적인 성과는 나오지 않는 상태다. 반도체 사업을 이끄는 전영현 삼성전자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장(부회장)은 지난달 19일 주주총회에서 “빠르면 2분기, 늦으면 하반기부터 HBM3E 12단 제품이 시장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전 부회장은 “AI 시대에 HBM이 대표적인 부품인데 그 시장 트렌드를 조금 늦게 읽는 바람에 초기 시장을 놓쳤다”며 “HBM4 등 차세대 HBM에서는 이 같은 실수를 범하지 않기 위해 계획대로 차근차근 준비 중”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