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美 수출 비중이 80%... 69%는 인도네시아서 생산
증권가 “인니 상호관세율 32% 적용하면 관세 400억원 추가될 것”
경쟁사 생산지인 멕시코도 34% 관세 적용... “영향 한정적” 시각도

현대백화점그룹의 가구 제조 부문 자회사 지누스의 주가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 관세 발표 여파에 급락했다. 미국 시장을 주무대로 하는 지누스는 발표 직전만 해도 미국 보호무역 정책의 수혜주로 주목받았다. 그러나 미국이 이 회사의 주요 매트리스 생산처인 인도네시아에 고관세를 부과하기로 하면서 상황이 반전됐다.

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누스는 미국의 상호 관세 발표 직후인 지난 3일 주가가 전날 대비 20.09%(4350원) 급락한 1만7300원을 기록한 데 이어, 다음 날 1만6430원으로 마감했다.

그래픽=손민균

지누스는 ‘아마존 매트리스’라는 별칭이 붙을 만큼 총매출액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80%로 절대적이다. 매트리스의 69%가 32%의 관세율을 맞은 인도네시아에서 생산되고 있다. 34%는 중국(상호 관세율 34%)에서 생산된다.

이 회사는 현재 캄보디아 공장 증설도 계획 중인데, 이번에 미국이 캄보디아에 49%의 상호 관세율을 적용하면서 악재로 작용할 거란 전망이 나온다.

지누스는 정지선 현대백화점그룹 회장이 2022년 3월 8790억원을 투입해 사들인 계열사다. 매트리스와 프레임, 토퍼 등을 한 상자에 압축해 담아 배송하는 기술(매트리스 인 어 박스)을 선보여 미국 온라인 매트리스 시장 점유율 30%가량을 확보했다.

하지만 현대백화점 인수 후엔 코로나19 영향으로 미국 소비심리가 위축되고 과잉 재고가 쌓여 부진한 실적을 기록했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실적이 개선되며 ‘효자 계열사’로 부상했다.

작년 4분기 지누스는 매출과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4%, 852% 증가했다. 재고가 축소되면서 매트리스 생산 가동률이 작년 1분기 70%에서 2분기 95%까지 회복한 것이 원인이다. 작년 6월 인도네시아 3공장 증설로 연간 생산 능력이 90만 개에서 151만 개로 늘어난 것도 영향을 미쳤다.

지난해 연간으로는 매출액이 3.3% 감소한 9204억원, 영업손실은 53억원이 발생했다. 정지영 현대백화점 대표는 지난달 열린 주주총회에서 “지누스가 지난해 4분기 실적 턴어라운드를 실현했고, 올해부터는 본격적인 성장세를 보일 것”이라고 했다.

지난해 중국 상해에 문을 연 지누스 플래그십스토어(대표 매장) 전경. /지누스 제공

미국 상호 관세 발표 전만 해도 지누스는 트럼프 보호무역 정책의 혜택을 받을 것으로 예상됐다. 지난 2월 트럼프 대통령이 멕시코에서 들어오는 불법 이민자와 마약 유입 등을 이유로 모든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다.

2023년 기준 국가별 미국향 매트리스 수출 비중은 인도네시아 24%, 멕시코 23%였다. 이에 따라 지누스는 멕시코에 공장이 있는 매트리스 경쟁사 대비 가격 경쟁력이 부각될 거란 관측이 나왔다.

현재 지누스가 인도네시아 생신 기지에서 생산하는 연 6000억원 규모의 매트리스 제품이 북미에서 판매되고 있다. 다만, 모든 제품에 관세가 적용되는 건 아니다. 아마존이 사입하는 직접수입(DI·Direct Import) 규모는 4500억원, 북미 창고에서 판매되는 대리수입(Do·Domestic Import)은 규모는 1500억원인데 DI에 적용되는 관세는 아마존 측이, DO에 적용되는 관세는 지누스가 부담한다.

이를 기반으로 NH투자증권은 인도네시아 32% 상호 관세 부과 시 지누스의 관세 비용이 연간 350억~400억원 추가될 것으로 예상했다.

일각에서는 지누스 제품 5개가 아마존 내 매트리스 순위 10위 안에 들 만큼 북미 브랜드 인지도가 높고, 경쟁사의 생산지들도 높은 관세율을 적용받았다는 점에서 성장세가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일례로 미국 매트리스 주요 생산기지 중 하나인 멕시코 역시 45%의 높은 관세율을 부과받았다.

백준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누스가 사용할 수 있는 카드는 제품 판매 가격 인상 및 DO 비중 조정”이라며 “예상되는 판매가 인상 폭은 10~30%로 추정되며, 이를 반영하면 실질 관세 영향은 예상치보다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000 [속보] 최상목 "12조대 필수추경안 마련"…당초 발표보다 2조 증액 랭크뉴스 2025.04.15
43999 선배 가고 후배 오고…사외이사 ‘알박기’ 요지경 랭크뉴스 2025.04.15
43998 이준석 "월급쟁이 과잉과세 고리 끊을 것"... 근로소득세 개편 시사 랭크뉴스 2025.04.15
43997 ‘테슬라 매장 방화·머스크 비난 낙서’ 40대 기소…미 법무부 “형량 협상 없다” 랭크뉴스 2025.04.15
43996 트럼프 “자동차 회사들 시간 필요해”…관세 일시 유예 시사 랭크뉴스 2025.04.15
43995 이준석 "월급쟁이 과잉과세 고리 끊을 것"...근로소득세 개편 시사 랭크뉴스 2025.04.15
43994 미 재무장관 “한국과 내주 무역협상 예정···빠르게 진행될 것” 랭크뉴스 2025.04.15
43993 구글, ‘트럼프 관세’ 등에 업고 韓 지도 데이터 요구하는데…“시장 잠식 우려”vs“전 세계 유일의 불허” 랭크뉴스 2025.04.15
43992 "왜곡·조작됐다"‥헌재 판단도 모조리 '부정' 랭크뉴스 2025.04.15
43991 국회, 오늘 경제 분야 대정부질문…최상목 미국 국채 논란 다뤄질까 랭크뉴스 2025.04.15
43990 철 지난 장자승계, 법보다 앞설까…LG ‘2조 상속분쟁’ 판결 촉각 랭크뉴스 2025.04.15
43989 5개월 아기 뇌출혈에 온몸 멍 자국…학대 의심 부부 수사 랭크뉴스 2025.04.15
43988 "선거운동 해야하니 재판 빼달라"…대선 주자들 특권인가[현장에서] 랭크뉴스 2025.04.15
43987 [인터뷰] 홍준표 "정상적인 대선보다 쉬울 수도…이재명 잡을 사람은 나" 랭크뉴스 2025.04.15
43986 [투자노트] 트럼프 리스크 정점?… ‘종목 장세’는 이제 시작 랭크뉴스 2025.04.15
43985 “한 입 먹고 버리더라”…9,900원 빵 뷔페, 음식 낭비 논란 [잇슈 키워드] 랭크뉴스 2025.04.15
43984 이재명 첫 공약은 '인공지능'‥김두관 경선 '이탈' 랭크뉴스 2025.04.15
43983 박수영 "국힘 의원 54명 한덕수 출마 촉구 확인... 분위기 달라져" 랭크뉴스 2025.04.15
43982 “자동차 미국 생산에 시간 걸려”…트럼프, 이번엔 차 부품 관세 뒤집나 랭크뉴스 2025.04.15
43981 [속보]美재무 "한국과 내주 무역 협상…먼저 합의하는 국가가 유리" 랭크뉴스 2025.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