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美 수출 비중이 80%... 69%는 인도네시아서 생산
증권가 “인니 상호관세율 32% 적용하면 관세 400억원 추가될 것”
경쟁사 생산지인 멕시코도 34% 관세 적용... “영향 한정적” 시각도

현대백화점그룹의 가구 제조 부문 자회사 지누스의 주가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 관세 발표 여파에 급락했다. 미국 시장을 주무대로 하는 지누스는 발표 직전만 해도 미국 보호무역 정책의 수혜주로 주목받았다. 그러나 미국이 이 회사의 주요 매트리스 생산처인 인도네시아에 고관세를 부과하기로 하면서 상황이 반전됐다.

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누스는 미국의 상호 관세 발표 직후인 지난 3일 주가가 전날 대비 20.09%(4350원) 급락한 1만7300원을 기록한 데 이어, 다음 날 1만6430원으로 마감했다.

그래픽=손민균

지누스는 ‘아마존 매트리스’라는 별칭이 붙을 만큼 총매출액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80%로 절대적이다. 매트리스의 69%가 32%의 관세율을 맞은 인도네시아에서 생산되고 있다. 34%는 중국(상호 관세율 34%)에서 생산된다.

이 회사는 현재 캄보디아 공장 증설도 계획 중인데, 이번에 미국이 캄보디아에 49%의 상호 관세율을 적용하면서 악재로 작용할 거란 전망이 나온다.

지누스는 정지선 현대백화점그룹 회장이 2022년 3월 8790억원을 투입해 사들인 계열사다. 매트리스와 프레임, 토퍼 등을 한 상자에 압축해 담아 배송하는 기술(매트리스 인 어 박스)을 선보여 미국 온라인 매트리스 시장 점유율 30%가량을 확보했다.

하지만 현대백화점 인수 후엔 코로나19 영향으로 미국 소비심리가 위축되고 과잉 재고가 쌓여 부진한 실적을 기록했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실적이 개선되며 ‘효자 계열사’로 부상했다.

작년 4분기 지누스는 매출과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4%, 852% 증가했다. 재고가 축소되면서 매트리스 생산 가동률이 작년 1분기 70%에서 2분기 95%까지 회복한 것이 원인이다. 작년 6월 인도네시아 3공장 증설로 연간 생산 능력이 90만 개에서 151만 개로 늘어난 것도 영향을 미쳤다.

지난해 연간으로는 매출액이 3.3% 감소한 9204억원, 영업손실은 53억원이 발생했다. 정지영 현대백화점 대표는 지난달 열린 주주총회에서 “지누스가 지난해 4분기 실적 턴어라운드를 실현했고, 올해부터는 본격적인 성장세를 보일 것”이라고 했다.

지난해 중국 상해에 문을 연 지누스 플래그십스토어(대표 매장) 전경. /지누스 제공

미국 상호 관세 발표 전만 해도 지누스는 트럼프 보호무역 정책의 혜택을 받을 것으로 예상됐다. 지난 2월 트럼프 대통령이 멕시코에서 들어오는 불법 이민자와 마약 유입 등을 이유로 모든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다.

2023년 기준 국가별 미국향 매트리스 수출 비중은 인도네시아 24%, 멕시코 23%였다. 이에 따라 지누스는 멕시코에 공장이 있는 매트리스 경쟁사 대비 가격 경쟁력이 부각될 거란 관측이 나왔다.

현재 지누스가 인도네시아 생신 기지에서 생산하는 연 6000억원 규모의 매트리스 제품이 북미에서 판매되고 있다. 다만, 모든 제품에 관세가 적용되는 건 아니다. 아마존이 사입하는 직접수입(DI·Direct Import) 규모는 4500억원, 북미 창고에서 판매되는 대리수입(Do·Domestic Import)은 규모는 1500억원인데 DI에 적용되는 관세는 아마존 측이, DO에 적용되는 관세는 지누스가 부담한다.

이를 기반으로 NH투자증권은 인도네시아 32% 상호 관세 부과 시 지누스의 관세 비용이 연간 350억~400억원 추가될 것으로 예상했다.

일각에서는 지누스 제품 5개가 아마존 내 매트리스 순위 10위 안에 들 만큼 북미 브랜드 인지도가 높고, 경쟁사의 생산지들도 높은 관세율을 적용받았다는 점에서 성장세가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일례로 미국 매트리스 주요 생산기지 중 하나인 멕시코 역시 45%의 높은 관세율을 부과받았다.

백준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누스가 사용할 수 있는 카드는 제품 판매 가격 인상 및 DO 비중 조정”이라며 “예상되는 판매가 인상 폭은 10~30%로 추정되며, 이를 반영하면 실질 관세 영향은 예상치보다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881 美증시 선물 또 5% 폭락…트럼프 참모들, 관세 강행 시사 [이태규의 워싱턴 플레이북] 랭크뉴스 2025.04.07
44880 美시민권 받고 국적회복 신청…法 “병역기피 의도 아냐” 랭크뉴스 2025.04.07
44879 트럼프 "3선하는 방법 있다" 주장에…美법무장관 "그건 힘든 일" 랭크뉴스 2025.04.07
44878 [최훈 칼럼] 제왕적 대통령제 38년도 파면이다 랭크뉴스 2025.04.07
44877 "이러다 선거 완패할 수도"… 트럼프 관세 정책에 공화당 내 우려 확산 랭크뉴스 2025.04.07
44876 헌재가 인정한 ‘국회 군 투입’·‘체포조 운영’, 법원 판단 달라질까? 랭크뉴스 2025.04.07
44875 트럼프 참모, 일제히 관세 강행 시사…美증시 선물 급락[이태규의 워싱턴 플레이북] 랭크뉴스 2025.04.07
44874 국민의힘 ‘빅4 각축’ 전망…‘윤심’ 영향력 최대 변수로[다시, 민주주의로] 랭크뉴스 2025.04.07
44873 봉인 풀린 ‘피의자 윤석열’, 동시다발 소환·구속도 불가피 랭크뉴스 2025.04.07
44872 중부고속도로서 고장차량에 깔린 40대 견인기사 숨져 랭크뉴스 2025.04.07
44871 전현희 "尹 남의 집에서 뭐 하냐, 대통령놀이 그만" 랭크뉴스 2025.04.07
44870 "국수에 파김치"‥'파면 정식' 인증 쇄도 랭크뉴스 2025.04.07
44869 尹 파면되자마자 李 지지율 6%P ‘쑥’…중도층도 ‘어대명’[尹 파면 후 첫 설문] 랭크뉴스 2025.04.07
44868 44년 된 산불 헬기 또 추락‥70대 조종사 사망 랭크뉴스 2025.04.07
44867 윤석열 정부서 고통받은 이들의 외침 “더는 국민이 희생되지 않는 국가” 랭크뉴스 2025.04.07
44866 "일본 가지말까"…안 그래도 비싸진 '온천', 이젠 당일치기로 못 간다 랭크뉴스 2025.04.07
44865 정국 혼란에 멈춘 아파트 분양…내년 서울 입주 ‘역대 최저’[집슐랭] 랭크뉴스 2025.04.07
» »»»»» 현대백화점 ‘효자 계열사’ 지누스, 트럼프 관세 수혜주에서 피해주로 랭크뉴스 2025.04.07
44863 민주당 경선은 ‘어대명’?… 비명계는 “완전국민경선” 랭크뉴스 2025.04.07
44862 美전문가들 "트럼프는 미친 왕…그가 끝나야 광기 멈춘다" [김형구의 USA 오디세이] 랭크뉴스 2025.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