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탄핵 갈등 넘어 통합으로]
<중> 우린 왜 싸웠나
선동 넘어 불법 행위 직접 가담 '폭주'
각종 혐오 표현·분열 조장 서슴지 않아
'표현의 자유' 수준 넘어… "규제 필요"
1월 19일 서부지법 난입 폭력사태 당시 현장을 생중계한 유튜버 '젊은시각' 채널에서 삭제된 영상 내용 일부. 시위대가 법원 건물 창문을 깨고 집기를 던지고 있다. 삭제되기 전 '젊은시각' 영상 캡처


"이제부터 전쟁이다, 들어가자!"


1월 19일 새벽 서울서부지법. 윤석열 전 대통령 구속영장이 발부됐다는 소식에 한 유튜버가 크게 외쳤다. "우리는 영웅이다" "이건 혁명이다" 등의 구호가 법원 주변에서 동시다발적으로 터져 나왔다. 20분도 지나지 않아 극렬 지지자들은 법원 후문으로 몰려가 담장을 넘었고 경찰을 폭행하며 법원 내부로 들어갔다. 셀카봉을 한 손에 든 이들은 판사실 출입문 등을 파손하며 난입 장면을 생중계했다.

'12·3 불법계엄' 이후 윤 전 대통령 파면 선고가 나오기까지 넉 달 동안 정치 유튜버들은 전례 없는 호황기를 누렸다. 이 중 일부는 구독자를 모으고 후원을 유도하기 위해 자극적 영상이나 가짜뉴스를 양산하며 영향을 키웠다. 급기야 반대 진영에 대한 폭언과 테러 위협은 물론 사법기관 침탈까지 자행했다.

"적정 수준 규제 필요"

2월 26일 서울 서대문구 이화여대에서 열린 집회에서 한 학생이 들고 있던 피켓을 부순 뒤 "눈물을 흘릴 타이밍이다"며 조롱하고 있다. 신남성연대 캡처


7일 한국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일부 극단 성향 유튜버들은 탄핵 정국 내내 곳곳에서 갈등을 유발했다. 격투기 선수 출신 유튜버 진모씨는 헌법재판소와 국가인권위원회 등에서 열린 집회에 계속 등장해 경찰과 취재진을 위협했고, 인권위 건물에 무단 침입해 직원 출입을 통제하기도 했다. 그는 서부지법 난입 당시 경찰차 위에 드러눕거나 법원 담장을 부순 혐의 등으로 경찰 수사를 받고 있다.

히어로 영화 '마블' 시리즈의 '캡틴 아메리카' 복장을 착용한 유튜버 안병희(42)씨는 지난달 14일 "테러하겠다"며 중국대사관에 들어가려 했고 엿새 뒤엔 "나를 빨리 조사하라"며 남대문경찰서 출입문 게이트 유리를 깨는 등 소동을 부렸다. 경찰 조사 결과 그는 미국 중앙정보국(CIA), 이스라엘 정보기관 모사드(MOSSAD) 등 해외 기관 5곳의 신분증을 위조한 것으로 드러났고 건조물침입미수, 공용물건 손상, 사문서위조 및 행사, 모욕 등 혐의로 구속기소됐다. 유모(42)씨도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을 살해하겠다는 취지의 글을 유튜브 채널에 올렸다가 경찰 수사를 받고 있다.

유튜버들은 일상 속 '갈라치기'도 서슴지 않는다. 2월 말 보수 성향 '신남성연대' 유튜브 채널에는 탄핵 찬성 집회에 참여한 여대생 손팻말을 부순 뒤 항의하는 학생 앞에서 "눈물 흘릴 타이밍입니다"라며 조롱하는 영상이 게재됐다. 대학 캠퍼스의 탄핵 찬성 집회 저지에 나선 유튜버들이 지나가는 학생과 시민들에게 "시진핑, 김정은 개XX라고 말해봐"라며 '사상 검증'을 하거나 "야동(야한 동영상)을 추천해달라"며 여학생들을 희롱하기도 했다.

