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계엄 ‘국헌 문란’ 연관성 커져
헌재, 관련자 진술 다수 인정
형사재판서 치열한 공방 예고
헌법재판소는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인용 결정문에 12·3 비상계엄의 위헌·불법성에 관한 주요 사실관계 판단을 담았다. 헌재의 논리와 판단이 윤 전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혐의 형사재판에도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윤석열 전 대통령 지지자들의 응원 화환이 놓여 있던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담장 밖이 6일 펜스로 둘러싸여 있다. 한수빈 기자


윤 전 대통령 탄핵심판과 내란 우두머리 혐의 재판의 핵심 쟁점은 모두 ‘정당한 목적의 비상계엄 선포였느냐’로 수렴한다.

형법상 내란죄는 국헌을 문란하게 할 목적으로 폭동을 일으켰다는 점이 입증될 때 성립한다. 윤 전 대통령은 국정마비에 대응하고자 “어쩔 수 없이” 비상계엄을 선포했을 뿐, 약 2시간 만에 계엄을 해제해 사회질서에 악영향을 주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대통령 고유의 ‘국가긴급권’을 발동한 것이므로 헌재와 법원 모두 잘잘못을 따질 권한이 없다는 주장도 편다.

헌재는 이번 결정에서 중대한 예외사유가 있는 경우가 아니라면 국가긴급권을 발동해선 안 된다며 “비상계엄은 사법 심사의 대상이 될 수 있다”고 명시했다. 윤 전 대통령 측의 “법원은 비상계엄 유무죄를 가릴 수 없다”는 논리가 깨진 것이다. 헌재는 “비상계엄 선포는 그 본질상 경고에 그칠 수 없다”며 ‘경고성 계엄’ 주장도 인정하지 않았다. 검찰은 형사재판에서 계엄이 ‘국헌문란’과 연결된다고 주장할 때 헌재 판단을 근거로 제시할 것으로 보인다.

법원이 계엄이 “내란죄 요건을 갖췄다”고 판단하면 다음 단계는 윤 전 대통령의 ‘관여도’를 살피는 것이다. 윤 전 대통령이 내란을 얼마나 계획·주도했는지에 따라 죄의 무게가 달라진다.

윤 전 대통령의 구체적 내란 혐의를 판단하는 데는 당시 윤 전 대통령과 소통한 관련자들의 진술이 핵심적이다. 헌재는 관련자 다수의 진술을 파면 결정의 근거로 활용했다. 대표적인 진술은 곽종근 전 육군 특수전사령관의 “끄집어내라” 진술이다. 윤 전 대통령이 조지호 경찰청장과 김봉식 전 서울청장에게 “국회 통제를 잘해달라”고 말한 것도 인정했다.

헌재가 이들의 수사기록을 인정했다고 형사재판에서도 증거로 활용되는 것은 아니다. 개정된 형사소송법에 따라 피고인이 부정하는 조서는 증거능력을 잃는다. 윤 전 대통령은 일부 관련자들의 진술이 사실과 다르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윤 전 대통령 재판에 나오는 인물들의 증언이 유무죄 판단에 큰 영향을 미친다.

윤 전 대통령이 체포를 명령한 인물들의 이름이 담긴 이른바 ‘홍장원 메모’ 역시 마찬가지다. 헌재는 증거로서 능력을 인정했다.

다만 헌재는 “윤 전 대통령이 명단의 사람들에 대해 체포까지 할 것을 지시했는지는 불분명하더라도 이들에 대한 위치 확인 시도가 윤 전 대통령 의사와 무관하게 이뤄졌다고 보기 어렵다”며 윤 전 대통령에게 위치 확인을 넘어 체포 목적까지 있었는지를 두고는 판단을 유보했다. 형사재판에서는 체포 지시 여부, 메모 작성 전후 맥락을 둘러싼 치열한 공방이 예상된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166 中, 장난감부터 전투기까지 美 정밀 타격 [美 상호관세 발효] new 랭크뉴스 2025.04.09
46165 지반침하 고위험지역 50곳 MBC 보도에 오세훈 시장 "땅 꺼짐 방지 노력 촘촘히 할 것" new 랭크뉴스 2025.04.09
46164 보복관세 선그은 산업장관 “자해성 피해 더 커질 수도” new 랭크뉴스 2025.04.09
46163 "구속시켜야" 언성 높인 민주당…"잘 할 수 있다" 몸 낮춘 이완규 new 랭크뉴스 2025.04.09
46162 ‘전투기 촬영’ 10대 중국인들, 공항도 수천 장 찍었다… 2~3차례 입국 new 랭크뉴스 2025.04.09
46161 함상훈 헌법재판관 후보자, ‘2400원 횡령 버스기사’ 해고 판결 new 랭크뉴스 2025.04.09
46160 이완규, 윤석열 파면 전 ‘낙점’ 의혹…인사검증 하루도 안 걸려 new 랭크뉴스 2025.04.09
46159 “재판을 언제까지 끕니까!” 법원에 분노한 해병대 전우회 [이런뉴스] new 랭크뉴스 2025.04.09
46158 “줄 선 나라 많아서 힘들어” 트럼프만 신났나…숨 막히는 관세 눈치 싸움 [이런뉴스] new 랭크뉴스 2025.04.09
46157 “3년 소설 같았다” 대표직 사퇴 이재명…10일 대선 출마선언 new 랭크뉴스 2025.04.09
46156 민주, ‘이완규 저지’ 총력···‘권한대행 재판관 지명 금지법’ 법사위 통과 new 랭크뉴스 2025.04.09
46155 빅4·고려대 의대 학생대표 "투쟁 지속"…서울대는 수업 참여 new 랭크뉴스 2025.04.09
46154 이완규 “헌법재판관 돼 헌법 질서 구현에 일조하고 싶다” new 랭크뉴스 2025.04.09
46153 ‘180cm 거대견’ 해피·조이, 윤 대통령 파면 이후 거취는? [지금뉴스] new 랭크뉴스 2025.04.09
46152 美 “우리가 갈취할 차례”… 상호관세 발효 new 랭크뉴스 2025.04.09
46151 ‘한덕수 지명’ 함상훈 판사, ‘요금 2400원’ 횡령 버스기사 해고 판결 전력 new 랭크뉴스 2025.04.09
46150 치솟는 환율 “1500원도 가시권”…금융위기 뒤 16년 만에 최고 new 랭크뉴스 2025.04.09
46149 "밤에 밥 먹지 마세요"…야간 근무자도 낮에만 먹었더니 '이것' 확 낮아졌다 new 랭크뉴스 2025.04.09
46148 "손실 나도 원금 지급"…예금보다 수익률 높은 이 상품 나온다 new 랭크뉴스 2025.04.09
46147 美 국채 발작에 자금시장 대혼란…"환율 1500원도 각오해야" new 랭크뉴스 2025.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