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6·3 대선에 나설 후보 윤곽이 드러났다. 중앙일보는 지난 8~9일 한국갤럽에 의뢰해 대선 여론조사를 실시했다. 오른쪽 위부터 시계 방향으로 오세훈 서울시장,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 홍준표 대구시장. 연합뉴스·뉴스1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이후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독주 체제가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전 대표가 국민의힘 후보와의 가상 양자대결에서 50% 이상의 지지율을 얻는 것으로 조사됐기 때문이다. 일부 후보와 접전을 벌였던 지난 1월 23~24일 조사에 비해 격차가 벌어졌다.

중앙일보가 여론조사업체 한국갤럽에 의뢰해 지난 8~9일 이틀간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1004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 가상번호를 활용해 전화 면접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재명 전 대표와 홍준표 대구시장 가상대결에서 이 전 대표는 50%, 홍 시장은 38%로 12%포인트 차이였다. 이 전 대표와 오세훈 서울시장이 맞붙을 경우 각각 51%와 38%로 13%포인트 차이였다. 모두 오차범위(±3.1%포인트) 밖의 두 자릿수 차이였다.

신재민 기자

각종 여론조사에서 보수 진영 내 지지율 선두를 달리고 있는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이 나설 경우 이 전 대표와 김 전 장관은 각각 53%와 35%로 18%포인트 차이였다. 이 전 대표와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는 각각 52%와 32%로 20%포인트 차이였다.

지난 1월 조사와 비교하면 이 전 대표의 지지세는 강화된 반면 국민의힘 후보의 지지세는 약화됐다. 당시 이 전 대표와 오 시장이 맞붙으면 46%와 43%, 이 전 대표와 홍 시장이 대결하면 45%와 42%로 조사됐었다. 지지율 차이가 각각 3%포인트로 오차범위 내 승부였다.

어느 정당 후보가 당선되기를 바라는지 물었을 때의 격차도 커졌다. 민주당 45%, 국민의힘 31%로 14%포인트 차이였다. 지난 1월 조사 때 ‘정권 교체’(51%)와 ‘정권 유지’(42%) 격차는 9%포인트였다. 이번 조사에서 양당 이외의 정당 후보를 택한 비율은 8%였다.

정근영 디자이너
정근영 디자이너

정치권에서 논의가 진전되고 있는 개헌에 대해선 응답자의 67%가 ‘개헌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필요하지 않다’는 21%였다. 개헌을 할 경우 선호하는 권력 구조로는 대통령 중심제가 41%로 가장 높았고, 대통령이 외치를 맡고 총리가 내치를 맡는 분권형 대통령제 24%, 의원 내각제 19%였다. 대통령 임기에 대해선 4년 중임제(62%)가 현행 5년 단임제(33%)에 비해 크게 높았다.

개헌 시기는 6·3 대선과 동시 실시해야 한다는 의견(34%)과 내년 6월 지방선거 때 해야 한다는 의견(34%)이 같은 수치로 나왔다. 2028년 4월 국회의원 총선과 동시 실시는 22%였다. 윤 전 대통령 탄핵 결정에 대해선 ‘동의한다’ 73%, ‘동의하지 않는다’ 24%로 조사됐다.

◇여론조사 어떻게 진행했나 이번 조사는 중앙일보가 한국갤럽에 의뢰해 4월 8일~9일 전국의 만 18세 이상 남녀 1004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가상번호) 면접 조사 방식으로 진행했다. 응답률은 14.5%(6915명 중 1004명)이며 3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 기준으로 성별·연령별·지역별 가중값을 부여했고,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최대 ±3.1%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www.nesdc.go.kr) 참조.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216 부산 수영장서 비명 터졌다…1명 사망·1명 부상 '감전 추정 사고' 랭크뉴스 2025.04.17
45215 ‘윤어게인 신당’ 창당 4시간만에 취소…변호인단 “국힘 압박 빗발쳐” 랭크뉴스 2025.04.17
45214 윤석열 변호인단, ‘윤 AGAIN’ 신당 창당한다 랭크뉴스 2025.04.17
45213 [단독] 기사 '좌표' 찍고 "댓글 바꿔라" 지령‥극우 유튜버 '여론 왜곡' 랭크뉴스 2025.04.17
45212 '피고인 윤석열' 이제 화면으로‥지하 출입은? 랭크뉴스 2025.04.17
45211 문형배 “비상계엄은 관용과 자제 넘은 것, 통합 메시지 담으려 시간 걸려” 랭크뉴스 2025.04.17
45210 법원 "가세연, '쯔양 사생활' 영상 삭제해야" 가처분 결정(종합) 랭크뉴스 2025.04.17
45209 한화에어로 유상증자 또 퇴짜… 금감원 “설명 불충분” 랭크뉴스 2025.04.17
45208 국회, 민주당 주도 ‘반도체특별법’ 등 3개 법안 신속처리안건 지정 랭크뉴스 2025.04.17
45207 한동훈만 안 만나는 오세훈···왜? 랭크뉴스 2025.04.17
45206 "'충암의 아들' 尹, 학교 역사에 남을 것"... 충암고 총동문회 게시글 논란 랭크뉴스 2025.04.17
45205 “李, AI기본사회는 모르는 소리… 혁신은 시장에 맡겨야” 랭크뉴스 2025.04.17
45204 이재명, 충청 경선 앞두고 “국회 세종의사당·대통령 세종 집무실 건립” 랭크뉴스 2025.04.17
45203 질문하는 기자 ‘폭행’한 권성동…언론단체, 사과·사퇴 촉구 랭크뉴스 2025.04.17
45202 “가려워서 한숨도 못 잤다”… 삼육대 남자 기숙사, ‘옴’ 환자에 발칵 랭크뉴스 2025.04.17
45201 국토부, “‘신안산선 붕괴사고’ 건설사고조사위 활동 시작” 랭크뉴스 2025.04.17
45200 이재명 "세종에 국회·대통령 집무실"‥행정수도 대선 쟁점 급부상 랭크뉴스 2025.04.17
45199 윤석열·김건희, 관저서 7일간 물 228t 썼다…“수도요금 미납” 랭크뉴스 2025.04.17
45198 현대차 임원들 뉴욕 집결… 관세전쟁 속 美 시장 정면 돌파 모색 랭크뉴스 2025.04.17
45197 문형배 "비상계엄은 관용·자제 넘었다‥통합 위해 선고에 시간 걸려" 랭크뉴스 2025.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