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대변인 확인… 한국시간 3일 오전 5시
단일세율 검토설에 “24시간내 알게 돼”
“역사적 조치… 갈취당하기, 내일로 끝”
캐럴라인 레빗 미국 백악관 대변인이 1일 워싱턴 백악관 제임스 브래디 언론 브리핑룸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대답하고 있다. 워싱턴=AP 연합뉴스


미국이 새로 도입하는 상호관세가 2일 오후(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발표 즉시 발효된다고 백악관이 1일 밝혔다. 줄곧 거론된 국가별 차등 세율 적용 방식 대신 무차별 20% 보편관세 부과 방안이 채택될지 모른다는 막판 반전 시나리오가 급부상하고 있다.

캐럴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상호관세가 이번 주 바로 시행되느냐’는 질문에 “내일 관세 발표가 있을 예정이며 즉각 발효될 것”이라고 대했다. 레빗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은 4월 2일을 ‘미국 해방의 날’로 많이 언급했다”며 “만우절(4월 1일)이 아니라면 오늘이었을 테지만 내일이 그날”이라고 부연했다.

유력한 발표 시점은 2일 오후 4시(한국시간 3일 오전 5시)다. 백악관은 이날 앞서 해당 시간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을 더 부유하게’를 주제로 열리는 백악관 로즈가든 행사에서 연설할 계획이라고 공지했다.

신규 관세가 어떤 형태일지는 여전히 불확실하다. 레빗 대변인은 20%의 단일 세율안이 상호관세 관련 옵션으로 거론되는 것과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은 어제 결정을 했다고 말했지만 나는 그에 앞서서 말하고 싶지 않다. 여러분은 약 24시간 이내에 알게 될 것”이라며 사실인지 여부를 확인하지 않았다. 이날 뉴욕타임스와 워싱턴포스트 등은 백악관이 거의 모든 수입품에 20% 단일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국가별로 다른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과 함께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다.

사전 협상을 시도한 국가는 제법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레빗 대변인은 ‘얼마나 많은 나라가 관세를 낮추려 트럼프 대통령과 대화했느냐’는 질문에 “구체적인 숫자는 모르겠지만 관세에 대해 논의하려 트럼프 대통령과 그의 팀에 전화한 국가가 꽤 많다. 그래도 트럼프 대통령이 가장 신경 쓰는 국가는 미국”이라고 답했다.

2일 발표 뒤 상호관세의 변화 가능성과 관련해서는 “최종 변화는 기업들이 미국에서 사업을 하기로 결정할 때 생길 것이다. 그 경우 관세가 전혀 없기 때문”이라면서도 교역 상대국들이 협상을 시도할 경우 트럼프 대통령은 늘 열려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 관세 정책으로 주식시장이 하락하며 은퇴자들의 노후 자금이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우려에는 “합당한 우려”라며 “대통령은 매일 그 우려에 대처하려 하고 있다”고 말한 뒤 향후 추가 감세 조치 추진 방침을 같이 거론했다.

레빗 대변인은 문답 전 모두발언에서 “내일(2일) 진행되는 트럼프 대통령의 역사적인 조치는 모든 산업 분야에서 미국의 경쟁력을 개선하고 대규모 무역 적자를 줄이면서 궁극적으로 미국의 경제 및 국가 안보를 보호할 것”이라며 “내일을 시작으로 (미국이) 갈취당하는 것은 끝난다”고 말했다.

레빗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외국산 자동차 대상 25% 관세가 3일부터 시행된다고 재확인하기도 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496 美, 한국시간 3일 오전5시 상호관세 발표…관세전쟁 글로벌 확대 랭크뉴스 2025.04.02
47495 카더라 따라 전략도 바꿨다, 여야 떨게 한 헌재 설설설 랭크뉴스 2025.04.02
47494 박범계 “헌재 선고일 지정은 ‘이견 해소’…윤석열 복귀해도 국민이 끌어낸다”[스팟+터뷰] 랭크뉴스 2025.04.02
» »»»»» 美백악관 "상호관세, 2일 트럼프 발표 즉시 발효"… '20% 보편관세' 카드 급부상 랭크뉴스 2025.04.02
47492 지도 내주고 망사용은 공짜? 구글맵 무임승차 길 터주나 랭크뉴스 2025.04.02
47491 실사를 안했나?… 발란 75억 투자 한달만에 ‘법정관리 먹튀’ 당한 실리콘투 랭크뉴스 2025.04.02
47490 ‘5대3 교착설’까지 번진 35일… 선고 지연에 혼란 초래 지적도 랭크뉴스 2025.04.02
47489 [단독] 헤그세스 美국방 "인도태평양에서 미중 충돌 시 한국 기여 가능하냐" 문의 랭크뉴스 2025.04.02
47488 늦어지는 K2 전차 2차계약… 폴란드선 “일감 달라” 시위도 랭크뉴스 2025.04.02
47487 [체험기] 카페서 2초 만에 코인 결제… 한국은행 CBDC 테스트 참여해 보니 랭크뉴스 2025.04.02
47486 [이런말저런글] '저'를 알면 보이는 너희 둘 랭크뉴스 2025.04.02
47485 尹 탄핵소추 사유 5개, 하나만 인정돼도 파면? 랭크뉴스 2025.04.02
47484 [단독] 기아, 화웨이와 손잡나…스마트 콕핏 등 협력 관측 랭크뉴스 2025.04.02
47483 기초단체장 5곳·부산시교육감 재보선 투표시작…자정께 당선윤곽 랭크뉴스 2025.04.02
47482 현기영 "나는 4·3의 무당... 경계 늦추면 국가 폭력 반복될 것" [인터뷰] 랭크뉴스 2025.04.02
47481 [단독] 서민 울리는 버팀목 전세대출…대출 연장 규제에 부작용 속출 랭크뉴스 2025.04.02
47480 [단독] “매출 수천 억 안 되면 안 해” 급할 것 없는 아마존...AI 데이터센터 지으려던 SK만 전전긍긍 랭크뉴스 2025.04.02
47479 “중국인들 안 오더니 결국”…현대면세점, 동대문점 접는다 랭크뉴스 2025.04.02
47478 백악관, “상호관세, 2일 트럼프 발표 즉시 발효”…美협상 우위 노린 듯 랭크뉴스 2025.04.02
47477 내가 받는 국민연금 얼마? 소득대체율 43%는 현실서 불가능하다 랭크뉴스 2025.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