"적정 수준 규제 필요"

그래픽=송정근 기자


유튜버들이 자극적인 콘텐츠를 만들고 불법 행위까지 감행하는 배경엔 '돈의 힘'이 있다. 조회수 경쟁에서 이겨야 슈퍼챗(후원금)을 통한 수입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글로벌 유튜브 채널 순위집계 플랫폼 '플레이보드'에 따르면, 뉴스·정치 부문 상위 5개 채널(슈퍼챗 기준·언론사 제외)의 월별 슈퍼챗 수입은 2024년 10월 8,989만 원에서 2025년 1월 4억5,113만 원으로 급증했다. 1월은 윤 전 대통령 체포와 구속, 서부지법 난입 사태가 연이어 발생한 시기였다. 황근 선문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는 "미디어는 경쟁이 과열되면 선정성, 자극성, 혐오로 승부한다"면서 "이를 통해 반대 집단을 순식간에 '나쁜 집단'으로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일부 유튜버들의 '폭주'는 표현의 자유로 인정하고 용인할 수 있는 수준을 넘었다. 당국의 규제, 감시가 필요한 이유다. 영국이 '2024 미디어법'을 만들어 유튜브 등에도 공영방송과 같은 규제를 적용한 게 대표적 사례다. 특히 조기대선 국면에선 극단적 유튜버들이 더욱 활개칠 가능성이 높다. 이종명 성균관대 글로벌융합콘텐츠연구소 선임연구원은 "유튜브의 파급력을 고려했을 때, 부적절한 내용에 대해 제재를 받는 기존 언론과 마찬가지로 일정 수준의 규제가 필요하다"고 짚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421 이재명, 타임지 선정 '세계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 됐다 new 랭크뉴스 2025.04.17
49420 본안 판단은 언제?‥대선 넘기면 '새 대통령'이 지명 new 랭크뉴스 2025.04.17
49419 비상구 개방 두 차례 시도했지만 저지 실패‥"앞자리 승객이 제압" new 랭크뉴스 2025.04.17
49418 독일 종전 80년 추모행사에 '불청객' 러 대사 헌화 new 랭크뉴스 2025.04.17
49417 美 뉴욕 증시, 장 초반 일제히 하락…엔비디아 등 반도체株 ‘파란불’ new 랭크뉴스 2025.04.17
49416 "난 이기고 온거니 걱정말라" 尹, 파면당하고도 이랬던 내막 [尹의 1060일 ⑨] new 랭크뉴스 2025.04.17
49415 광명 신안산선 공사현장서 실종자 숨진채 발견...사건 124시간만 (종합) new 랭크뉴스 2025.04.17
49414 [사설] 누구도 우리 없이 '한반도 문제' 논의 안된다 new 랭크뉴스 2025.04.17
49413 뉴욕증시, 엔비디아 대중 수출 규제·무역전쟁 공포↑…하락 출발 new 랭크뉴스 2025.04.17
49412 "트럼프, 머스크가 국방부의 中전쟁계획 브리핑 못 듣게 차단" new 랭크뉴스 2025.04.17
49411 방첩사 간부 “14명 체포 지시 받아…경찰에 이재명, 한동훈 말했다” new 랭크뉴스 2025.04.17
49410 유영재, 선우은숙 친언니 강제추행 혐의 인정 "깊이 사과" new 랭크뉴스 2025.04.16
49409 ‘초고속 산불’에도 인명 피해 ‘0’…무엇이 달랐나? new 랭크뉴스 2025.04.16
49408 치료인 척 연쇄 살인…환자 15명 숨지게 한 의사, 독일 충격 new 랭크뉴스 2025.04.16
49407 20세 최연소 사시 합격자, 김앤장 퇴사 후 대학원 진학한 이유는? new 랭크뉴스 2025.04.16
49406 백악관 “대중 관세 최대 245%” 과시형 공세…중 “웃기는 숫자놀음” new 랭크뉴스 2025.04.16
49405 이재명, 타임지 '영향력 있는 100인'에 선정…블핑 로제도 포함(종합2보) new 랭크뉴스 2025.04.16
49404 이재명, 타임지 '올해의 100인' 선정…"대선 승리 유력한 후보" new 랭크뉴스 2025.04.16
49403 카이스트표 '마법샴푸' 불티나더니…이번엔 '칙칙' 뿌리면 단숨에 풍성해진다? 랭크뉴스 2025.04.16
49402 “빚 떠안을까봐” 일가족 5명 살해 50대 가장...경찰, 구속영장 신청 랭크뉴스 2025.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