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미국산 쌀 13만 2304t에 5% 관세 부과
WTO 체제 국가 간 협상으로 할당량 배분
쌀 수입 할당량·관세 조정은 다자협상 벌여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열린 상호관세 발표 행사에서 국가별 상호관세 표를 들고 설명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서울경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국가별 상호 관세를 발표하며 실제 현실과 거리가 있는 주장들을 반복해 논란이 커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이 미국산 쌀에 513%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주장하고 있는데 한국의 미국산 쌀 수입을 둘러싼 현황을 팩트체크 형식으로 알아봤다.

◇韓, 미국산 쌀 13만 2304t에 대해 5% 관세 부과


한국은 미국산 쌀 수입 시 13만 2304톤(t)에 대해서는 5%의 관세를 부과하고, 이 물량을 초과하는 경우 513%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국내 민감 품목인 쌀에 대해서는 저율관세할당물량(TRQ)을 정해두고 낮은 관세를 부과하되, TRQ 물량을 벗어나면 513%의 관세를 부과한다. 사실상 정해진 양 만큼만 수입하고 있는 것이다.

한국은 이처럼 주요 5개국에 국가별 할당량을 정해놓았다. 한국의 수입산 쌀 의무 수입 물량은 40만 8700t이다. 이 물량 내에서 미국과 중국 등 주요 5대 쌀 수출국에 38만 8700t을 배분하고 있다. 국가별 쿼터는 △중국 15만 7195t △미국 13만 2304t △베트남 5만 5112t △태국 2만 8494t △호주 1만 5595t 순이다.

◇할당량·관세 조정 위해서는 다자협상 필요


국가별 수입 할당량과 관세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협상에 참여한 국가들 간의 다자 협상이 필요하다. 한국은 1995년 세계무역기구(WTO)에 가입하면서 농산물을 관세화했지만, 쌀에 대해서는 두 차례(1995~2004년, 2005~2014년) 관세를 유예하고 TRQ 물량에 대해 5% 저율 관세로 수입을 허용했다. 2014년 유예기간이 종료되면서 5개국과 5년 간의 협상을 통해 다시 원안대로 협상이 종료됐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미국이 513%의 관세를 문제 삼는다면 사실상 한국 뿐만 아니라 관련된 모든 국가들을 상대로 문제 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국산 쌀 외 다른 곡류는 무관세


한국은 미국산 밀, 옥수수, 대두 등 다른 곡류를 상당량 무관세로 수입하고 있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라 일부 품목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농산물의 관세가 0%이기 때문이다.

특히 호주와 미국은 한국의 밀 수입량 1·2위 국가다. 관세청 통계에 따르면 2023년 기준 호주산 밀 수입량은 235만 t, 미국산 밀은 120만 t을 기록했다. 2023년 미국산 옥수수 수입량은 190만 t에 달한다.

한국이 수입하는 미국산 쌀의 주 생산지는 캘리포니아다. 다만 2022년에는 미국 내 쌀 생산량이 감소하면서 할당 물량에 미달하는 양을 한국에 수출하기도 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발표된 내용에 기반해 미국의 입장이 정확하게 뭔지 파악하는 게 우선”이라며 “국내 산업에 피해가 가지 않게, 검역의 경우에는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우선시해 대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611 헌재, 마지막 평의 돌입…우 의장, 선고 후 대국민 담화문 발표 [尹탄핵심판 LIVE] 랭크뉴스 2025.04.04
43610 헌법재판관 8명 차례로 출근… 선고 직전 마지막 평의 랭크뉴스 2025.04.04
43609 현직 경찰관 구미 순찰차에서 총상 입고 숨진 채 발견 랭크뉴스 2025.04.04
43608 대통령 관저 인근 한강진역 무정차 통과‥출구 통제 랭크뉴스 2025.04.04
43607 화성 저수지에 3살 아들 태운 30대 여성 차량 빠져…모두 구조 랭크뉴스 2025.04.04
43606 [속보] 대통령 관저 인근 6호선 한강진역 9시부터 무정차 통과 랭크뉴스 2025.04.04
43605 오늘 오전 9시부터 6호선 한강진역 무정차 운행 랭크뉴스 2025.04.04
43604 [속보]‘윤석열 탄핵 심판’ 헌법재판관들 전원 출근…오전 9시30분 마지막 평의 랭크뉴스 2025.04.04
43603 美상무장관 "관세 철회 안 해… 협상 원하면 무역장벽 먼저 없애야" 랭크뉴스 2025.04.04
43602 관세 쇼크에 "아이폰 미국 가격, 1.4배 뛰어 330만원 이를 수도" 랭크뉴스 2025.04.04
43601 번식장서 굶겨 죽이고 엄마개 배 가르고···유통 문제 해결 없이 동물학대 막을 수 없어 랭크뉴스 2025.04.04
43600 [단독] 교제폭력 피해자가 살인자로…31번 신고에도 보호받지 못했다 랭크뉴스 2025.04.04
43599 [속보] 키움증권, 연이틀 매매 체결 장애 랭크뉴스 2025.04.04
43598 [속보] 한남 관저 인근 6호선 한강진역 오전 9시부로 무정차 통과 랭크뉴스 2025.04.04
43597 박근혜 파면 당일 숨진 지지자 유족 “허무한 죽음일뿐…폭력 절대 안 돼” 랭크뉴스 2025.04.04
43596 윤 대통령 운명 가를 헌법재판관 8명 전원 출근…오전 중 평의 랭크뉴스 2025.04.04
43595 ‘운명의 날’ 왔다...윤석열 탄핵 선고, 오늘 11시 랭크뉴스 2025.04.04
43594 “민주주의” vs “교육 중립”…학교서 윤 탄핵 심판 방송시청 혼란 랭크뉴스 2025.04.04
43593 [속보] 헌법재판관 8명 경호 받으며 출근 완료…최종 평의 랭크뉴스 2025.04.04
43592 윤석열, 탄핵심판 ‘파면’ 선고에도 묵묵부답일까 [4월4일 뉴스뷰리핑] 랭크뉴스 2025.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