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제 ‘조기 대선의 시간’


헌법재판소가 4일 윤석열 전 대통령을 파면하면서 향후 정국 초점은 혼란상을 수습하고 미래상을 제시할 제21대 대통령을 선출하는 과정으로 모아지게 됐다. 조기 대선은 오는 6월3일쯤 치러질 것으로 전망된다. 대선 주자들은 압축적 일정 속에 민주주의와 민생을 회복할 청사진을 제시해야 할 과제를 안게 됐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등에 따르면 윤 전 대통령 파면과 함께 이날 대선 예비후보자 등록이 시작됐다. 이에 따라 정치권은 바로 조기 대선 국면에 돌입했다.

헌정 사상 두 번째인 이번 조기 대선은 윤 전 대통령 파면일로부터 60일이 경과한 오는 6월3일(화요일) 치러질 가능성이 높다. 공직선거법상 대통령 궐위로 인한 선거는 60일 이내에 실시해야 하는데, 시간이 촉박한 만큼 선거일이 최대한 늦춰질 가능성이 높다.

한덕수, 14일까지 선거일 정해야…후보자 등록은 5월10·11일 예상

민주당, 이재명 대표직 사퇴 후 ‘박찬대 권한대행 체제 경선’ 전망

국민의힘은 현 지도부가 대선 정국까지 당 관리한 이후 물러날 듯


6월3일로 선거일이 확정되면 법에 따라 대선 후보 등록 기간은 5월10~11일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 경우 공식선거운동 기간은 5월12일부터 6월2일까지 22일간이다. 재외투표 기간은 5월20~25일, 사전투표 기간은 5월29~30일이 된다.

이 같은 일정은 조기 대선 관리를 맡게 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가 선거일을 공고해야 공식 확정된다. 한 권한대행은 늦어도 선거일 50일 전인 오는 14일까지 선거일을 공고해야 한다.

윤 전 대통령 파면으로 이번 조기 대선은 여야가 없는 원내 7당 체제에서 치러진다. 각 정당은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당 선거관리위원회를 구성하고, 경선 규칙 논의에도 돌입해야 한다. 선거인단 모집도 당면 과제다.

이재명 대표가 대세론을 형성한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이 대표의 대표직 사퇴와 그에 따른 체제 전환이 급선무가 됐다. 이 대표는 경선 불공정 논란을 줄이기 위해 신속히 대표직을 사퇴할 것으로 예상된다. 박찬대 원내대표가 대표 권한대행을 맡아 경선을 관리할 가능성이 높다.

반면 국민의힘은 파면 정국을 수습하면서 당 경선을 관리할 지도부 체제를 두고 내부 논쟁이 벌어질 가능성이 있다. 현 지도부가 대선이 끝날 때까지 당을 관리한 뒤 물러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각 정당의 경선 기간은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 파면으로 치러진 조기 대선보다 단축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지난 조기 대선에서 민주당은 헌재의 파면 결정 전부터 경선 준비 절차를 밟고 경선에 돌입했다. 이번에는 선고 전 대선 준비를 자중하는 분위기가 형성돼 관련 절차가 이뤄지지 못했다.

각 당의 대선 후보가 확정되면 차기 정부의 해결 과제를 두고 치열한 이슈 대결이 예상된다. 민주당은 국민의힘의 비상계엄 사태 책임론을, 국민의힘은 이 대표의 사법리스크 등을 집중 부각할 가능성이 높다. 탄핵 정국을 거치며 극단적 분열이 나타난 만큼 통합과 민주주의 회복이라는 과제가 어젠다로 등장할 가능성도 높다. 한계를 노출한 ‘1987년 체제’의 문제,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 출범 후 심화한 민생경제 문제도 핵심 의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198 中, 트럼프 104% 관세에 반격… “미국산 관세 34%에서 84%로” 랭크뉴스 2025.04.09
46197 [속보] 중국 "10일부터 모든 미국산 수입품 추가 관세 34→84%" 랭크뉴스 2025.04.09
46196 심상치 않은 4인방 모임‥수사 상황은? 랭크뉴스 2025.04.09
46195 의대 파행에 정원 '안갯속'…수험생 절반 이상 "동결 반대" 랭크뉴스 2025.04.09
46194 트럼프가 들이민 안보 비용 청구서… "방위비·관세 패키지 협상 전략 세워야" 랭크뉴스 2025.04.09
46193 中, ‘美 104% 관세’에 재보복…“미국산 추가관세 84%” 랭크뉴스 2025.04.09
46192 한덕수 “보복관세보다 한미 경제동맹 격상이 슬기로운 해법” 랭크뉴스 2025.04.09
46191 한국거래소,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불성실 공시 법인 지정 예고 랭크뉴스 2025.04.09
46190 트럼프의 104% 관세에 中 다시 보복 “모든 미국산 수입품 관세 84%” 랭크뉴스 2025.04.09
46189 '내란 우두머리' 윤 전 대통령 방어‥위헌적 논리까지 랭크뉴스 2025.04.09
46188 [속보] 中 “내일부터 모든 미국산 수입품에 추가 관세 34→84%” 랭크뉴스 2025.04.09
46187 [속보] 中 “10일부터 미국산 수입품 추가관세 34→84%” 랭크뉴스 2025.04.09
46186 "계엄 전에도 이완규 추천"‥배후·목적 두고 커지는 의구심 랭크뉴스 2025.04.09
46185 국회 나온 이완규 "헌법재판관 잘할 수 있다"‥"사퇴해야" 맹공 랭크뉴스 2025.04.09
46184 예금 같으면서도 펀드스러운 ‘IMA 통장’ 나온다 랭크뉴스 2025.04.09
46183 한덕수 지명 함상훈 후보자, ‘요금 2400원 횡령’ 버스기사 해고 판결 전력 랭크뉴스 2025.04.09
46182 트럼프의 책사 “관세, 미국이 제공하는 안보·무역체제의 대가” 랭크뉴스 2025.04.09
46181 [속보] 중국, 미국에 84% 맞불 관세 부과 랭크뉴스 2025.04.09
46180 [속보] 中 "10일부터 모든 미국산 수입품 추가관세 34→84%" 랭크뉴스 2025.04.09
46179 골프·포털·엔터까지… 카카오 자회사 줄매각에 노사갈등 심화 랭크뉴스 2025.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