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뉴스데스크]
◀ 앵커 ▶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당일, 재판은 어떻게 진행될까요.

역대 대통령 사건 전례를 비춰보면, 재판을 시작하고 약 20분 만에 파면 여부가 판가름 났는데요.

이번에도 그럴지, 김세영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 리포트 ▶

박근혜 전 대통령은 바로 이때 파면됐습니다.

[이정미/당시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 (2017년 3월 10일)]
"주문. 피청구인 대통령 박근혜를 파면한다."

2017년 3월 10일 오전 11시 21분.

탄핵심판 선고 효력은 이렇게 주문을 읽는 동시에 발생합니다.

이정미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이 시간을 확인한 것도 이 때문입니다.

지난 2014년부터는 결정문 첫 장에도 선고일시가 분 단위까지 명시됩니다.

박 전 대통령 탄핵심판 결정문에도 나옵니다.

헌재 결정 가운데 몇 시 몇 분에 선고했는지 밝히는 건 탄핵심판이 유일합니다.

시간에 따라 탄핵심판 당사자인 피청구인과 권한대행 중 누구에게 책임 소재가 있는지 갈리기 때문입니다.

최근 탄핵심판 사건에서도 시간을 확인했습니다.

[문형배/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 (3월 13일, 최재해 감사원장 탄핵심판)]
"탄핵 사건이므로 선고 시각을 확인하겠습니다. 지금 시각은…"

[문형배/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 (3월 24일,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심판)]
"지금 시간은… 주문, 이 사건 심판 청구를 기각한다."

역대 대통령 탄핵심판 사건 선고는 재판 시작 후 20분 안팎에 이뤄졌습니다.

박근혜 전 대통령 때는 21분, 노무현 전 대통령때는 25분 만이었습니다.

재판은 주문을 읽고 나서 1~2분 뒤에 끝났습니다.

윤 대통령 탄핵심판 사건 주문은 재판장인 문형배 헌재소장 권한대행이 읽습니다.

재판관 전원일치의 경우에는 결정 요지를 먼저 설명한 뒤 주문을 나중에 읽고, 전원일치가 아니면 반대로 한다고 실무지침서에 나오지만 꼭 이대로 하는 건 아닙니다.

전원일치 파면 의견이었던 박 전 대통령 사건이나, 재판관 의견이 엇갈렸다고 알려진 노 전 대통령 사건 모두 주문은 뒤에 읽었습니다.

대통령 사건 전례를 따른다면, 윤 대통령 사건주문도 뒤에 읽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주문을 언제 읽을지, 선고 요지 분량은 얼마나 할지 모두 비공개가 원칙인 재판관 평의에서 결정되는 만큼 선고일 당일까지 공개되지 않습니다.

MBC뉴스 김세영입니다.

영상편집: 배우진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

MBC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708 헌재, 국회·야당도 꾸짖었다…"8인 전원일치 타협 결과인 듯" new 랭크뉴스 2025.04.04
48707 尹 파면에 갈라진 보수단체…“조기대선 준비” vs “불복종 투쟁” new 랭크뉴스 2025.04.04
48706 [속보]선관위 “21대 대통령선거 예비후보 등록 시작” new 랭크뉴스 2025.04.04
48705 윤석열 파면 뒤 불법 된 ‘이재명 비방’ 현수막…국힘, 부랴부랴 ‘철거’ new 랭크뉴스 2025.04.04
48704 김형두 재판관 등 두드려준 문형배 대행…111일 마침표 찍은 순간 [지금뉴스] new 랭크뉴스 2025.04.04
48703 문형배, 퇴장하며 김형두 등 두드렸다…심판정선 탄성·박수 new 랭크뉴스 2025.04.04
48702 봉황기 내리고 참모진 사의… ‘용산시대’ 사실상 마침표 new 랭크뉴스 2025.04.04
48701 이젠 예우·특권 사라진 '맨몸'‥尹 향한 수사 '대기번호' new 랭크뉴스 2025.04.04
48700 헌재 “파면” 순간, 방청석에서 “와~” 함성·박수·눈물 뒤섞여 new 랭크뉴스 2025.04.04
48699 [속보] 尹 "기대에 부응하지 못해 너무나 안타깝고 죄송" new 랭크뉴스 2025.04.04
48698 윤 대통령 측 "헌재 결정 법리적으로 납득할 수 없어" new 랭크뉴스 2025.04.04
48697 윤석열 "국민 여러분 기대에 부응하지 못해 너무나 죄송하다" new 랭크뉴스 2025.04.04
48696 정진석 비서실장 등 대통령실 고위 참모진 일괄 사의 new 랭크뉴스 2025.04.04
48695 [단독] 한덕수·노태악 통화, 6월3일 대통령 선거일 지정 가닥 new 랭크뉴스 2025.04.04
48694 [단독] '탄핵 반대' 외치던 김기현 "우린 폐족"... 초선들은 부글부글 new 랭크뉴스 2025.04.04
48693 경제계 "헌재 결정 존중, 사회안정·경제활력 제고에 힘 모아야" new 랭크뉴스 2025.04.04
48692 윤석열 "대한민국 위해 일할 수 있어 영광‥기대 부응 못해 죄송" new 랭크뉴스 2025.04.04
48691 [결정문 분석] ‘5 대 3의 희망’ 정형식·김복형·조한창도, 파면에 이견 없었다 new 랭크뉴스 2025.04.04
48690 尹, 파면 후 첫 메시지 "기대 부응 못해 너무나 안타깝고 죄송" new 랭크뉴스 2025.04.04
48689 ‘6월 3일’ 유력… 이번에도 장미 대선 new 랭크뉴스 2025.04.04