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닌텐도 스위치2, 美 출시가 약 66만원
닌텐도 주요 물량 중국·베트남서 생산
“기업 아닌 소비자에게 부담 전가”

일러스트=챗GPT

닌텐도가 8년 만에 선보이는 차세대 콘솔 ‘닌텐도 스위치2’가 미국에서 ‘가격인상 폭탄’을 맞을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전작 스위치가 누적 판매량 4660만대(2024년 12월 기준)를 기록하며 미국에서만 역대 두 번째로 많이 팔린 게임기로 자리매김한 만큼, 후속작에 대한 기대가 큰 상황에서 관세 문제가 복병으로 떠올랐다.

“최악의 경우 100만원 육박할 것”
닌텐도는 2일(현지시간) 온라인 쇼케이스 ‘닌텐도 다이렉트’를 열고 스위치2의 출시 일정을 공개했다. 출시일은 오는 6월 5일이며, 미국 가격은 449.99달러(약 66만원)로 책정됐다.

그러나 같은 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일본을 비롯해 주요 교역 상대국에 대해 전면적인 상호관세 부과 계획을 발표, 세계 최대 게임 시장이자 콘솔 구매가 많은 미국에서 닌텐도 스위치2의 가격이 인상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일본과 중국에는 각각 24%, 34%, 베트남·캄보디아에는 각각 46%, 49%의 관세가 적용된다. 이 조치가 그대로 시행될 경우 닌텐도가 주요 물량을 생산하는 중국과 베트남 모두 직격탄을 맞게 된다.

미국 게이머들 사이에서는 “최악의 경우 스위치2 가격이 100만원에 육박할 수 있다”라는 불만이 쏟아지고 있다. 온라인 커뮤니티 레딧 등에는 “출시 직후 구매하지 않으면 가격이 더 치솟을 것” “해외 기업을 때린다지만 결국 미국 게이머들의 지갑만 터진다” 같은 반응이 잇따르고 있다. 일부 이용자는 “문화적 대량 학살이나 다름없다”라는 등 과격한 표현으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을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닌텐도 스위치2는 기존 대비 한층 향상된 그래픽 성능과 4K TV 출력, 7.9인치로 확장된 화면 크기로 업그레이드됐다. 전용 컨트롤러 ‘조이콘’을 자석으로 탈·부착하는 새로운 방식을 채택해 편의성을 높였고, 여러 명이 동시에 음성·영상 채팅을 할 수 있는 ‘게임챗’ 기능도 새롭게 도입했다. 독점 타이틀인 ‘마리오 카트 월드’를 비롯해 기존 인기작 ‘젤다의 전설’ 시리즈도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선보일 예정이다.

“전 세계적으로 가격 인상 가능성”
하지만 세계 최대 게임 시장 중 하나인 미국에서 관세 부담이 커질 경우, 판매량이 상당 부분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

후루카와 슌타로 닌텐도 CEO는 지난 2월 실적 발표 당시 “미국의 관세 정책이 닌텐도의 경영 환경에 일부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밝혔다.

김태황 명지대 국제통상학과 교수는 “콘솔 기기는 소비재이기 때문에, 미국이 중국에 대한 관세를 올리면 기업이 아닌 소비자에게 부담이 전가된다”며 “생산 설비를 옮기는 것이 수월하다면 모르겠지만, 베트남이나 인도네시아에 대한 관세도 만만치 않고 투자 비용을 고려하면 비효율적”이라고 말했다. 이어 “미국에서 기기 가격이 오르면 전 세계적으로 가격이 다 인상될 가능성이 크다. 업체 대응에 따라 차이는 있겠지만, 이용자들의 소비 심리가 주춤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반면 가격 인상이 실제 수요 위축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제한적이라는 시각도 있다. 석병훈 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는 “콘솔 기기는 내구재 성격이 강해, 가격이 올라가는 속도보다 수요가 떨어지는 속도가 더 빠를 것으로 본다”며 “이미 게임기를 가진 사람들은 새 모델을 굳이 살 이유가 작다. 지금 당장 가격이 올라도 이는 일시적인 현상에 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820 탄소 포집해서 묻는다더니···서해·동해·해외 저장 모두 '좌절' 중 랭크뉴스 2025.04.11
46819 보릿고개 넘은 코인거래소…작년 O조 벌었다 [S머니-플러스] 랭크뉴스 2025.04.11
46818 멀쩡한 집 부수고 재개발?…"서울시 신속통합기획에 원주민 쫓겨날 판" 랭크뉴스 2025.04.11
46817 이재명의 3가지 숙제 ①지지율 확장 ②절대 권력 견제론 ③트럼프 케미 랭크뉴스 2025.04.11
46816 "AI로 反트럼프 발언 감시" 머스크, 美정부 '빅브라더'됐다 랭크뉴스 2025.04.11
46815 불안한 美30년물, 경매수요 호조에도 또 투매…‘트럼프 한숨 돌릴 틈 없네’ 랭크뉴스 2025.04.11
46814 이재명 대선 독주 체제, 국힘 누구와 붙어도 과반 [중앙일보 여론조사] 랭크뉴스 2025.04.11
46813 한덕수 침묵이 부추기는 '대망론'... 국민의힘 "15일 넘기면 경선 참여 불가" 랭크뉴스 2025.04.11
46812 트럼프, 90일 후 상호관세 유예 연장 가능성에 "그때 가서 보자"(종합) 랭크뉴스 2025.04.11
46811 관세전쟁 美·中, 경제위기 아르헨 놓고 '영향력 확대' 경쟁? 랭크뉴스 2025.04.11
46810 "이게 사람이 할 짓인가"…훈련사들도 분노한 '어둠의 개통령' 결국 랭크뉴스 2025.04.11
46809 각개전투 대신 ‘합체’…K휴머노이드 연합군 출범 랭크뉴스 2025.04.11
46808 트럼프, 韓조선업 협력 시사…中엔 “협상 원한다” 랭크뉴스 2025.04.11
46807 '초봉 6500만원' 꿈의 직장 합격했는데…절반이 입사 포기, 왜? 랭크뉴스 2025.04.11
46806 北형제국이던 시리아, 외교장관 직접 찾아가 수교…"역사적 이정표" 랭크뉴스 2025.04.11
46805 [삶과 추억] 6·25 상처 보듬고 가난한 이 돌본 성자 랭크뉴스 2025.04.11
46804 ‘美국채 불안의 중심’ 30년 물 경매 수요 호조…트럼프, 한숨 돌리나 랭크뉴스 2025.04.11
46803 [속보] 트럼프 "中과 협상하고 싶다‥양국에 좋은 결과 가져올 것" 랭크뉴스 2025.04.11
46802 화장실서 발견된 '의문의 1600만원'…예상치 못했던 주인의 정체는 랭크뉴스 2025.04.11
46801 농림부 압박한 문재인 청와대…잼버리 부지 부적절 매립 랭크뉴스 2025.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