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 대선 체제로 전환…9일 첫 회의
권영세 “해당 행위 가혹하게 처리”
윤리위, 대선 전까지 논의 전면 중단
권영세 “해당 행위 가혹하게 처리”
윤리위, 대선 전까지 논의 전면 중단
국민의힘 대선 경선을 관리할 선거관리위원장에 선임된 황우여 전 비상대책위원장이 7일 서울 여의도 국회 국민의힘 회의실로 들어가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이 황우여 전 비상대책위원장을 대선 경선을 관리할 선거관리위원장에 임명하며 본격적인 조기 대선 체제로 전환했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대선 승리를 위해 ‘단합’을 강조하며, 헌법과 법률을 위반한 윤석열 전 대통령을 비롯한 당내 인사들에 대한 징계 논의를 전면 보류하기로 했다.
신동욱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7일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회의 뒤 기자들을 만나 황 전 위원장을 선관위원장으로 임명했다고 밝혔다. 판사 출신인 황 선관위원장은 15~19대 국회의원을 지냈고, 박근혜 정부 시절 새누리당(국민의힘 전신) 대표와 사회부총리를 역임했다. 지난해 국민의힘이 총선에서 참패한 뒤 비대위원장을 맡아, 최근 당내 사정에도 밝다.
‘황우여 선관위’는 오는 9일 오전 10시 첫 회의를 열어 ‘대선 후보 경선 관련 일정’을 논의한다는 계획이다.
권영세 비대위원장은 이날 본격적인 선관위 출범을 알리며 “앞으론 우리가 말로 분열되거나 이런 것들이 없어야 한다”며 “앞으로 경선 과정이나 대선 과정에서 있을 수 있는 해당 행위에 대해 엄격하고 가혹하게 처리해나가겠다”고 밝혔다고 신동욱 수석대변인이 전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파면 국면을 지나오며 깊어진 당내 갈등을 접고 대선에 집중하자는 취지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이와 관련해 “조기 대선은 바로 이재명과 (더불어)민주당을 심판하는 선거가 돼야 한다”며 “다시 전열을 재정비해 조기 대선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당 중앙윤리위원회는 이런 분위기 속에서 대선 때까지 회의를 열지 않기로 했다. 윤리위 관계자는 “징계 논의로 분란을 일으키기보다 단합 중심으로 가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윤 전 대통령 출당뿐 아니라 ‘윤 전 대통령이 파면된 날을 민주주의 기념일로 제정하자’고 해 탈당 요구를 받았던 김상욱 의원에 대한 징계 논의도 중단됐다.
당이 조기 대선 체제로 들어간다는 것을 공식화하면서, 대선 주자들의 발걸음도 빨라지고 있다. 현재 국민의힘 경선에는 10여명이 나설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이날 이정현 전 새누리당(국민의힘 전신) 대표가 경선 출마 뜻을 밝힌 데 이어, 안철수 의원과 홍준표 대구시장도 각각 8일, 14일 기자회견을 열어 대선 출마 비전을 밝힌다는 계획이다. 한동훈 전 당대표와 오세훈 서울시장 쪽에서도 이번주 안에 출마를 선언하는 쪽으로 방향을 정하고 장소 등을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국민의힘 대선 주자 지지율 1위인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은 이날 기자들을 만나 “지난해 계엄과 탄핵 국면을 거치며 저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높아졌지만, 저 자신이 준비도 안 돼 있어 여러 고심 중에 있다”며 “아직까지 (대선 출마) 결심을 내린 건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